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 중등 학교 숲 활용 교육을 위한 IT 융합 방안 탐색
An Exploration of IT Convergence Methods for School Forests Educ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12 - 120  

김성애 (운암중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 중등 교육에서 IT 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기존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초, 중등 교육 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제점과 요구 분석을 통해 IT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 검토를 통해 적합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식물의 수집 및 관찰, 재배 및 수확, 간단한 공예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교육에 더하여 Hands-on Activity 중심의 IT 융합 수업을 제안하였다. 둘째, 다양한 재료, 피지컬 컴퓨팅 도구, 프로그래밍 툴을 활용한 IT융합 수업을 제안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실과의 식물 가꾸기, 동물 기르기 관련 단원과 중, 고등학교 기술 가정과의 생명기술 관련단원 등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수업 뿐 아니라 중학교 자유학기 활동 및 방과 후 학교 등 다양한 교육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포함하였다. 학교 숲은 농업, 생명기술 관련 영역의 학습을 위해 매우 중요한 학습 공간이다. 따라서, 제시된 IT융합 수업을 통해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서의 가치가 재발견됨은 물론이며 재평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sing school forests via IT convergence. To this aim, we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on education using school forests to identify the problems with the existing education using school forests, 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에도 명찰 만들기 활동은 학교 숲 활용 교육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익숙한 교육활동에 IT 융합 요소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현장 교사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 활동은 학교의 여건에 따라 2가지로 구분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인 요소를 품고 있는 학교 옥외 공간인 학교 숲을 활용한 교육에서 기존의 수업과는 다른 IT를 융합한 수업 방안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초, 중등 현장 교사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초, 중등 학교 숲 활용 교육을 위한 IT 융합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 중등 교육을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의학교 숲 활용 교육의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초, 중등 현장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 고찰과 연구 참여자의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을 위한 IT 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IT 융합 수업의 활동 과제는 ‘IT를 융합한 숲 명찰 만들기’이며 ‘목공과 IT를 융합한 숲 명찰 만들기’ 또는 ‘다양한 재료와 IT를 융합한 숲 명찰 만들기’로 변경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다.
  • 직전 학년에서 자유학기 활동을 통해 프로그래밍과 IT 관련 내용에 대해 학습한 상태이므로 그와 관련한 사전 탐구 학습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학교 숲 활동이라는 테마에 맞춰 집중하여 수업 시간을 할애할 수 있을 것이다. 연계 자유학기 활동은 주제선택활동을 필수로 하여 직전 학년의 자유학기 활동과 연계된 활동을 함으로써 학생들의 꿈과 끼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IT 융합을 통한 학교 숲 활용 수업은 IT와 관련된 수업을 선택하여 들었던 학생들의 꿈과 끼를 연장한다는데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기존의 학교 숲 활용 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였으며 초, 중등 현장 교사의 인터뷰를 통해 학교 숲 활용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 중등 학교 숲 활용 교육에 있어서 IT 활용 수업 방안을 구체화 하였다.
  • 최근 교육과정 클러스터는 소프트웨어교육의 강화에 힘입어 소프트웨어 교육과 관련된 과정이나 로봇,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와 같은 과정이 많이 개설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소프트웨어나 피지컬 컴퓨팅을 배우게 한 후 적용할 수 있는 Hands-on Activity의 하나로 학교 숲 활용 수업을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 숲이 미세먼지를 낮추는 효과 외의 긍정적인 영향은 무엇인가? 왜냐하면 도시 숲이 미세먼지를 낮추는데 탁월한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2]. 뿐 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미세먼지를 비롯한 각종 오염에 대한 신체적 저항성까지 증대시키고 있다[3]. 이러한 가운데 산림청은 도시 숲의 일환으로 학교 공간에 숲을 조성함으로써 녹지 면적을 확충하는 것과 동시에 청소년의 자연 체험의 기회 및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고자 ‘학교 숲 운동’을 진행하고 있다[4].
학교 숲이란 무엇인가? 학교 숲은 학교 옥외 공간으로서 국민의 30%이상을 차지하는 학생과 교직원이 일상생활을 절반이상 보내는 생활공간이다[5]. 따라서 학교 숲은 학교 구성원들이 멀리 가지 않고도 언제든지 숲과 상호작용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생활공간이 되는 것이다.
학교 숲은 어떠한 가치를 가지는가? 뿐 만 아니라 학부모를 비롯한지역 주민들에게 개방된 공간이라는 특징도 가지고 있다. 즉, 학교 숲은 환경적, 사회적 가치와 함께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HO. (2016. 09. 27). WHO releases country estimates on air pollution exposure and health impact,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s://www.who.int/en/news-room/detail/27-09-2016-who-releases-country-estimateson-air-pollution-exposure-and-health-impact 

