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과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인성의 매개효과
Effects of Teamwork Competence on Problem Solving in Engineer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2 no.3, 2019년, pp.32 - 40  

배성아 (호서대학교 창의교양학부) ,  옥승용 (한경대학교 토목안전환경공학과) ,  노수림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s of teamwork competence on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personality for the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a regression-based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for a simple mediation model in which teamwork...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팀의 효율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팀원들은 상호 협조하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그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Davis, 2009).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팀워크역량과 문제해결력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자인 팀원들의 정의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개인의 팀워크와 문제해결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창의적 인성 요인을 주목하고자 한다.
  • 팀워크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이 4차 산업혁명 시대 인재의 특성으로서 창의성과 함께 강조되고 있는 핵심역량(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이라는 점을 감안할때 독립적인 주제로서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과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그리고 창의적 인성이 이들의 팀워크역량과 문제해결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변인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일은 다각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에서 창의적 인성이 미치는 매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정한 연구 모형(Fig.
  • 연구문제 1: 대학생의 팀워크역량이 창의적 인성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4년제 대학에서 창의적 공학설계 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팀워크역량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 변인들 관계에서 나타난 창의적 인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의 국립 대학교 재학생 20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로부터 도출된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최근 성공적인 미래교육의 핵심역량으로 부상해온 팀워크역량과 문제해결능력 간의 관계를 입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대상이 경기도 지역에 국한되어 있어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 대상과 변인들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해결능력(problem solving)의 의미는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문제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지식이나 방법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장애나 곤란을 일컬으며, 문제해결능력(problem solving)이란 이것을 새롭고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Parnes(1999)는 문제해결력을 개인이 일상생활 속에서 감지하는 장애나 어려움에 대하여 다양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인지과정으로서의 사고 기술임을 강조하였다.
팀의 효율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팀원들은 상호 협조하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그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이유는? , 2005), 서로 보완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팀 구성원들이 함께 업무를 수행하면서 개인의 강점들을 최대화시켜 시너지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팀워크역량은 팀원들이 문제해결과 관련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골고루 갖춘 상태에서 팀을 위해 기능할 수 있을 때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그러므로 팀의 효율적 문제해결을 위해서 팀원들은 상호 협조하는 방법을 배우고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그동안 드러나지 않았던 자신의 능력을 깨닫고 그러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 환경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Davis, 2009).
일반적으로 문제의 정의는? 일반적으로 문제란 기존에 우리가 알고 있던 지식이나 방법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장애나 곤란을 일컬으며, 문제해결능력(problem solving)이란 이것을 새롭고 적절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Parnes(1999)는 문제해결력을 개인이 일상생활 속에서 감지하는 장애나 어려움에 대하여 다양한 해결책을 선택하는 인지과정으로서의 사고 기술임을 강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강선미(2010). 초등학생의 그룹 창의성 증진을 위한 협업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 슐로모샤란과 예일샤란의 '집단탐구 모형'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인애.정은실(2010). 팀 구성 방식에 따른 학습활동 만족도: 질적 자료 분석에 의한 사례연구. 교육방법연구, 22(3), 67-95. 

  3. 곽병선(2001). 미래 사회와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 19(1), 1-13. 

  4. 김보경(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개인이 인식한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4(2), 49-71. 

  5. 김청자(2011). 고등학생의 창의적 사고력, 창의적 인성, 성취 목표동기 및 가정환경 간의 관계구조 분석. 청소년시설환경, 9(4), 97-108. 

  6. 김혜숙(2009). 대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성향, 과제관련지식,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지각된 환경 변인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3(1), 15-34. 

  7. 문선영(2016). 집단 창의성 기반 과학 활동에서 나타나는 사고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박인숙(2010). 메타인지 기능을 강화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송인섭.김혜숙(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3, 93-117. 

  10. 안중민(2016). 창의성이 요구되는 문제해결과 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유경재.한윤경.하주현(2011). KEDI 창의적 인성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2(4), 217-247. 

  12. 유지원.류다현(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비교과활동 참여와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이 팀웍 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47(2), 153-178. 

  13. 이경화.김은경.유경훈(2013). 대학생의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동기의 관계. 창의력교육연구, 3(1), 125-139. 

