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생존자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Stres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95 - 103  

임수업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영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암생존자의 스트레스가 우울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외상 후 성장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에 거주하는 암생존자 1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한 자료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외상 후 성장은 스트레스와 상호작용하여 암생존자의 우울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즉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외상 후 성장이 높으면 외상 후 성장이 낮을 때보다도 우울 수준이 더 낮고,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상 후 성장은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및 기능적 삶의 질에서만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암생존자의 우울 감소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해서는 외상 후 성장을 높이는 교육 및 상담적 개입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posttraumatic growth moderates the effects of stress 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survivors. Data were collected from 173 cancer survivors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s.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to analyz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생존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주요 결과들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생존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조절하는지 파악하는 것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암생존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외상 후 성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암생존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본 연구에서는 암생존자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외상 후 성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암생존자의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스트레스의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상담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생존자는 누구인가? 암환자의 생존율이 증가한다는 것은 암생존자가 증가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암환자뿐 아니라 암생존자의 건강관리가 중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3]. 여기서 암생존자는 암 진단을 받은 후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등의 적극적 치료가 완료되어 더 이상 적극적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를 말한다[4].
암생존자가 우울을 경험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암환자의 38%가 우울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암환자의 58%에서 높은 우울증상을 보고하였다[12]. 암생존자 역시 암 치료 과정에서 경력단절, 경제적 어려움, 업무능력 저하 등을 경험하고, 치료가 종료된 후에도 신체적, 정서적 문제로 인해 직장 에 복귀하거나 경제활동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으며 무력감 등의 우울을 경험한다[13]. 따라서 암생존자의 심리적 건강과 적응의 증진이라는 측면에서 암생존자의 우울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스트레스가 암생존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외상 후 성장이 어떻게 조절효과를 발휘하는가? 더 나아가 삶의 질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및 기능적 삶의 질에서만 외상 후 성장의 조절효과가 나타냈다. 즉 외상 후 성장의 수준에 관계없이 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정서적 및 기능적 삶의 질 수준도 낮아지지만,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스트레스가 정서적 및 기능적 삶의 질에 더 적은 영향을 미쳤다. 게다가 스트레스 수준이 높더라도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높으면 스트레스가 심하고 외상 후 성장의 수준이 낮을 때에 비해 정서적 및 기능적 삶의 질의 수준이 훨씬 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외상 후 성장이 스트레스가 높을 때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방암 투병과정에서 생긴 외상 후 스트레스가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외상 후 성장이 완화시킨다는[23]와 스트레스가 암환자의 정서적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킨다는 [22]과 유사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Statistics Korea. (2018). Cause of Death Statistics in 2017. 

  2. National Cancer Center. (2018).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in 2017. 

  3. S. J. Kang. (2016).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among cancer survivors: Using KNHANES 2010-2014. The Korea Contents Society, 16(9), 628-637. 

  4. M. Feuerstein. (2007), Defining cancer survivorship. Journal of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and Practice, 1(1), 5-7. 

  5. J. Zabora, K. Brintzenhofeszoc, B. Curbow, C. Hooker & S. Piantadosi. (2001). The prevalence of psychological distress by cancer site. Psychooncology, 10(1), 19-28. 

  6. M. T. Hegel, C. P. Moore, E. D. Collins, S. Kearing, K. L. Gillock, R. L. Riggs, K. F. Clay & T. A. Ahles (2006). Distress, psychiatric syndromes, and impairment of function in women with newly diagnosed breast cancer. Cancer, 107(12), 2924-2931. 

  7. H. K. Do. (2008). Stress and coping methods in cancer patients. Seoul: Kyung Hee University. 

  8. J. Ahn, A. Schatzkin, J. Lacey, V. D. Albanes, R. Ballard-Barbash, K. F. Adams, & M. F. Leitzmann. (2007). Adiposity, adult weight change, and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risk.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167(19), 2091-2102. 

  9. N. R. Nielsen & M. Gronbaek. (2006). Stress and breast cancer: a systematic update on the current knowledge. Nature clinical practice Oncology, 3(11), 612-620. 

