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발효 된장의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바실러스균의 분리 동정 및 프로바이오틱 특성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trains affecting the biogenic amine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55 no.2, 2019년, pp.131 - 142  

임은서 (동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 발효 된장 내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을 측정하고 이들 아민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을 분리하였다. 된장 내 세균수, pH, 적정산도, 염도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시료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된장에서 분리된 바실러스균 중에서 Bacillus (B.) licheniformis DB102, B. subtilis DB203, B. stearothermophilus DB206, Bacillus sp. DB209, Bacillus sp. DB310, B. coagulans DB311, B. cereus DB313, B. amyloliquefaciens DB714, Bacillus sp. DB917, B. cereus DB 915, B. subtilis DB1020 및 Bacillus sp. DB1022는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균은 Bacillus sp. DB403, Bacillus sp. DB407, B. subtilis DB517, B. licheniformis DB612 및 B. subtilis DB821로 동정되었다. 특히, Bacillus sp. DB407과 B. subtilis DB821은 인공 소화액에 대한 저항성, 장관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항생제에 대한 내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 등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이들 두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은 바이오제닉 아민이 낮은 대두 발효 식품 제조에 적합한 스타터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ontent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s (doenjang) and to isolate potential probiotic Bacillus sp. with the ability to inhibit biogenic amines accumula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PCR 산물은 전기 영동으로 증폭 여부를 확인하였고,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로 정제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sequencing 결과는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stitute (NCBI)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nalysis (http://blast.ncbi.nlm.nih.gov/Blast.cgi)를 이용하여 GenBank database를 통해 분리 균주와의 상동성을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 0% (w/v) bile salts (Sigma-Aldrich)를 첨가하여 인공 담즙액(10 ml)을 제조한 다음 인공 위액에서 잔존 하는 균수로 조정한 균 현탁액(1 ml)을 접종하고 37°C에서 3 시간 배양하였다. BHI agar 상에서 평판 배양 후 잔존하는 균수를 측정하여 대조구(bile salts대신 PBS 첨가) 상의 균수와비교하여 인공 담즙액 상에서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 Caco-2 세포 현탁액(0.2 ml)을 접종한 plate의 well에 바실러스균 현탁액(0.2 ml)을 접종하고 37°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Caco-2 세포에 부착되지 않은 바실러스균을 제거하였다.
  • PBS (pH 2.5)에 125 mM NaCl, 7 mM KCl, 45 mM NaHCO3 및 1 mg/ml pepsin (Sigma-Aldrich)을 첨가하여 제조한 인공 위액에 바실러스균 현탁액을 접종한 후 37°C에서 2시간 배양한 다음 잔존하는 균수를 측정하여 인공 위액 상에서의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 PCR 조건으로는 주형 DNA 변성(97°C에서 5분) 시킨 다음 94°C에서 1분, 56°C에서 1분, 72°C에서 1분 30초 동안 35회 반복 수행하여 DNA 증폭시켰고 최종적으로 72°C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PCR 산물은 전기 영동으로 증폭 여부를 확인하였고,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로 정제한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6S rRNA sequencing 결과는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stitute (NCBI)의 Basic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analysis (http://blast.
  • PCR 조건으로는 주형 DNA 변성(97°C에서 5분) 시킨 다음 94°C에서 1분, 56°C에서 1분, 72°C에서 1분 30초 동안 35회 반복 수행하여 DNA 증폭시켰고 최종적으로 72°C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 Plate well에 BHI broth를 분주하고 2진 희석법으로 농도를 맞춘 박테리오신 용액을 첨가한 다음 지시 균주(1.0 × 105 CFU/ml)의 세포 현탁액(1%)을 접종하였다.
  • 각각의 아미노산(2%, w/v)이 첨가된 탈카르복시화 액체배지(1 ml)에 전 배양액(0.5 ml)을 접종한 후 혐기적인 조건(Anoxomat 8000 system, MART Co.)에서 37°C, 72시간 동안 배양한 후 앞서 설명한 방법에 따라 HPLC를 이용하여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 바실러스균의 박테리오신 활성은 Savitha 등(2016)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는데, 즉 BHI broth에 접종하여 37°C에서 24시간 배양한 전 배양액을 0.1% (w/v) 포도당이 첨가된 BHI broth상에서 35°C, 22시간 동안 150 rpm으로 진탕배양하였다.
