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메타인지에 대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 적용 효과
Effect of a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in Nursing Students: A Quasi-experimental Study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5 no.2, 2019년, pp.251 - 262  

박광옥 (국립순천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국립경상대학교 간호대학, 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 situational module learning cours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in sophomor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included 64 n...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수행 단계에서는 환자간호진단이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호수행을 선택하고, 수행 후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여 효과적인 간호수행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하도록 하고 기술하였다. 간호평가 단계에서는 간호계획 단계에서 수립된 기대되는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하였으며, 평가가 타 당한지 성찰하고 기술하였다. 해결된 문제는 종결하고, 재 계획이나 수정이 필요한지 검토하고 기술하였다.
  • 이 과정에서 교수자는 간호과정을 분석하고 정리할 학습양식을 제공하고 간호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반복적으로 제공하였다. 교과과정 상 아직 임상관련 과목을 접하지 않은 시기이므로 과제시작 시에 교수자가 전반적인 임상상황 자료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학습해야할 내용을 안내하고 관련된 임상적 지식을 탐구하도록 지도하였다. 학습자는 프로그램 참여 전 선행학습을 통하여 얻은 간호과정에 대한 지식에 근거하여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관련지식의 탐구, 교수자의 피드백을 통해 상황자료에 근거한 간호과정을 적용하도록 하였다.
  • 그동안 문제중심학습 적용에서 학생들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시나리오 학습과 토론 및 발표를 통해 학습과정에 대한 만족감, 학습에 대한 책임감 증진 등의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고(Yang, 2006), 시뮬레이션모델을 이용한 학습에서도 간호 상황을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잘 설계된 임상 시나리오를 통해 프로그램 성과가 나타난 바(Chae, 2015; Choi, 2016)와 같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 향상을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임상사례 혹은 상황 중심의 학습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 능력 함양을 위하여 교수자와 임상실무자가 학습목표와 내용에 맞는 임상사례 즉, 사례 요약, 환자의 진단명, 입원형태, 입원 시 주 증상 등 환자정보의 개요, 수술, 처치, 투약, 검사, 간호 등의 경과 자료 및 현재 환자상태와 상황이 포괄적으로 포함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와의 관련성을 추가 분석하여 추후 메타인지 개발이 비판적 사고성향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파악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비판적 사고성향이 증진되며 메타인지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매우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이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함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향상시키는 교수학습방법을 새로이 제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교수자는 임상실습과 전공이론 수업에 앞서 간호과정을 지도할 때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과 같이 간호문제를 인지하고 해결방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지식뿐만 아니라 비판적 사고 성향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학습자를 유도하며, 학습자는 동료 간 협력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자기를 조절하고 평가해보는 인지과정이 습득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 능력 함양을 위하여 상황적 사례와 관련된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이다.
  • 본 연구는 상황모듈학습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메타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 가설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메타인지 정도가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판적 사고이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는 인지적 원동력으로 근거, 논리, 방법의 타당성 등에 대한 판단과 관계되며(Choi, 2004), 개인의 인식, 지식 및 실무가 요구되는 과정으로 간호사의 임상실무 수행능력을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인 능력이다(Brunt, 2005). 간호사는 임상실무에서 환자간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분석 및 종합하여 효과적인 임상적 결정을 해야 하며 자신이 결정한 간호업무에 대해 논리적으로 타당한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Park & Kim, 2009).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비판적 사고는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이끌어내는 인지적 원동력으로 근거, 논리, 방법의 타당성 등에 대한 판단과 관계되며(Choi, 2004), 개인의 인식, 지식 및 실무가 요구되는 과정으로 간호사의 임상실무 수행능력을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인 능력이다(Brunt, 2005). 간호사는 임상실무에서 환자간호와 관련된 정보를 수집, 분석 및 종합하여 효과적인 임상적 결정을 해야 하며 자신이 결정한 간호업무에 대해 논리적으로 타당한 설명을 할 수 있어야 한다(Park & Kim, 2009). 이러한 비판적 사고를 하기 위해서는 기술적 차원인 비판적 사고기술과 정의적 차원인 비판적 사고성향이 요구되는데(Kang, 2013), 구체적인 전략과 기술을 의미하는 비판적 사고기술과 달리 비판적 사고성향은 어떤 문제 상황에서 비판적으로 사고하려는 동기나 바램, 정서적 성향, 혹은 마음의 습관을 가지는 경향을 의미한다(Kwon et al.
간호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는 데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동안 간호교육에서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임상실무에서 간호사들이 실제 임상사례에 접하여 간호과정을 적용하고 이를 근거로 한 역할수행에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단편적인 간호진단이나 문제해결이 아닌 실제와 유사한 임상상황을 제시하고, 탐구성과 개방성을 발휘하여 반복된 성찰학습을 통해 체계적인 지적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문제중심학습 적용에서 학생들은 실제 상황과 유사한 시나리오 학습과 토론 및 발표를 통해 학습과정에 대한 만족감, 학습에 대한 책임감 증진 등의 긍정적 반응을 나타냈고(Yang, 2006), 시뮬레이션모델을 이용한 학습에서도 간호 상황을 구체적으로 반영하고 잘 설계된 임상 시나리오를 통해 프로그램 성과가 나타난 바(Chae, 2015; Choi, 2016)와 같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메타인지 향상을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임상사례 혹은 상황 중심의 학습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M. H., Whitlow, J. F., Stover, L. M., & Johnson, K. W. (1996). Critical thinking as an educational outcome: An evaluation of current tools of measurement. Nurse Education, 21(3), 23-32. 

