$\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 인식 및 요구
A Study on Perception and Demand for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ctiv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173 - 180  

박혜진 (건국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 ,  김용영 (건국대학교 국제비즈니스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분석과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1) 부모교육을 지원할 센터 운영, (2)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3)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4) 공간 활용, (5) 프로그램 운영 및 평가 요인을 도출하여 설문 내용을 작성하였다.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2학년 및 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요구되는 사항을 5가지 요인으로 분류하고 23개의 설문문항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학부모들은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지원해줄 수 있는 센터 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역할에 대한 교육내용을 강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부모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분석을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학부모 요구를 반영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제 개발 및 운영한 후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성과 분석 및 환류의 필요성을 향후 연구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nducted an overall recognition analysis and demand survey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explore ways to promote parent education.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cluding five factors and 23 items : (1) operating a center to support parent educat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조직 및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연구[32-34]를 토대로 (1) 부모교육을 지원할 센터 운영, (2) 부모교육 프로그램 인식,(3)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4) 공간 활용, (5) 프로그램운영 및 평가 등의 5가지 요인을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2018년 11월 26일에서 28일까지 3일간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2학년 및 4학년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저학년과 고학년 학부모의 의견을 고루 반영하기 위하여 2학년과 4학년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으며, 구체적인 응답자의 특성은 Tabl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을 운영할 조직(센터),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인식, 프로그램 개발 과정, 공간 활용, 운영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에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 이 시기는 다양한 학습경험을 보다 의미 있게 해주는 중요한 시기로 언급[17]되고 있기 때문에 부모의 개입과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할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시행하였으며,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향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위해 사전에 요구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시기는 진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태도, 사고의 틀, 동기와 정서를 형성해 나가는 중요한 시기이다[16].
  • 본 연구에서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프로그램을 운영할 조직(센터),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인식, 프로그램 개발 과정, 공간 활용, 운영 및 평가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에 충주시 소재 A초등학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시행하였다. 해당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기의 언어적,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 학령기 아동의 경우 사회성 발달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는 이유는? 특히, 영유아기의 언어적,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 학령기 아동의 경우 사회성 발달에 대한 관심을 토대로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산업화 이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 적응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극복하기 위한 대응방안으로 자녀양육에 큰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1]. 과거에는 비교적 부모 역할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더 나은 부모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2].
부모교육은 한국에서 언제 공식적으로 처음 사용되었는가? 한국에서도 부모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1980년대 무렵 부모교육이라는 용어를 공식적으로 사용했으며[25], 자녀들의 발달 사항에 따른 올바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들이 계속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청소년 자녀가 사회적 부적응을 겪게 될 때마다 부모들은 더욱 심각한 자녀양육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부모교육이란? 부모교육은 부모가 부모역할을 효과적으로 하도록 교육이나 훈련을 통해 지식과 기법을 습득하는 것으로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부모개입(parentinvolvement), 부모지지(parent support), 부모훈련(parent training), 부모참여(parent participation),부모역할하기(parenting) 등의 용어를 구분하지 않고 혼합하여 사용한다[18]. 부모교육이란, 자녀의 성장발달을 돕기 위해[19] 부모가 부모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의 변화를 모색하는 교육이다[20]. 부모교육은 연구자마다 다양한 관점으로 정의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S. W. Choi. (2016). The Parentology: An Approach as the Adult Learning. The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and HRD, 12(1), 143-166. 

  2. H. S. Seo. (2014). Current Situation and Developmental Prospect of Korea Parent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4(8), 363-380. 

  3. G. S. Kim. (2017). Current Development Statu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an Analysis of the Program. Journal of Parent Education, 9(4), 273-291. 

  4. Holmbeck, G. N., Hill, J. P. (1991). Conflictive engagement, positive effect, and menarche in families with seventh-grade girls. Child Development, 62, 1030-1048. In R. F. Levant, & J. M. ein(Eds.), Client centered therapy and the Person centered approach: New direction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7-24. 

  5. M. K. Kim. (2011). Effect of Satir Model Based Growth and Parent Education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Congruency of Parents and Adolescent Children's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6. K. S. Chung., M. S. Yoo., J. R. Cha. (2012). How mothers' orientation towards happiness influences their children's happiness.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9(4), 25-46. 

