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문기사의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한 재난대응에 대한 고찰 - 2017년 11월 '포항지진'을 중심으로
A Review on Disaster Response throug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 Focused on the November 2017 Pohang Earthquake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5 no.2 = no.44, 2019년, pp.223 - 238  

이예슬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Social Economy, Ewha Womans University) ,  전혜숙 (Center for Climate) ,  이권민 (Center for Climate) ,  민배현 (Department of Climate and Energy Systems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최용상 (Center for Climat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논문은 재난의 복잡다단한 맥락을 구성하는 정치 경제 사회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생성해내는 담론과 사회적 실천의 함의를 파악하여 국내의 효율적 재난대응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페어클로(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 모델을 적용하여 국내 대표적인 세 일간지에 실린 2017년 11월 포항지진 관련 신문기사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담론분석 결과, 첫째, 세 언론사에서는 지진 발생 이후 대응의 측면에서 재난대응 매뉴얼과 대피훈련의 낮은 실효성을 지적하였다. 둘째, 지진피해 복구 측면에서 대피소 서비스 강화와 이재민 지원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내진설계 강화 및 문자알림 서비스 질 향상 등 향후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실천 노력을 제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국내 재난대응을 위하여 재난 예방 대책의 현실성 실효성 제고, 유기적이고 통합적인 재난대응체계 마련, 시민의 역할과 참여 강조, 전문가 집단의 책임감 및 이에 대한 견제, 재난대응 관련 건전한 담론형성을 위한 미디어의 역할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implications of discourse and social practice produced by various stakeholders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o provide useful material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in South Korea. Method: Apply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odel of Fairclough, this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재난정보알림문자에 대한 텍스트들은 긴급재난 알림 서비스와 관련하여 재난문자가 실제 지진 발생 시각보다 늦게 발송된 점과 핸드폰 메시지 및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일시적 오류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또한 향후 대책으로 기상청에서 직접 긴급재난문자를 발송하는 방안, 재난정보알림문자 도착 시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통한 재난방송 자동송출 등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며 문제점 파악과 해결을 위한 노력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재난대응에 대한 복잡다단한 맥락을 이해하고자 지진이라는 현상을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써 포항지진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생성해내는 담론에 대한 분석과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재난대응 및 대처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포항지진’에 대한 기사를 중심으로 비판적 담론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한 여러 재난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신문, 방송 등의 언론매체와 정부기관 보도자료, 유관기관 입장문,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에서 생산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보다 다각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국내 재난대응에 비판적 담론분석을 통해 기존의 한계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효과적인 재난대응을 위한 담론의 장을 확대하는 데에 있다.
  • <중앙일보>는 포항지진과 수능을 관련지어 학생들과 감독관이 겪는 어려움을 주로 다루었다. 수능 당일 지진으로 인한 수능 중단 여부 결정과 관련하여 감독관들이 즉석에서 결정해야 하는 합리적이지 못한 부분을 지적하였다. “수능 중 ‘대피결정’은 시험 감독관이…교사들 부담스럽다”에서 개별 시험 감독관의 결정이 한 반의 수능 중단 여부를 결정짓게 되는 상황을 둘러싸고 수능 중지에 대한 사후 책임을 개인화시키려는 교육부 방침을 문제로 지적했다.
  • 이러한 흐름에서 사회과학적으로도 재난의 복잡다단한 맥락과 생성된 담론의 장을 풀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포항지진을 다룬 기사들에 비판적 담론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재난대응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의미 규정과 사회적 함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 담론분석의 대상은 2017년 11월 15일부터 2018년 11월 15일까지 1년 동안 보도된 포항지진 관련 기사를 기준으로 선정했다. 이는 포항지진 발생이후 1년 동안 포항지진과 관련하여 재난에 대한 이슈 논의가 지속되어 왔으며 이후 재난대응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주장이 촉구되어온 점을 감안하여 이러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함이다.
  • <한겨레> 또한 “일주일 동안 3번 옮겨 다닌 이재민들”, “임시구호소 문닫아”, “이주대책 마련해 달라” 등 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 보호조치의 미흡한 점에 대해 비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진발생 초기에도 이 문제를 지적하였고, 1년이 지난 후에도 여전히 고통받고 있는 이재민들의 실상을 계속해서 제시하였다. 또한, <한겨레>는 “지진피해 점검”, “지진피해 조사”를 지속적으로 언급하며 지진의 원인에 대한 철저한 조사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포항지진을 다룬 기사들에 비판적 담론분석을 적용하여 국내의 재난대응 담론의 양상과 이를 둘러싼 사회적 의미, 실천적 함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효과적인 국내 재난대응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의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재난 발생으로 인한 피해의 최소화를 위해 재난 예방 대책의 현실성 및 실효성을 갖추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 사회에서 재난의 특징은? 우리 사회에서 재난은 인적, 사회적 요인들과 결합하여 복합적인 현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재난 발생에서 그치지 않고, 피해 규모가 확대되거나 지속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포항지진의 부실한 지진대응체계에 대해 제기된 문제인 지진대피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부실한 지진대응체계에 대해 공통적으로 제기된 문제가 지진대피소였다. 신속한 대피를 위한 정확한 안내가 되지 않았던 점, 인근에 지진대피소가 위치하였으나 안내표지판의 부재로 인해 먼 거리의 타 지역 대피소로 이동해야 했던 점, 지진피해로 폐쇄된 장소가 지진대피소로 지정되어 있었던 점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민방위 기본법 제15조(민방위 준비) ‘민방위 계획’에 의해 대피소는 비상대피시설의 설치 기준에 따라 운영·관리되며, 건축물이나 시설물의 소유자·점유자·관리자들이 담당하여 관리한다.
담론분석이란? 담론분석은 사람들의 생각이 말과 글로 표현되어 여론화되고 사회를 규정하는 담론이 형성될 때 그 내용이 의미하는 바를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이다(Seo, 2011). 담론분석에서 말하는 담론은 일상 대화나 신문기사, 연설문 등 다양한 형태의 언어적·문화적인 요소로 구성되면서 사물이나 현실에 대한 특정한 인식과 재현, 주장을 담고 있다(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entral Disaster Prevention Headquarters (2017). Guidelines for establishing natural disaster investigation and recovery plan for 2017. Central Disaster Prevention Headquarters. 