  2. Brunt. B. A. (2005).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An integrated review.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6(2), 60-67. 

  3. Chae, M. O. (2015).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etacogn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a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0), 6832-6838. http://dx.doi.org/10.5762/KAIS. 

  4. Choi, E. J. (2016). Relationships between metacognition,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ebriefing experience in simulation as problem-based learning (S-PBL).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6(1), 459-469. 

  5. Choi, E. H., & Lee, S. J. (2017). The effect of education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metacogni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7(2), 91-98. 

  6. Choi, J. I., Yeun, S. H., Shim, K. C., & So, K. H.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meta-cognitio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1), 51-82. 

  7. Choi, H. (2004). The effects of PBL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5), 712-721. 

  8. Cohen, E. D. (2007). The new rational therapy: Thinking your way to serenity, success, and profound happiness. Lanham: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 Inc. 

  9. Hong, C. J. (2011).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metacognitive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0. Hsu L. L., & Hsieh S. I. (2012).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competency inventory for nursing students: A learning outcome perspective. Nurse Eduction Today. 33(5), 492-497. http://dx.doi.org/10.1016/j.nedt.2012.05.028. 

  11. Hwang, Y. Y., Park, C. S., & Chu, M. S. (2007). Correlations among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study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6-155. 

  12. Kang, S. H. (2013). The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to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5(3), 1693-1708. 

  13. Kim, H. S. (2012). Outcome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student evaluation in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2(7), 917-927. http://dx.doi.org/10.4040/jkan.2012.42.7.917 

  14. Kim, J. S., & Kim, Y. H. (2016).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2), 203-212. http://dx.doi.org/10.5392/JKCA.2016.16.12.203 

  15. Kuiper, R. A. (2002). Enhancing metacognition through the reflective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3(2), 78-87. 

  16.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Park, H. S.,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6), 950-958. 

  17. Lee, O. S. (2017).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communication skill, and clinical performanc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93-100. http://dx.doi.org/10.5762/KAIS.2017.18.4.93 

  18. Lee, J. Y., Lee, Y. M., Pak, S. Y., Lee, M. J., & Jung, Y. H. (2013). Effec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emotional regulation, perceived stress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606-616. http://dx.doi.org/10.5977/jkasne.2013.19.4.606 

  19. Lee, Y. J., Lee, J. H., & Gong, S. R. (2012).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critical thinking improvement education program of health care workers. Korean Nursing Science Society Conference, 10, 249-249. 

  20. Lenburg, C. B., Klein, C., Abdur-Rahman, V. A., Spencer, T., & Boyer, S. (2009). The COPA model: A comprehensive framework designed to promote quality care and competence for patient safety.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0(5), 312-317. 

  21. Martin, C. (2002). The theory of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3, 243-247. 

  22. Park, J. A., & Kim, B. J. (2009).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6), 840-850. http://dx.doi.org/10.4040/jkan.2009.39.6.840 

  23. Park, J. Y., Seo, M. G., Kim, H. S., Yoo, K. H., & June, K. J. (2015). A design for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thinking class for new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1), 141-149. http://dx.doi.org/10.5977/jkasne.2015.21.1.141 

  24. Seo, I. S., Park, H. E., & Kim, J. Y. (2016). Impact of self-leadership and metacognition on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8(6), 3423-3436. 

  25. Shin, S. H., & Kwon, J. I. (2015).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meta-cognition,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e case of bas operations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0(7), 185-205. 

  26. Song, J., & Park, J. (2017). The effects of strategy of enhanced metacognition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7), 1-12. http://dx.doi.org/10.14400/JDC.2017.15.7.1 

  27. Yang, J. J. (2006). Effects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2), 287-294. 

  28. Yi, J. (2013). An essay on the studies of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in Korea. The Journal of Humanities, 45, 407-438. 

  29. You, S. Y., & Kim, N. C. (2014). Develop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 evalua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2), 129-138. http://dx.doi.org/10.4040/jkan.2014.44.2.129 

  30. Wang, H. J., Jung, S. A., Park, H. E., Yoo, H. S., Bae, Y. H., & Kim, J. Y. (2016) The metacognition,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9), 619-627. http://dx.doi.org/10.5762/kais.2016.17.9.61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