  7. Weissberg, R. P., Kumpfer, K. L., & Seligman, M. E. (2003). Prevention that works for children and youth: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8(6-7), 425-432. 

  8. J. A. Lim., M. S. Kim. (2018). The Influence of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Smart phone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Impul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395-405. 

  9. A. R. Jo., M. S. Yang., J. K. Jeon. (2018). The Influence of Inter-Parental Conflicts on the Mental Health of Adolescents : The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 177-186. 

  10. Ministry of Gender Equality Fami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Ministry of Education. (2016). Plan to activate parenthood education for child abuse prevention and family relationship enhancement. 

  11. H. Y. Noh., J. S. Cho., J. H. Chae.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Parenthood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Home Economics subject.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9(4), 161-193. 

  12. K. R. Cho., K. A. Ham., S. M. Cheon. (2013).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Journal of Rehabilitation Psychology, 20(2), 369-395. 

  13. H. Y. Huang., Y. S. Lee. (2015). A Review of Parents"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1(6), 287-320. 

  14. H. K. Kim., Y. M. You. (2018).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Development for the Web of Conceptual Relations of a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Parent Education, 10(1), 1-30. 

  15. H. J. Lee. (2007). A critical review on parent education program evaluation: With regard to the participants' perspective. Asian Journal of Education, 8(1), 247-268. 

  16. Hartung, P. J., Porfeli, E. J., & Vondracek, F. W. (2005). Child vocational development: A review and reconsider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3), 385-419. 

  17. Wang, J., & Staver, J. R. (2001). Examining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scien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aspiration.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94(5) , 312-319. 

  18. S. O. Baik. (2001). A Study on the Impact of SMILE Parent Training Program on Attitudes of Mothers' Child-rearing. Doctoral dissertation. Hannam University, Daejeon. 

  19. Cataldo, C. Z. (1987). Parent education for early childre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0. Fisbein, M. J. (1975). I belief, attitude, intens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Boston, MA: Addison Wesley. 

  21. Becker, R. M. (1982). Parent Education,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5th ed.). New York: The Free Press, 3. 

  22. Whiteside, M. F., Becker, B. J. (2000). Parental factors and the young child's post divorce adjustment: A meta-analysis with implications for parenting arrangement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1), 5-26. 

  23. Eathart, E. M. (1980). Parent Educa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80. 

  24. M. S. Roh.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Learning Coaching: Focused on the Families with School-Age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5. J. R. Lee., J. A. Kim., D. H. Cha., H. H. Lee. (2013). Are Parent Education Programs in South Korea Really Effective? : A Meta-Analytic Study Using Journal Article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1(3), 27-47. 

  26. Collins, W. A., Rusell, G. (1991). Mother-child and father-child relationships in middle childhood and adolescence: A developmental analysis. Developmental Review, 11 , 99-136 

  27. Youniss, J., Smoller, J. (1985). Adolescent relations with mothers, fathers, and friend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8. I. S. Chung. (2011).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ents and its Effectiveness to Cope with Learning Involvement Stress.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9. Satir, V. (1986). A partial portrait of family therapist in process. In Charles Fishman and Bernice rosman(Eds.), Evolving models for family change, 278-293. NY: Guilford Press. 

  30. A. J. Park. (2011). The influence of parents' educational beliefs, educational involvement and family function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31. Y. S. Kim. (2010). Foundations of Family Therapy. Seoul: Hakjisa. 

  32. S. Y. Jung. (2015).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rough Music Activities.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33. S. H. Kim. (2006). Evaluation Too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Family Life Education Program : With Marital Education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4. E. S. Choi. (2010).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5. J. Y. Bong. (2011). A study on mother's child rearing in multicultural families and teacher's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36. Y. A. Lee., J. M. Kim. (2009).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ystematic Training of Effective Parenting of Young Children's Parents. The Society for Open Parent Education, 1(2), 31-56. 

  37. Hamner, T. J., Turner, P. H. (1985). Parenting in contemporary societ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38. M. H. Yeon., J. S. Kim. (2015). Parent Education. Seoul: Dongmunsa. 

  39. A. N. Kim. (2014). A Study of the Kindergarten Teacher Efficacy and the Teacher Professional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14(3), 153-475. 

  40. K. S. Lee. (2013). Early Childhood Curriculum. Seoul: Gyomo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