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정보 기반 환경영향평가 활성화를 위한 표준화 방안
Standardization Plan for Activation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5 no.3, 2019년, pp.433 - 446  

장정윤 (한국국토정보공사) ,  조남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이명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적 가치를 보존하고 개발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 제도가 수행되고 있다. 현재의 환경영향평가의 객관성 강화하기 위해 데이터 기반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또한 국가 차원의 다양한 공간정보 제공 및 환경영향평가에 공간정보 연계 가능성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제도의 공간정보 활용 확대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환경영향평가에서 공간정보가 체계적으로 활용되고 있지 않는다. 또한 환경영향평가 업무 종사자(담당 공무원, 환경영향평가서 대행기관, 검토기관 등)들은 공간정보 개념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공간정보 활용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표준화(좌표, 속성 테이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국가 공인의 좌표계 및 표준을 기반으로 표준 좌표계를 제안하였으며, 환경매체별 조사 항목의 데이터 테이블의 기본항목을 9개로 설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술된 표준화를 실제 환경영향평가 사업에 대하여 시범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표준화 방안은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활성화 및 평가 분야의 범위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performed as preliminary assessment system in order to conserve environment value and minimize negative effect from development. Assessment based on data has been necessary to strengthen objectivity in proc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ocess. Furth...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영향평가서 내부에 자료는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환경영향평가 관련된 정보는 대부분 공간정보로 구축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간정보 기반의 환경을 조성하여 환경영향평가에 공간정보 활용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또한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시 정의된 공간적 특성이 명확하지 않아 사업 내부의 분석 및 연계 분석이 어렵다는 활용의 제한이 있었다. 따라서 공간정보 활용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간정보의 특성 정보에 대한 표준화를 수행하였다.
  • , 2017). 따라서 공간정보기반의 환경영향평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환경영향평가서 내부의 공간정보를 연계 활용이 가능한 ‘정보’의 개념으로 복원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시 공간적 특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해야한다. 따라서 공간정보에 대한 별도의 전처리 과정 없이 환경영향평가 과정에서 공간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환경영향평가의 공식화된 공간적 특성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의 특성을 표준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환경영향평가 분야에서 공간정보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 연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국외 환경영향평가에서 공간정보 활용 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또한 공간정보는 테이블 구조의 데이터베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석 중 연계 활용을 위해서 동일한 테이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표준화에 대한 우선적인 방안으로 공간정보의 좌표 및 데이터 테이블 구조의 표준화를 수행하였다.
  • 국외에서도 국가적 차원에서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정보 활용 발전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국외의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공간정보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외의 사례로 미국, 독일, 일본, 아이슬란드 환경영향평가서의 공간정보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다.
  • , 2000; Yoon, 2002). 이를 통하여 실제 개발 사업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환경 문제를 저감시켜 환경보전의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가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 2000; Yoon, 2002). 이를 통하여 실제 개발 사업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환경 문제를 저감시켜 환경보전의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환경영향평가란 무엇인가? 개발과 보전이 균형을 이루어 지속가능한 국토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환경영향평가(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는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부터 시행되고있다. 환경영향평가는 인간의 주요 활동 즉, 개발 행위에 대한 환경의 영향을 예상, 평가하여(Munn, 2015) 친환경적 개발을 모색하는 것이다(Lee and Yi, 2000; Han et al., 2000; Yoon, 2002).
환경영향평가제도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환경영향평가서 부실 작성, 주민의견 수렴 미흡, 정보 공개와 의사결정 투명성 확보 부족 등의 문제점이 제고되면서 환경영향평가제도 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Ku, 2002; Yun, 2004; Jung, 2009; Chang and Jeon, 2013).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환경영향평가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데이터 과학 기반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rnardottir, M. and B.J. Gunnar, 2016. Sound level bills from the proposed wind turbines, Landsvirkjun, Reykjavik, Iceland. 

  2. Baden Baden, 2018. Flood protection concept Steinbach - Water development section 1 in the area between the districts Steinbach and Neuweier, https://www.uvp-portal.de/, Accessed on Jun. 21, 2019. 

  3. Bonneville Power Administration, 2006. Klondike III/Biglow Canyon Wind Integration Project, https://www.bpa.gov/efw/Analysis/NEPADocuments/Pages/Klondike.aspx, Accessed on Jun. 21, 2019. 

  4. Bonneville Power Administration, 2015. Hooper Springs Transmission Project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www.bpa.gov/efw/Analysis/NEPADocuments/Pages/Hooper-Springs.aspx, Accessed on Jun. 21, 2019. 

  5. Bonneville Power Administration, 2017. Melvin R. Sampson Hatchery Yakima Basin Coho Project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DOE/EIS-0522, https://www.bpa.gov/efw/Analysis/NEPADocuments/Pages/MelvinSampsonHatcheryakimaBasinCohoProject.aspx, Accessed on Jun. 21, 2019. 

