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영향평가의 시민참여 절차에 관한 해외사례 연구
International Case Study on the Public Participation Procedure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9 no.5, 2020년, pp.363 - 376  

김진오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민병욱 (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 사회의 성숙한 민주주의와 보다 지속가능한 환경관리를 위해 다양한 정책과 제도적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환경영향평가 시 필수적인 과정으로 여겨지는 시민참여의 중요성은 관련 이론 및 실천 영역에서 꾸준히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제한적이나마 여러 형태의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의사결정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수렴이 실효적이지 않고 형식적인 절차로 전락했다는 비판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환경영향평가의 시민참여 측면에서 다양한 문제와 정책적 시도를 경험한 외국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에 있어 시민 참여의 의의와 목표 그리고 효율적인 적용을 위한 원칙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의 시민 참여 제도와 절차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실행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구체적인 시민 참여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 둘째,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것, 셋째, 절차상 참여 가능한 단계를 더욱 확장해 나갈 것, 마지막으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기회를 보장할 것 등이다. 본 논문은 국내 환경영향평가에서의 시민 참여 증진을 위해 해외 사례들을 폭넓게 분석한 연구로서 의의를 지니며, 향후 보다 다양한 정책개발 및 실증적 사례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policies and institutional efforts are being made for mature democracy and more sustainable administration of our society. In this respect, the importance of civic participation, considered essential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consistently emphasized in the relevant theori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내의 환경영향평가가 가지고 있는 시민참여와 의견수렴과정의 문제를 종합하고, 그 문제에 대해 한국보다 긴 역사를 가진 외국의 사례에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2장에서 폭넓은 문헌 고찰을 통해 환경영향평가에 있어서 시민참여의 의미와 효과적인 시민참여를 위한 원칙을 체계적으로 분류한다.
  • 캐나다 정부는 참여지원금 프로그램의 운영을 통해 시민들에게 펀딩을 지원함으로써 참여기회를 확대하고 평가의 수준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는 평가를 일부 기관 또는 업체에 전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공모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에 대해 전문적 식견이 있는 많은 시민과 기관, 단체 등이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평가의 수준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평가서 내용의 전문성과 평가내용 전달방식의 한계 등은 시민참여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장애 요소로 인식되는 만큼, 다양한 시각적 효과 및 참여를 위한 툴의 개발 또한 중요한 과제로 확인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영향평가의 가장 큰 목적은? 환경영향평가의 가장 큰 목적 중 하나는 이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각종 개발행위의 의사 결정과정에서 환경적 고려를 반영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협의(consultation)와 참여(participation)가 없는 환경영향평가는 진정한 환경영향평가가 아니 다”(Wood 2002)라는 주장처럼 시민참여는 환경영향 평가의 핵심 사항 중 하나이다.
국내에서 환경영향평가의 의사결정에 있어 시민참여제도가 시작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국내에서 환경영향평가의 의사결정에 있어 시민참여제도는 1990년 8월 환경정책기본법이 제정되면서 동법 제26조에 의거 사업자는 당해 사업 시행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게 되는 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환경영향평가서의 내용에 포함하도록 명시한 것으로 시작되었다. 이후 기존에는 제출된 의견수렴 결과에 따라 필요한 경우 공청회와 설명회를 개최하던 것에서 1993년 6월 제정된 환경영향평가법에서는 이를 의무화 방식으로 전환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다.
외국의 시민 참여 제도와 절차에 대해 고찰해 연계된 구체적인 실행 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이를 바탕으로 미국, 영국, 독일, 일본, 캐나다 등의 시민 참여 제도와 절차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이와 연계된 구체적인 실행 사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시사점으로는 첫째, 구체적인 시민 참여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것, 둘째, 의사결정과정의 투명성을 확보할 것, 셋째, 절차상 참여 가능한 단계를 더욱 확장해 나갈 것, 마지막으로 이해당사자들의 참여기회를 보장할 것 등이다. 본 논문은 국내 환경영향평가에서의 시민 참여 증진을 위해 해외 사례들을 폭넓게 분석한 연구로서 의의를 지니며, 향후 보다 다양한 정책개발 및 실증적 사례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re P, Enserink B, Connor D, Croal P. 2006. Public participation international best practice principles. Special Publication Series, 4. 

  2. Berry R, Higgs G, Langford M, Fry R. 2010. An evaluation of online GIS-based landscape and visual impact assessment tools and their potential for enhancing public participation in the U.K. 1ST International Workshop on Pervasive Web Mapping, Geoprocessing and Services, ISPRS Working Group IV/5, 26-27th August 2010, Como, Italy. 