  •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은 Lee 등(2015)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실험 균주는 BHI broth에 접종하여 37°C,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분리(7,000 × g, 10분, 4°C)해서 모은 세포를 PBS (pH 7.
  • 2 ml)을 접종하고 37°C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한 후 Caco-2 세포에 부착되지 않은 바실러스균을 제거하였다. 부착된 세균은 trypsin-EDTA 용액을 처리하여 탈착시킨 다음 PBS (pH 7.0)로 세척하고 BHI agar에서 평판 배양하여 바실러스 균수를 측정하여 부착율(%)로 나타내었다.
  • 분리된 내열성 포자 형성 균주는 그람 염색하여 그람 양성 균만을 바실러스균으로 간주한 다음 DNA purification kit (Promega)로 genomic DNA를 추출한 후 universal primer 27F (5'-AGAGTTTGATCCTGGCTCAG-3')와 1492R (5'-GGTTA CCTTGTTACGACTT-3')을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으로 16S rRNA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 세포 현탁액(1 ml, 1.0 × 106 CFU/ml)은 바이오제닉 아민(histamine dihydrochloride, tyramine hydrochloride, cadaverine dihydrochloride, putrescine dihydrochloride, 0.1%, w/v)을 첨가한 액체배지[glucose 0.1% (w/v), yeast extract 0.2% (w/v), NaCl 0.5% (w/v), K2HPO4 0.05% (w/v); pH 7.0, 10 ml]에 접종하고 난 다음 35°C, 5일간 배양한 후에 얻은 배양액(0.1 ml)은 바이오제닉 아민(2%, w/v) 평판배지에 도말 접종하여 30°C, 5일간 배양하였다.
  • 0 × 107 CFU/ml로 조정하였다. 세포 현탁액(1%, v/v)은 BHI agar (agar 1.0%, w/v) 에 접종하고 난 후 BHI 평판배지 위에 중층하여 응고시켰다. 항생제(ampicillin, erythromycin, kana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 Sigma-Aldrich)의 stock solution (1 mg/ml)을 2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한 다음 paper disk (φ 8 mm)에 loading (50 μl)한 후 균 현탁액이 접종된 BHI 평판배지 위에 올리고 37°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disk 주변에 저해환을 생성한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 시료 내 바이오제닉 아민은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HPLC, Shimadzu)의 Nova-Pak C18컬럼(150 × 3.9 mm, Waters)을 사용하여 30°C에서 분석하였다.
  • ) 상에서 순수 분리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20% (v/v) glycerol stock으로 제조하여 -8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시료 용액의 pH 및 염도는 pH meter (Fisher Scientific)와 염도계(CAS salt-free 2500)로 각각 측정하였다. 한편, 시료 5 g에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1% (w/v)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첨가한 후에 0.
  • 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적정산도를 계산하였다. 시료의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Li 등(2018)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즉, 시료(0.
  • 시험 용액은 dansyl chloride로 유도체화한 후에 앞서 언급에 조건과 같이 HPLC를 이용하여 잔존하는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을 측정하여 계산식(M = [(A-B)/A] × 100, M: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 A: 초기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 B: 잔존하는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에 따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 실험 균주는 BHI agar 사면배지에서 3회 계대 배양하여 활성을 높인 후 5% (w/v) human blood가 함유된 BHI agar 평판 배지에 획선 접종 후 37°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α-haemolysis (집락 주변 녹색환 생성), β-haemolysis(집락 주변 황색 투명환 생성) 및 γ-haemolysis(집락 주변 환 생성 없음)를 조사하였다.
  • 원심분리(12,000 × g, 30분, 4°C)해서 모은 침전물은 20 mM PBS (pH 6.5)에 현탁시키고 4°C에서 24시간동안 동일한 buffer 내에서 투석막(molecular weight cut-off = 1,000 Da; Spectrum Medical Industries, Inc.)으로 투석시켰다.