  6. Chang, H. and H.J. Jeon, 2013. The Improvement for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1(1): 45-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 N.W. and M.J. Lee, 2019. A Study on Inventory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for Spatial Informationbase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35(2): 317-3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 N.W., J.H. Maeng, and M.J. Lee, 2017. Use of Environmental Geospatial Information to Suppor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Follow-Up Management, Korean Society of Remote Sensing, 33(5): 799-8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EFLA, 2011. Efnistaka Bolaoldum Olfusi, https://www.efla.is/mat-a-umhverfisahrifum/efnistakaibolaoldum, Accessed on Jun. 21, 2019. 

  10. FirstNet, 2017. Nationwide Public Safety Broadband Network Final Programmatic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for the Southern United State, https://www.energy.gov/nepa/eis-0530-nationwidepublic-safety-broadband-network-programmaticenvironmental-impact-statement, Accessed on Jun. 21, 2019. 

  11. Germany Hamburg Waterways and Shipping Agency, 2018. Fahrrinnenanpassung von Unter-und Aussenelbe fur 14,5 m Tiefgehende Containerschiffe. 

  12. Han, S.W., H.C. Sung, S.H. Lee, and Y.K. Jang, 2000. New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ory, Hyang Moon Sa, Seoul, Korea. 

  13. Hokuriku Electric Power Co. Ltd., 2014. Toyama Shinko Thermal Power Station Coal No. 1 Unit Replacement Plan. 

  14. Joo, Y.J., E.J. Ha, and C.M. Jun, 2012. An Empirical Evaluation Scheme for Pedestrian Environment by Integrated Approach to TOD Planning Elements,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20(3): 15-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ung, B.G., 2009. A Note o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Evaluation in an Engineer's Viewpoint-, Public Law, 10(2): 327-3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u, D.W.,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Social Impact Assessment in Korea- Suggestions for Policy Reform, Proc. of 2002 Korean Association for Environmental Sociology, Jangseong, Oct. 11-12, vol. 1, pp. 34-51. 

  17. Lee, H.Y., 2007.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2(1): 133-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P.I. and Y.K. Yi, 2000.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ory and Practice, YangSeoGak, Seoul, Korea. 

  19. Muller-BBM, 2018. For the planned change of the HKW Mannheim by establishment of plants for the thermo-chemical sewage sludge treatment with phosphorus recovery (KBA, Klarschlammbehandlung mit Phosphorruckgewinnung), https://www.uvpportal.de/, Accessed on Jun. 21, 2019. 

  20. Munn, R. E., 2015.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Stuart, S. (Ed.), Science for Better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gress on the Human Environment (Hesc) (Kyoto, 1975), Elsevier, Amsterdam, Netherland, pp. 135-141. 

  21. Nagasaki, 2013. Shinnishi factory construction project, http://www.city.nagasaki.lg.jp/shimin/140000/149003/p007415.html, Accessed on Jun. 21, 2019. 

  22. Narita Express Railway Access Co. Ltd., 2005. Narita New Express Railway Line Construction Project, https://www.pref.chiba.lg.jp/kansei/eikyouhyouka/jigyou/110_narita/index.html, Accessed on Jun. 21, 2019. 

  23. Oil transportation lease Moriyama, 2018. Otakayama Wind Power Generation Projec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reparation. 

  24. Song, D.H., J.W. Ryu, and E.H. Jung, 2015. A Study on Application of Open Platform of Spatial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Supporting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8(1): 105-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The Country Styria, 2018. Summarized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Impact Update. 

  26. The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16. Lower Yellowstone Intake Diversion Dam Fish Passage Project, Montana,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https://www.energy.gov/nepa/eis-0526-lower-yellowstone-intake-diversion-damfish-passage-project-near-glendive-montana, Accessed on Jun. 21, 2019. 

  27. U.S. Department of Energy, 2010. Kemper County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Cycle (IGCC) Project,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DOE/EIS-0409) VOLUME 1, https://www.energy.gov/nepa/downloads/eis-0409-finalenvironmental-impact-statement, Accessed on Jun. 21, 2019. 

  28. U.S. Department of Energy, 2016.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for the Recapitalization of Infrastructure Supporting Naval Spent Nuclear Fuel Handling at the Idaho National Laboratory (DOE/EIS-0453-F), https://www.energy.gov/nepa/downloads/eis-0453-final-environmentalimpact-statement, Accessed on Jun. 21, 2019. 

  29. Yoon, Y.C., 2002. Problem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13: 243-264. 

  30. Yun, S.J., 2004.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Prevent, Mitigate and Resolve Environmental Conflicts: Focuse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tizen-Involved Social Impact Assessment,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5(1): 283-3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