  14. 이석재(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기준으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과제보고서. 

  15. 이종연 외(2007).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Creative Problem Solving) 기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의 효과성 분석. 교육공학연구, 23(2), 105-133. 

  16. 정명화.신경숙(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3), 287-301. 

  17. 최민지.김선미.김재경(2016). 예술기반 팀 프로젝트가 팀워크 형성과 신뢰성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0), 403-430. 

  18. 최석봉(2012). 셀프리더십, 창의적 인성, 혁신행동 및 학업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대학조직을 중심으로. 경영과 정보연구, 31(4), 611-638. 

  19. 최윤미(2011). 대학생의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팀웍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연구재단보고서. 

  20.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한 수업 혁신 전략 12가지. KICE 연구.정책브리프. 

  22. 한순미 외(2005). 창의성. 학지사. 

  23. 한지영.방재현(2011).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 구성요소의 가중치 산출에 대한 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8-37. 

  24. 한지영.방재현(2015). 공학계열 학생들의 팀웍 스킬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연구. 공학교육연구, 18(2), 43-51. 

  25. 황순희(2017).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20(2), 39-49. 

  26. 황지영(2018). 팀 프로젝트 기반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팀 만족, 팀 몰입 효과 검증. 단국대학교 정보지식재산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Ahn J.(2003). Personality of learners and group collaboration developments in E-learning.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Chesapeake, AACE: 1455-1458. 

  28. Chen, S., & Caropreso, E.(2004). How Does Personality Influence Collaborative Online Discussion?. Proceedings of Society for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International Conference. Chesapeake, AACE: 2844-2851. 

  29. Davis, M. A.(2009).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od and creativity: a meta-analysi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08(1), 25-38. 

  30. Davis, M. H.(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31. Fredrick, T. A.(2008). Facilitating better teamwork: Analyzing the challenges and strategies of classroom-based collaboration. Business Communication Quarterly, 71(4), 439-455. 

  32. Ge, X., & Land, S. M.(2004).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affolding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processes using question prompts and peer interactions.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52(2), 5-22. 

  33.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34. Hughes, R. L., & Jones, S. K.(2011). Developing and assessing college student teamwork skills. New Directions for Institutional Research, 2011(149), 53-64. 

  35. Iiskala et al.(2011). Socially shared metacognition of dyads of pupils in collaborativ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rocesses. Learning and Instruction, 21(3), 379-393. 

  36. Jonassen, D. H.(2000). Integrating problem solving into instructional design. In Reiser, R. A. & Dempsey, J.(Eds.). Trends and issues in instructional design and technology.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37. Lent, R. W., Schmit, J., & Schmit, L.(2006). Collective efficacy beliefs in student work teams: Relation to self-efficacy, cohens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8(1), 73-84. 

  38. Lingemann, L. S.(1982). Assessing creativity from a diagnostic perspective: The creative attribute profi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39. Martindale, C.(1989). Personality, Situation, and Creativity. Handbook of Creativity. Boston, MA: Springer. 233-242. 

  40. OECD(2017). PISA 2015 Draft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framework. https://www.oecd.org/pisa/pisaproducts/Draft%20PISA%202015%0Collaborative%20Problem%20Solving%20Framework%20.pdf 

  41. Parnes, S. J.(1999). Programs and courses in creativity. In Encyclopedia of Creativity, 2, 456-477. 

  42. Salas, E. et al.(1992). Toward an understanding of team performance and training. In R. W. Swezy & E. Salas(Eds.), Teams: Their Training and Performance. Norwood, NJ: Ablex. 3-29. 

  43. Salas, E., Sims, D.E., & Burke, C.S.(2005). Is there a "Big Five" in teamwork?. Small group research, 36 (5), 555-599. 

  44. Surowieki, J.(2004). The wisdom of crowds: Why the many are smarter than the few and how collective wisdom shapes business, economies, societies, and nations. New York, NY, US: Doubleday & Co. 

  45. Wong, S. S. (2004). Distal and local group learning: Performance trade-offs and tensions. Organization Science, 15(6), 645-656. 

  46. Yeh, Y.-C.(2004). The interactive influences of three ecological systems on R&D employees technological creativity.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6(1), 11-2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