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112 - 122  

김유미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에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 3곳의 간호학과 재학생 218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학습몰입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은 셀프리더십(r=.50, p<.001), 긍정심리자본(r=.52, p<.001)과 정적상관이 있었으며,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 간에도 정적상관(r=.60, p<.001)이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셀프리더십은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44.1%로 나타났다(F=20.619, p<.001). 또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4개요인 중 자기효능감, 희망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높으면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간호대학생이 인지하는 긍정심리자본 역시 학습몰입의 강화에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이 학습몰입과 긍정적인 관련성이 있으므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셀프리더십과 긍정심리자본을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design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and th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tween self-leadership and learning flow.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218 nursing 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세 변인 관계를 통해, 셀프리더십은 긍정심리자본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으며, 긍정심리자본은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여 이를 근거로 간호대학생의 긍정적인 인지 상태와 강점을 증진하고, 행동과 심리적 부적응문제를 예방함으로써, 향후 간호대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학습몰입 향상을 위한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은 어떤 목표를 갖는가? 간호교육은 학생들이 교육과정을 마친 후 전문직 간호사로서 그들의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필요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하고, 자신과 외부환경의 탐색을 통하여 자기개념을 정립해 나가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1].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특징은? 셀프리더십은 개인에게 자율성과 책임감이 주어질 때,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고 관리하면서 높은 성과를 올리도록 이끄는 자율적인 힘이다[2].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학업에 흥미를 더하여 학습성과를 나타내고, 학과만족도를 높이고, 자신의 행동에 책임감을 느끼고 스스로 설계한 목표를 향하여 창의적인 성향을 지니고 나아가게 하여대 학생의 역량 향상에 도움을 준다[3,4].
청소년들의 긍정심리자본 측정을 위한 척도의 총 문항의 예시는? 척도의 총 문항은 18문항이며, 하위요인은 자기효능감(5문항), 낙관주의(5문항), 희망(5문항), 회복 탄력성(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항의 예를 들면 ‘나는 계획한 목표 대부분을 달성할 수 있다’, ‘나는 내 미래에 대해 항상 낙관적이다.’, ‘현재 내가 처한 어려움을 해결할 방법이 많이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어려운 일을 겪더라도 빨리 회복하는 편이다‘ 등이다. 각문항은 Likert 5점 척도(전혀 그렇지 않다 1에서 매우 그렇다 5까지)로 측정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음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 J. Kim, Y. H. Ahn, M. W. Kim, Y. O. Jeong, J. H. Lee, "Development of Standards and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a Baccalaureate Nursing Education Program: Reflections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Nursing Profession", J Korean Acad Nurs, 36(6), pp. 1002-1011, 2006. 

  2. C. C. Manz, H. P. Sims, Super-leadership: beyond the myth of heroic leadership. Organizational Dynamics, 14(4), pp. 18-35, 1991. DOI: http://dx.doi.org/10.1016/0090-2616(91)90051-A 

  3. B. K. Kim, C. Y. Jyung,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Leadership, Problem Solving Ability, and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4(2), pp. 49-71, 2012. 

  4. Y. S. Lee, S. H. Park, J. K. Kim, "Nursing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6), pp. 229-240, 2014.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6.229 

  5. K. H. Park,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reativity and Job Involvement of Small & Medium Company Employee". Journal of Corporate Education, 14(1), pp. 115-132, 2012. 

  6. F. Luthans, C. M. Youssef, & B. J. Avoli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7. F. Luthans, J. B. Avey, B. J. Avolio, & S. J. Peterson, "The Development and Resulting Performanc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21(1), pp. 41-67, 2010. DOI: http://dx.doi.org/10.1002/hrdq.20034 

  8. J. Y.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nd worker's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4. 

  9. Y. D. Choi, H. J. Jeong, D. S. Lee, "Leader's use of humor and employees' performance and work happiness", Korean Management Review, 41(3), pp. 575-605, 2012. 

  10. S. J. Jeon, J. M. Na,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and the Career Plan",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17(3), pp. 319-342, 2013. 

  11. M. Y. Lee, K. H. Kim,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8(2), pp. 166-175, 2012.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2.18.2.166 

  12. S. H. Kim, S. Y. Park, "Factors Influencing on Learning Flow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3), pp. 1557-1565, 2014.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4.15.3.1557 

  13. A. Y. Kim, H. Y. Tack, C. H. Lee,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Learning Flow Scale fo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1), pp. 39-59, 2010. 

  14. S. I. Park, Y. K. Kim,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Open Association Education, 14(1), pp. 93-115, 2006. 

  15. M. Csilkszentmihalyi,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1st ed.). New York: Harper-Collins Publishers, 1996. 

  16. J. C. Perry, "School engagement among urban youth of color: criterion pattern effects of vocational exploration and racial identity", Journal of Career Development, 34, pp. 397-422, 2008. DOI: http://dx.doi.org/10.1177/0894845308316293 

  17. S. J. Lee, "The Effect of Flow on Learning and Self-efficacy on Colleg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in Undergraduat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5(2), pp. 235-253, 2011. 

  18. M. K. Hong, "The Impa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on the Learning Flow :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9(6), pp. 1-23, 2015. 

  19. K. H. Kim, E. H. Hwang, "Influence of Ego-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 Leadership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2), pp. 436-44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2.436 

  20. N. Y. Yang, S. Y. Moon, "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17(2), pp. 216-225, 2011.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1.17.2.216 

  21. M. A. Park, "Self-leadership, stress on clinical practice, and stress coping styles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009. 

  22. C. C. Manz, "Self-leadership:Toward an expa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pp. 585-600, 1986. DOI: http://dx.doi.org/10.5465/AMR.1986.4306232 

  23. H. S. Kim, "Middle school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Seoul, 2002. 

  24. T. H. Le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K-PPC)",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6(3), pp. 157-166, 2014. 

  25.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p. 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26. H. J. Won,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Stress Coping on College Life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9(1), pp. 123-131, 2015. DOI: http://dx.doi.org/10.12811/kshsm.2015.9.1.123 DOI: 10.12811/kshsm.2015.9.1.123 

  27. J. Y. Lee, M. H. Cho, "Correlations between self-leadership,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in a diploma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 Higher Voc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3(3.4), pp. 241-253, 2012. 

  28. H. Y. Ha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nse of humor on their psychological capital and self-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2013. 

  29. M. S. Kang, E. R. Bang,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between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and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20(4), pp. 443-467, 2014. 

  30. O. S.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 leadership among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9), pp. 6036-604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036 

  31. S. R. Lee,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upon organizational change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and the inter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