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Sub-factors on Innovative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104 - 116  

심완준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장은혜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  노경수 (금오공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이끌어낼 수 있는 효과적인 직무자원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개요인 등을 고려하여 혁신행동이 지속되는 매커니즘을 확인하고자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과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공공 및 민간기업에서 혁신행동과 관련성이 높은 직군에 속하는 67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립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과 매개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인인 카리스마와 지적 자극은 직무열의를 통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기업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발현할 수 있도록 변혁적 리더의 특성 중 카리스마와 지적자극의 요인을 겸비한 리더를 선정하고 더불어 직무열의를 통해 혁신행동을 높여줄 수 있는 측정도구를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음을 실무적으로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TL) is an effective job resource that can lead to innovative behavior. The new concern is to identify the mechanisms by which innovative behaviors persist, taking into account factors such as mediator.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job en...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설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3개 하위요인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카리스마(estimate=0.
  • 가설 2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3개하위요인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지적 자극(estimate=0.
  • 둘째,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전국에 있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을 대상으로 아이디어의 산출 및 실행 등 혁신행동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R&D관련 부서 등의 사무·전문직 등을 표본 집단으로 선정해 설문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결과의 일반화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온라인 서베이 업체를 통해 응답자에게 소정의 금액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2018년 10월 2주간에 걸쳐 1100부를 배포하였고, 그 중 일부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을 제외한 총 671부의 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의 R&D관련 부서 등 혁신행동에 밀접한 사무·전문 직군 등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열의를 증가시켜 혁신행동을 향상시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의 3가지 하위요인이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 있어 직무열의가 어떻게 매개하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 셋째,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첫째,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1 : 변혁적 리더의 카리스마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2 : 변혁적 리더의 영감적 동기부여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 직무열의는 조직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변혁적 리더십의 정의는? Burns(1978)는 기존의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구별하였는데, 기존의 리더십은 구성원이 목표를 달성하면 그에 대한 대가로서 보상을 지불받는 형태인 거래적 리더십으로 정의하였고,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하고 끊임없이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자극하는 역할로 정의하였다[17].
변혁적 리더의 역할은? 변혁적 리더는 비전과 영감적 메시지를 통해 구성원이 업무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지원자로, 비전제시를 통해 목표달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주고, 구성원의 개인적 욕구 및 성장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코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18,19].
직무열의의 3가지 구성개념 활력, 헌신, 몰두는 각각 무슨 뜻인가? 활력은 일하는 동안 높은 수준의 에너지를 유지하거나 정신력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탄력을 의미한다. 높은 수준의 에너지를 기반으로 구성원은 업무에 더욱 집중하고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포기하지 않고 인내할 수 있다[25]. 헌신은 구성원이 스스로의 업무가 가지는 중요성을 인식하고 업무에 높은 관여도를 느끼며 깊게 몰입하는 것으로, 일에 대한 의지, 열정, 긍지를 바탕으로 기꺼이 도전하려고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25]. 몰두는 자신의 직무에 대해 완전히 집중하고, 깊게 몰입된 상태로 시간의 경과를 느끼기 어렵거나, 일과 자신을 분리된 것으로 생각하기 어려운 상태를 의미한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S. G. Scott & R. A. Bruce. (1994). Creating innovative behavior among R&D professionals: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International Engineering Management Conference, 10, 48-55. 

  2. O. Janssen. (2005). The joint impact of perceived influence and supervisor supportiveness on employee innovative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8(4), 573-579. 

  3. M. J. Xerri & Y. Brunetto. (2013). Fostering innovative behavior: The importance of employee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24(16), 3163-3177. 

  4. R. C. Levin. W. M. Cohen & D. C. Mowery. (1985). R&D appropriability, opportunity and market structure: new evidence on some schumpeterian hypotheses. American Economic Review, 75(2), 20-24. 

  5. S. E. Kim.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Profession.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8(1), 47-60. 

  6. B. M. Bass.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 Free Press. 

  7. B. O. Bae. (2016). Influence of Team Performance o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 Self-Leadership.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 766-777. 

  8. J. S. Lee. (2012). The influence of military superi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e of learning upon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9. J. S. Jung. (2018).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Self-Efficacy on Innovative Work Behavior: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octoral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Gyeonggi. 

  10. B. M. Bass & B. J. Avolio. (1990). Developi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1992 and Beyond.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14(5), 21-27. 

  11. D. S. Elenkov. W. Judge & P. Wright. (2005). Strategic leadership and executive innovation influence: an iternational muti-cluster comparative stud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6(7), 665-682. 

  12. D. I. Jung. A. Wu & C. W. Chow. (2008). Towards understand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EO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irm innovation. The Leadership Quarterly, 19(5), 582-594. 

  13. C. Maslach. W. B. Schaufeli & M. P. Leither.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14. I. H. Lee & J. K. Tak. (2010). The Relations of Self-Development Motivation to Innovation Behavior and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Effects of Leadership.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3(4), 605-633. 

  15. C. H. Lee. G. H. Shin & C. G. Heo. (2012).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Work Engagemen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5(1), 147-169. 

  16. M. S. Christian. A. S. Garza & J. E. Slaughter. (2011). Work Engagement: A Quantitative Review and Test of Its Relations with Task and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Psychology, 64(1), 89-136. 

  17. J. M. Burns. (1978). Leadership. NewYork : Harper and Row. 

  18. B. M. Bass. (1990). Bass & Stogdill's handbook of leadership: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3rd ed., New York : Free Press. 

  19. B. M. Bass & R. E. Riggio. (2006). Transformational Leadership. 2nd ed., Routledge. 

  20. B. J. Avolio. (1999). Full leadership development: Building the vital forces in organizations. Thousand Oaks, CA : Sage. 

