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지적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음악중재연구 분석
An Analysis of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Korea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1, 2019년, pp.1 - 24  

이승은 (대구시 달성군 장애인복지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지적장애 아동 청소년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전반적 특성, 중재내용의 특징, 제시된 음악중재 실행방법의 기술수준과 논거의 적절성을 파악하여 음악중재의 전문성을 알아보고자 함이며, 이를 위해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 및 목표영역에 따른 비교를 통해 연구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연구자는 분석기준에 부합하는 KCI 등재(후보)학술지 게재논문 20편을 선정 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실행된 중재내용의 특징이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 및 목표영역별로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음악중재 실행방법의 기술수준과 논거의 적절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음악치료이론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적절한 논거를 제시한 연구가 2편에 불과하였고, 중재전문성에 따라 목표와 중재논거의 연결성 및 접근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음악치료 전공 여부에 따라 중재논거의 기술수준과 구체성에 차이가 있어 추후 중재연구 결과 해석 시 중재전문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 및 목표영역에 따라 나타난 특징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접근법 및 제시논거의 차이와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의 중재연구에서 음악치료 논거의 구성 및 기술의 구체성에 대한 중요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iterature on music interventions for youth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intervention, target goal domains, and the quality of statements on intervention contents and rationale were explored. What type of intervention was ap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선행문헌에서는 접근한 음악중재의 개념이 모호하여 연구결과 및 결론에 타당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의 논의점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와 차별화된 연구 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적장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연 구를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에 따라 분석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중재내용을 논거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치료 중재 근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적장애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중재연 구를 연구자의 학문적 배경에 따라 분석하여 연구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보고 중재내용을 논거 중심으로 분석하여 음악치료 중재 근거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셋째, 지적장애 아동·청소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음악이해를 바탕으로 치료적 접근을 할 때 이에 대한 논거와 구체적인 기법의 활용, 혹은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이루어져야 하며, 단순한 음악 경험의 즐거움으로 인한 일시적 행동변화 이상의 일관된 치료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자들의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악치료와 음악교육의 공통점은? 반면 지적장애 아동․청소년 대상 음악중재는 실제 특수교육 현장에서 음악교육과 음악치 료의 측면이 모호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거나 중복적으로 활용되기도 한다(Kim, 2013; Park, 2013). 음악치료와 음악교육은 체계적인 계획을 통해 음악을 통한 개인의 변화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나, 음악치료는 치료접근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중재를 중요개념으로 보기 때문에 음악에 반응하여 행동이 변화되는 과정을 중요시하며 음악과 전문음악치료사 모두 중요한 구성요인이다(Bruscia, 2014). 반면 음악교육은 음악성 및 음악적 능력의 계발을 추구하며, 음악활동을 통해 얻어지는 결과물의 완성도를 중요시한다.
음악치료란 무엇인가? 음악치료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치료 매체 중 하나로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가창활동, 악기연주, 음악과 동작, 음악감상 등의 활동은 주의조절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며(Morton, Kershner, & Siegel, 1990), 수용언어 및 의사소통기술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ang & Lee, 2014).
음악치료로 발생하는 긍정적인 효과는? 음악치료는 지적장애를 대상으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치료 매체 중 하나로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 가창활동, 악기연주, 음악과 동작, 음악감상 등의 활동은 주의조절능력 및 집중력을 향상시키며(Morton, Kershner, & Siegel, 1990), 수용언어 및 의사소통기술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Chang & Lee, 2014). 뿐만 아니라 가사 및 선율을 직접 구성하는 기법을 포함한 치료적 노래만들기를 통해 자기표현능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중재로도 활용하는 등(Yun, 2018) 다양한 형태의 중재가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S. H. (2014). A systematic review of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using musi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2000-2013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 Bruscia, K. (2014). Defining music therapy (3rd ed.). University Park, IL: Barcelona Publishers. 

  3. Cha, J. Y., & Moon, J. Y. (2015). A meta-analysis of the music therapy. The Korean Journal of Arts Studies, 11, 193-224. 

  4. Chang, I. S., & Lee, H. J. (2014).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by the change of lyrics on the improvement of the receptive language and the expressive languag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Korean Association for Clinical Healing Arts, 3, 63-79. 

  5. Chong, H. J. (2015). Music therapy: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2nd ed.).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6. Chong, H. J., Lim, J. H., & Hwang, S. Y. (2018). Review of studies using a rhythm task intervention and rationale for its formulation.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1), 95-118. 

  7. Jang, Y. H. (2017). A meta-analysis of effects on group musical activities for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Cheonan. 

  8. Ji, K. M. (2015). A tablet PC-based music-making program for improving executive func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1-21. 

  9. Kim, H. Y. (2018). Music therapy research trends in KCI journals.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2), 1-22. 

  10. Kim, K. H., & Kim, E. H. (2015). A review of research on music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Journal of Emotion & Behavioral Disorders, 31(3), 21-50. 

  11. Kim, K. J. (2013). A review of music therapy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12. Lee, D. S. (2015). The effects of musica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published in 2000-2014. Special Education Research, 14(1), 363-390. 

  13. Lee, J. Y. (2012). Analysis of the tendency of Korean master's thesis related to music therapy for intellectual disability (1999-2012)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ei University, Gunpo. 

  14. Lee, S. I. (2018). Analysis of the music application and therapeutic rationale in music intervention studies for respiratory rehabili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Ministry of Education (2018).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2018. Retrieved from http://www.nise.go.kr/boardCnts/view.do?boardID356&boardSeq701371&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nise&m010502&opTypeN 

  16. Morton, L. L., Kershner, J. R., & Siegel, L. S. (1990). The potential for therapeutic applications of music on problems related to memory and attention. Journal of Music Therapy, 27(4), 195-208. 

  17. Park, E. J. (2013). Intellectual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school musical lecture teaching method guideline development aiming first and seco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Robb, S. L., Carpenter, J. S., & Burns, D. S. (2011). Reporting guidelines for music-based intervention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6(2), 342-352. 

  19. Seung, Y. H. (2006).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music therapy in general music education. Music and Korea, 32, 439-464. 

  20. Yun, Y. E. (2018). Improved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cochelar implants after a songwriting intervention: A case study.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5(2), 69-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