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취약자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on-site Action Manual for People with Disaster Vulnerability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3 no.2 = no.36, 2017년, pp.155 - 162  

Kim, Soodong (Depart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Soongsil University) ,  Lee, Sahong (Depart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Soongsil University) ,  Choi, Kilhyun (Depart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Soongsil University) ,  Cheung, Chongsoo (Departmen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 Soongsi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난 또는 재난상황이 발생되면 일반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상황이라 해도 노약자나 장애인,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에 관한 논점이 있다. 즉 재난취약계층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일한 상황이라도 이들에게는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재난대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제기한다. 또한 취약계층 중에서 전 세계가 동일한 용어정의를 선택하고 있는 장애인에 국한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장애인을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통하여 재난 시 일상생활 자립성 유지기능, 재난 시 의사소통 기능, 이동방법 및 이동정보 활용 기능, 응급상황 대응 인식 능력 기능, 재난 시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개발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국내 상황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과 관련된 논의에 한정해서 논점을 결론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has some issues about the elderly, the disabled, and the vulnerable groups whose economic ability is low even if the disaster or disaster situation is not a big problem for the people. we should emphasize the necessity of disaster preparedness action manual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선진국이며 매뉴얼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 보완을 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장애인을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재난관리의 선진국이며 매뉴얼에 대한 지속적인 개선 . 보완을 하고 있는 일본의 사례를 참고하여 장애인을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취약계층 중에서 전 세계가 동일한 용어정의를 선택하고 있는 장애인에 국한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장애 유형별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을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통하여 재난 시 일상생활 자립성 유지기능, 재난 시 의사소통기능, 이동방법 및 이동정보 활용 기능, 응급상황 대응 인식 능력 기능, 재난 시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개발이 시급하다. 이러한 국내 상황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과 관련된 논의에 한정해서 논점을 결론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립방재연구소에 따르면 재난 약자는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국립방재연구소에 따르면, 재난 약자(또는 재난 취약 계층)는 “경제적으로 기본적인 안전 환경을 유지할 수 없거나, 재난발생시 신체적으로 자력에 의한 신속한 대피 및 조기대응을 할 수 없는 자 또는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재난취약성을 갖는 자로 정의하고 있다(국립방재연구원, 2012). 유연정(2008)은 취약계층을 법·제도, 사회, 학문적 접근으로 취약계층을 구분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표1은 법률부분을 구체화하였다.
재난취약계층이란? 하지만 이 매뉴얼에는 재난 취약계층을 위해서는 미약하다. 재난취약계층이란 재난에 대해 취약성을 가지는 집단이라 정의할 수 있는데, 여기서 취약성이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혹은 발달단계에서 장기간 혹은 일시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하여 개인이나 가족, 사회적 수준에서 나타내는 부정적 특성을 의미한다(유연정, 2008). 특히 재난상황이 발생되면 일반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상황이라 해도 노약자나 장애인,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소비자(Disadvantaged Consumers)의 경우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
재난 취약 계층이 직면하는 주요 문제점은? ① 예컨대 의사소통의 장애를 가진 경우, 이웃과의 교류가 드문 경우, 외국인, 관광객 등 고유의 지리, 재난정보에 대한 이해력 부족인 경우 등에는 정보의 이해와 소통의 어려움이 있는 특성이 있다. ② 재해의 상황에서 대피하기 위한 근력이나 순발력이 부족한 경우, 판단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경우, 장애로 이동능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위험회피·피난행동의 어려움이 특성으로 나타난다. ③ 단전, 단수, 연료부족 등 위생 및 생활문제의 발생, 특별한 보조기구, 약, 치료가 필요한 경우, 취약계층을 고려하지 못한 대피소 시설 등으로 건강생활이나 일상생활 유지의 어려움이 뚜렷한 특징이다. ④ 대피소내 공간적, 물질적, 인적 문제로 인한 다양한 프라이버시 침해요인 존재, 이재민간 이해관계의 충돌, 외국인의 경우 문화적 차이로 인한 공동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대피소나 피난처의 환경적응이 곤란한 특성이 드러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abinet Office(2013), Guidelines for supporting evacuees. 

  2. Choi, G. S.(2013), A Study on the Safety Policy of Disaster Vulnerability Class, Graduate School of Policy, Korea University. 

  3.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Act No. 14248, May. 29, 2016. 

  4. The Childcare Act, Act No. 14597, Mar. 14, 2017 

  5. Kang, S. W.(2014), "Social Security Measures for the Vulnerable in the Event of a Disaster",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6. Kwon, H. S.(2013),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Disaster Crisis Management Manual",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 

  7. Lee, J. H.(2015), "Disaster safety management in disadvantaged groups : Direction and task of disaster relief", SUN MOON University.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Registered Disabled Persons. 

  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Manual for fire safety education standard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10. Seoul Metropolitan Fire & Disaster Headquarters(2014), Disability Crisis Management Manual. 

  11. Tokushima Prefecture(2015), Tokushima Prefecture Disaster Prevention Manual 

  12. Yoo, Y. J.(2008), "A Review for Securing National Security: Focusing on Acceptance Criteria for Acceptable Risk for the Vulnerabl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