  3. Buter C, Parkhill K, Pidgeon N. 2013. Deliberating energy system transitions in the UK - transforming the UK energy system: public values, attitudes and accessibility. UKERC: London. 

  4. CEAA [Internet]. Canadian Environmental Assessment Agency. [cited 2019 Jul 7]. Available from: https://www.canada.ca/en/impact-assessmentagency.html 

  5. Cho KJ, Choi JG, Park YM, Song YI, Sagong H, Lee SB, Jung JC, Im YS. 2008. Achievement and development of EIA over the last 30 year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RE-12. [Korean Literature] 

  6. Clark B. 1994. Improving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uilt Environment. 20(4): 294-308. 

  7. Council of Environmental Quality (CEQ). 2007. A Citizen's Guide to the NEPA. [cited 2020 Jul 7]. Available from: https://ceq.doe.gov/docs/get-involved/Citizens_Guide_Dec07.pdf 

  8. Glucker AN, Driessen PP, Kolhoff A, Runhaar HA. 2013.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why, who and how?. Environ Impact Assess Rev. 43: 104-111. 

  9. Hartley N, Wood C. 2005.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implementing the Aarhus Convention. Environ Impact Assess Rev. 25(4): 319-340. 

  10. IEMA. 2002. Perspectives: guidelines on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11. Kim BW, Yi YK. 1996. A Study on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 focused on systematic aspects and content analysis, J Environ Impact Assess. 5(1): 1-14. [Korean Literature] 

  12. Lawrence DP. 2013. Impact Assessment: practical solutions to recurrent problems and contemporary challenges. John Wiley & Sons. 

  13. Lee HS. 2015. Public environmental litigation and Aarhus Convention : based on British cases. Environmental Law & Policy, 14: 233-262.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Japan Agency. Environmnetal Impaqct Assessment Division. Government of Japan. Available from: https://www.env.go.jp/en/focus/docs/files/20120501-04.pdf 

  15. MHCLG [Internet]. Ministry of Housing, Communities & Local Government. [cited 2020 Jul 7]. Available from: https://www.gov.uk/guidance/environmental-impactassessment 

  16. Momtaz S, Gladstone W. 2008. Ban on commercial fishing in the estuarine waters of New South Wales, Australia: community consultation and social impacts. Environ Impact Assess Rev. 28(2-3): 214-225. 

  17.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Understanding risk: informing decisions in a democratic societ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18. O’Faircheallaigh C. 2010. Public participa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urposes, implications, and lessons for public policy making. Environ Impact Assess Rev. 30(1): 19-27. 

  19. Palerm JR. 1999.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examining the Aarhus Convention. J Environ Assess Policy Manag. 1(02): 229-244. 

  20. Petts J. 1999. Handbook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Blackwell Science. 

  21. Philipp R, Sangenstedt C. 2014. Report on Germany: Impact Assessments - Preventive Measures against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s in the 21st Century Agency. EU Forum of Judges for the Environment (EUFJE). Available from: http://eufje.org/images/docConf/bud2014/DE%20bud2014.pdf 

  22. Stern PC, Dietz T. 2008.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decision mak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3. Stewart JM, Sinclair AJ. 2007. Meaningful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ssessment: perspectives from Canadian participants, proponents, and government. J Environ Assess Policy Manag. 9(02): 161-183. 

  24. Tsunoda I. 2006. Yokohama City - Pioneer in Public Involvement. Japan for Sustainability Agency [Internet]. [cited 2017 Sep 10]. Available from: https://www.japanfs.org/en/news/archives/news_id027944.html 

  25. Watson G, Courtney F. 2004. Nantucket Sound Offshore Wind Stakeholder Process. Environmental Affairs, 31: 263-284. 

  26. Wesolowski C. 2006. Environmental assessments and stakeholder involvement [internet]. [cited 2019 May 10]. Available from: https://inis.iaea.org/collection/NCLCollectionStore/_Public/37/101/37101561.pdf. 

  27. Wood CM. 2002.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 comparative review. 2nd ed. Harlow7 Prentice Hall. 

  28. Yoo HS, Joo YJ, Jeong SH. 2002. Notes: a study of effective collection of public opinion 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J Environ Impact Assess. 11(4): 311-319. [Korean Literature] 

  29. Yun SJ. 2004.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o prevent, mitigate and resolve environmental conflicts: focused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itizen- Involved social impact assessment.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15(1): 283-311.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