  2. Cho, J.-O. (2016). "Critical Discourse Analysis for the News Items about the Suicide in the Risk Society : Focused on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Fairclough."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 35, No. 2, pp. 385-410. 

  3. Choi, M.O. (2010).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German Disaster Management System." Zeitschrift der Koreanisch-Deutschen Gesellschaft fur Sozialwissenschaften, Vol. 20, No. 2, pp. 115-142. 

  4. Fairclough, 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Cambridge, UK. 

  5. Fairclough, N. (1995).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critical study of language. Longman. London, UK. 

  6. Han, S.W. (2011). "Korean Seismic Design Code and Application Statu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55, No. 5, pp. 22-26. 

  7. Jung, Y.-J., Lee, J.-H. (2013). "Research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Shelter Spaces in Preparation against Natural and Other Disasters - Focused on the Seongbuk-gu Distric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3, No. 1, pp. 7-8. 

  8. Kim, H.-Y., Kang, J.-S. (2016).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the News on Child Abuse : Mainly about the Case of Wonyou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60, No. 6, pp. 283-312. 

  9. Kim, K.S. (2014). "The role of the media to prevent 'social disasters', in-depth exploration reports." Broadcasting reporter, Vol. 19, pp. 18-30. 

  10. Kim, Y.C., Cho, H.J., Joo, C.Y., Lee, K.S., Lee, K.H., Baek, M.S., Na, M.S., Lee, O.H., Jo, Y.H., Won, Y.J., Park, J.W., Kim, S.C., Yoon, T.J. (2015). Qualitative methodology of media culture research. Culturelook, Seoul. 

  1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8). Pohang Earthquake Analysis Report. the National Earthquake and Volcano Center of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2. Lee, K.H. (2006). "Situating the multifaceted roles of discourse and the politics of discourse." Media & Society, Vol. 14, No. 3, pp. 106-145. 

  13. Lee, S.H. (2016). "Complex Disasters and Social Conflict in South Korea: The "Sacrificial System" and Process of Social Cleavage." Discourse 201, Vol. 19, No. 2, pp. 37-61. 

  14.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7). the Fundamentals of civil defence. the Principal 14805. 

  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OIS) (2018). The White paper of Pohang Earthquak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6. Park, J.H. (2018).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citize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ol. 18, No. 2, pp. 7-41. 

  17. Park, S.P. (2005). NGO Studies. Arche, Seoul. 

  18. Ryoo, W., Choi, J. (2016). "Pope Francis' Visit to South Korea and Korea's Crisis Symptoms :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edia Coverage of Pope Francis' Visit to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 60, No. 1, pp. 133-164. 

  19. Seo, D.H. (2011). "Discourse analysis method." Education Criticism, Vol. 28, pp. 218-239. 

  20. Yoon, S.K (2015). "Technological and Scientific Citizenship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 Vol. 47, No. 4, pp. 107-133. 

  21. 2.18 Foundation for safety culture (2018). Korea's disaster report is a reporting disaster. 2.18 Safety Culture Forum, Daegu.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