  2. S. Fan, X. Li, J. Han, Y. Cao & L. Dong. (2017). Field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landscape structure on different-sized airborne particles in residential areas of Beijing, China. Atmospheric Environment, 166, 192-203. 

  3. The Korea Forest Service. (2018).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Infrastructure for the Reduction of Fine Dust and the Decent City. Daejeon : The Korea Forest Service. 

  4. The Korea Forest Service. (2019). Teacher's forest classroom : A Study on the Meaning and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School Forests. http://www.forest.go.kr/newkfsweb/html/HtmlPage.do?pg/foreston/fon_culture/UI_KFS_1001_050220_d2.html&orgIdfon&mnKFS_01_13_03_06_02 [Viewed 20. March. 2019] 

  5. Y. S. Hue, S. K. Lee, Y .K. Sim, I. H. Kim, K. S. Han, S. Yoon, C. G. Ohoi, & Y. S. Jung. (2014). A Study on the Composition Principl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chool Forest Movement: Based on the Performance in 15 Years and Value of School Forest. Journal of environment education, 27(2), 174-186. 

  6. I. H. Kim, S. J. Choi & S. H. Lee. (2000).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y and State of School Forest Movement. Journal of environment education, 13(1), 111-121. 

  7. Forest of Life. (2018, May). 2017 School Forest Dream School Utilization Education Progress Report. https://schoolforest.or.kr/215 

  8. S. K. Jang & S. K. Lee. (2018).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Mixed-use Science Program on the Key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ed on School Forest Utilization Classes. Proceeding of Academic Conferenc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pp. 74). 

  9. I. H. Kim. (2007). Improvement plans of school forest for eco-school -focused on the school forest project led by the government-. Journal of KIEF, 14(1), 121-129. 

  10. H. I. Lee. (2008), Effects of school forest on elementary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pro-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11. S. H. Lee. (1997), Green space expansion for green network in seoul,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12. K. L. Park, & K. L. Sim. (2010).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s Utilizing Forests on Maladjusted Behavior of Mentally Retarded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64-79. 

  13. S. Y. Hwang & S. H. Ryu. (2004). Effects of Activity-Orien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7(3), 169-180. 

  14. J. R. Yu, & C. M. Park. (2015). The Influence of Forest Activit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nges in the Awareness of Fo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cology, 29(3), 462-473. 

  15. J. H. Song & H. C. Lee. (2018). The Effect of School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tific Exploration and Attitude to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eoscience and Education, 11(3), 182-192. 

  16. S. A. Kim, D. Joung, G. Kim & B. J. Park. (2015). The Effect of Forest Activities on Attitude Toward Forest and Mental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Forest Recreation, 19(4), 35-43. 

  17. S. M. KIm, J. H. Lee &.Y. O. Jeong. (201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Experience Activity Using School Forest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 Sensitivity and Environment-friendly Attitud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05-124. 

  18. Y. S. Lincoln. & E. E. Guba. (1986). Research,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Heuristics for disciplined inquiry. Review of Policy Research, 5(3), 1-42. 

  19. M. S. Lee & J. Y. Jang. (2016). Program Develope and Class Design for Convergence ICT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1738-1916. 

  20. Ministry of Education. (2015).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Notice No. 2015-74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21. Y. K. Han, S. S. Chung, S. K. Kim & J. Y. Chung. (2012). An Analysis of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tion on the Students' Autonomy Activities.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4), 1229-1254. 

  22. H. J. Lee, S. C. Oh & S. J. Hong. (2006). Methods for supporting and activating class consulting. The second class consulting workshop data book, Gyeongin University of Education's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Group, 33-6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