  10. K. W. Brown, A. R. Levy, Z. Rosberger & L. Edgar (2003). Psychological distress and cancer survival: a follow-up 10 years after diagnosis. Psychosomatic Medicine, 65(4), 636-643. 

  11. J. A. Archer, I. L. Hutchison, S. Dorudi, S. A. Stansfeld & A. Korszun. (2012). Interrelationship of depression, stress and inflammation incancer patients: A preliminary stud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143, 39-46. 

  12. M. J. Massie. (2004). Prevalence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Monographs, 32, 57-71. 

  13. J. S. Kim. (2016) Return-to-Work Experience of Breast Cancer Survivors: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Grounded Theory Approach.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4. J. Y. Park. (2010).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family caregivers of patient with lung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10(2), 129-136. 

  15. H. K. Hur, D. R. KIm & D. H. Kim. (2003). The relationships of treatment side effects,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 with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1), 71-78. 

  16. K. H. Kim, B. Y. Chung, K. D. Kim & H. S. Byun. (2009).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ancer. Asian Oncology Nursing, 9(1), 52-59. 

  17. A. Montazeri. (2008).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A bibliographic review of the literature from 1974 to 2007.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Cancer Research, 27(1), 32-62. 

  18. H. Kim, H. J. Yoo, Y. J. Kim, O. S. Han, K. H. Lee, J. H. Lee, C. W. Suh, W. K. Kim, J. C. Kim, S. H. Ahn & H. Y. Chung.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FACT-G).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1), 215-229. 

  19. H. S. Jim & P. B. Jacobsen. (2008).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hip: A review. Cancer Journal, 14(6), 414-419. 

  20. E. F. Morrill. (2011). Posttraumatic stress,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in cancer survivors: The buffering effect of posttraumatic growth.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Chapel Hill. 

  21. C. S. Carver & M. H. Antoni. (2004). Finding benefit in breast cancer during the year after diagnosis predicts better adjustment 5 to 8 years after diagnosis. Health Psychology, 23(6), 595-598. 

  22. I. J. Lee. (2012). The effects of stress on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3), 522-557. 

  23. E. F. Morrill, N. T. Brewer, S. C. O'Neill, S. E. Lillie, E. C. Dees, L. A. Carey & B. K. Rimer. (2008). The interaction of post-traumatic growth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predicting depressiv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Psycho-Oncology, 17(9), 948-953. 

  24. M. A. McCubbin & A. I. Thompson. (1987). Family stress theory and assessment. In H. I. McCubbin, & A. I. Thompson (Eds.), Family Assessment Inventories for Research and Practice (pp. 3-22).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25. K. H. Yang, M. R. Song, E. K. Kim. (1998). The stress and adaptation in family caregiver of chemotherapy patients.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2(1), 118-132. 

  26. R. G. Tedeschi & L. G. Calhoun.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27. S. H. Song, H. S. Lee, J. H. Park & K. H. Kim. (2009).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4(1), 193-214. 

  28. A. T. Beck, C. H. Ward, M. Mendelson, J. Mock & J. Erbaugh.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 561-571. 

  29. Y. H. Lee & J. Y. Song. (1991).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BDI , SDS , and MMPI-D sc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0(1), 98-113. 

  30. D. F. Cella, D. S. Tulsky, G. Gray, B. Sarafian, E. Linn & A. Bonomi et al. (1993).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3), 570-579. 

  31. M. Y. Baek.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bereavement stress and depression in middle-aged women: The moderation effect of meaning reconstruction. Master's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32. C. L. Park & S. Folkman. (1997). Meaning in the context of stress and coping.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2), 115-144. 

  33. J. Lim & I. Han. (2008).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on the stage of cancer survivorship for breast and gynecological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60(1), 5-27. 

  34. E. S. Lee & J. S. Park. (2013).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 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3), 312-321. 

  35. I. J. Lee. (2018). Predi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ies with cancer survivor: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families of cancer patient receiving treatm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443-454. 

  36. I. J. Lee. (2009). A systematic review of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ocial Work Practice & Research, 6, 81-113. 

  37. K. R. Bae. (2017). Development of a posttraumatic growth promoting program for working breast cancer patients.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8. M. H. Park. (201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program for women with gynecological cancers. Keimyung University,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