  21. R. Kark & B. Shamir. (2002).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ollowers' Relational versus Collective Self-Concept. Academy of Management Annual Meeting Proceedings, 1, D1-D6. 

  22. G. A. Yukl & D. V. Fleet. (1982). Cross-situational, multimethod research on military leader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30(1), 87-108. 

  23. W. A. Kahn. (1990).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4), 692-724. 

  24. W. B. Schaufeli & A. B. Bakker. (2004).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25.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 A. B. Bakker. (2002).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3(1), 71-92. 

  26. W. B. Schaufeli & M. Salanova. (2008). Enhancing work engagement through the management of human resources. In K. Naswall, M. Sverke, and J. Hellgren (Eds.), The individual in the changing working lif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380-404. 

  27. N. Lockwood. (2007). Leveraging Employee Engagement for Competitive Advantage: HR's Strategic Role. HR Magazine, 52(3), Special section, 1-11. 

  28. M. E. Porter. (1985). Technology and Competitive Advantage. Journal of Business Strategy, 5(3), 60-78. 

  29. N. King. (1990). Innovation at Work: The Research Literature in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Eds. by M. A. West, M. A. & J. L. Farr., New York : John Wiley & Sons, 15-19. 

  30. O. Janssen. (2000).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a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 287-302. 

  31. B. Shamir. R. J. House & M. B. Arthur. (1993). The Motivational Effects of Charismatic Leadership: A Self-Concept Based Theory. Organizational Science, 4, 577-594. 

  32. E. Deci & R. M. Ryan.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 Plenum. 

  33. M. Tim. A. B. Bakker & D. Xanthopoulou. (2011). Do transformational leaders enhance their followers' daily work engagement?. The Leadership Quarterly, 22(1), 121-131. 

  34. E. Y. Ryu & M. B. You. (2008).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by a Lea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havioral Types and Innovative Activitie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2(4), 151-177. 

  35. H. J. Kim. (2001).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omparison of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35(2), 197-216. 

  36. H. Y. Lee & Y. C. Chang. (200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Korean Personnel Administration Journal, 28(4), 216-247. 

  37. K. B. Lowe. K. G. Kroeck & N. Sivasubramaniam. (1996). Effectiveness Correlates of Tram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tic Riview of the MLQ Literature. The Leadership Quarterly, 7(3), 385-425. 

  38. G. Yukl. (2006). Leadership in Organizations. 6th ed., Upper Saddle River, NJ : Pearson Education. 

  39. J. J. Sosik. (2006). Full range leadership: Model, research, extensions and training. Inspiring leaders, 33-66. 

  40. B. M. Bass. (199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ustrial, military, and educational impact. London : Lawrence Erlbaum. 

  41. R. Basu & S. G. Green. (1997). Leader­Member Exchange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nnovative Behaviors in Leader­Member Dyad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7(6), 477-499. 

  42. J. S. Shin & J. Zhou. (2003).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servation, and creativity: evidence from Korea.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6(6), 703-714. 

  43. M. Ruevers. M. L. V. Engen. C. J. Vinkenburg & E. Wilson-Evered. (2008).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nnovative Work Behaviour: Exploring the Relevance of Gender Differences. Creativity and Innovation Management, 17(3), 227-244. 

  44. B. L. Rich. J. A. Lepine & E. R. Crawford. (2010). Job Engagement: Antecedents and Effects on Job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3(3), 617-635. 

  45. B. L. Fredrickson. R. A. Mancuso. C. Branigan & M. M. Tugade. (2000). The undergo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Motivation and Emotion, 24(4), 237-258. 

  46. S. P. Robbin & T. Judge. (2007). Perilaku Organisasi Buku 1. Jakarta: Salemba Empat. 

  47. T. Dvir. D. Eden. B. J. Avolio & B. Shamir. (2002).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Followe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 Field Experimen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4), 735-744. 

  48. A. Shirom. (2003). Job-related burnout: A review. In J. C. Quick & L. E. Tetrick(Eds.), Handbook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Washington, DC, US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45-264. 

  49. N. P. Rothbard. (2001). Enriching or depleting? The dynamics of engagement in work and family rol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6(4), 655-684. 

  50. B. L. Fredrickson. (2001). The role of positive emotions in positive psychology: The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merican Psychologist, 56(3), 218-226. 

  51. M. Tims. A. B. Bakker & D. Derks. (2013). The impact of job crafting on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8(2), 230-240. 

  52. B. J. Avolio. W. Zhu. W. Koh & P. Bhatia. (2004).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Moderating Role of Structural Dist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951-968. 

  53. W. B. Schaufeli. A. B. Bakker & M. Salanova. (2006). The Measurement of Work Engagement With a Short Questionnaire. A Cross-National Study: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6(4), 701-716. 

  54. C. Fornell & D. F. Larcker. (1981).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Algebra and Statistic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82-388. 

  55. R. P. Bagozzi. Y. YI & K. D. Nassen. (1998). Representation of measurement error in marketing variables: Review of approaches and extension to three-facet designs. Journal of Econometrics, 89(1-2), 393-421. 

  56. J. C. Anderson & D. W. Gerbing.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57. K. G. Joreskog & K. Sorbom. (1993). LISREL 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IMPLIS command language. Chicago, IL :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58. R. H. Hoyle. (1995).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 issu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CA : Thousand Oaks. 

  59. D. A. Kenny. D. Kashy & N. Bolger. (1998). Data analysis in social psychology. In D. Gilbert, S. Fiske, and G. Lindzey(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4th ed., pp. 233-265). New York: McGraw-Hill, 26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