  • 9 mm, Waters)을 사용하여 30°C에서 분석하였다. 이동상 ammonium acetate (0.1 M, solvent A)와 acetonitrile(solvent B)을 선형 구배로 하여 유속은 1 ml/min 하에서 흡광도(254 nm)를 측정함으로써 시료 내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을 구하였다.
  • 즉, 분리 균주를 BHI broth에 접종한 후 37°C,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배양액으로부터 원심분리(7,000 × g, 10분, 4°C)을 통해 모은 세포 침전물을 PBS (pH 7.0)로 2회 세척 후 세포수를 1.0 × 108 CFU/ml에 맞춰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 유산균이나 바실러스균은 프로바이오틱(probiotic) 균주로서 숙주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유지하여 장 건강에 이로운 역할을 하는 인체 유익균이므로 이들을 발효 스타터로 이용하여 발효 식품을 제조할 경우 유해 아민 생성 위험을 낮추고 생리활성 물질을 생성함에 따라 건강 향상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Fuller, 1991). 지금까지 보고된 연구들은 주로 유산균을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균을 제어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고 있는 발효 된장의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 바실러스균을 분리 동정하였고, 이 중에서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을 비롯하여 인공 소화액과 항생제에 대한 내성, 용혈능 및 항균물질 생성능 등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 평판 배지 상에 자란 독립된 집락을 선택하여 trypticase soy agar (TSA, BD Difco Co.) 상에서 순수 분리한 다음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을 조사하기 위해 바이오제닉 아민(50 ppm)이 첨가된 trypticase soy broth (TSB, BD Difco Co.)에 접종하고 35°C에서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 한편, BHI broth에서 37°C, 24시간 동안 배양한 바실러스균 배양액은 원심분리(7,000 × g, 10분, 4°C)를 통해 세포만을 모아 PBS (pH 7.0)로 세척한 다음 DMEM 배지(1.6 ml) 내에 현탁시켜 앞서 인공 담즙액에서 배양한 후 잔존하는 균수로 조정하였다.
  • 시료 용액의 pH 및 염도는 pH meter (Fisher Scientific)와 염도계(CAS salt-free 2500)로 각각 측정하였다. 한편, 시료 5 g에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1% (w/v)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을 첨가한 후에 0.1 N NaOH 용액으로 적정하여 적정산도를 계산하였다. 시료의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은 Li 등(2018)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 한편, 시료 용액은 80°C에서 15분간 가열 처리직후 냉각한 다음 Luria-Bertani (BD Difco Co.) 평판배지 상에서 내열성 포자 형성균수를 측정하였고, 독립 집락을 Brain Heart Infusion agar (BHI, BD Difco Co.) 상에서 순수 분리 배양한 다음 배양액을 20% (v/v) glycerol stock으로 제조하여 -80°C에서 보관하면서 실험하였다.
  • 항균력 측정에 사용된 지시 균주는 된장에서 분리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바실러스 균주로서 이들을 BHI broth에 접종하여 37°C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7,000 × g, 10분, 4°C)하여 세포를 모으고 PBS (pH 7.0)로 2회 세척한 다음 세포수를 1.0 × 105 CFU/ml로 조정하였다.
  • 항생제(ampicillin, erythromycin, kanamycin, penicillin G, streptomycin, tetracycline 및 vancomycin; Sigma-Aldrich)의 stock solution (1 mg/ml)을 2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한 다음 paper disk (φ 8 mm)에 loading (50 μl)한 후 균 현탁액이 접종된 BHI 평판배지 위에 올리고 37°C에서 24시간 배양하여 disk 주변에 저해환을 생성한 최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은 Jeon 등(2016)과 Wang과 Su (2016)의 방법을 일부 변형하여 최소증식억제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선발 균주는 BHI broth에 접종하여 37°C, 24시간 배양한 후 원심분리(7,000 × g, 10분, 4°C)해서 모은 세포 침전물을 PBS (pH 7.

대상 데이터

  • Korean Cell Line Bank (KCLB)로부터 분양 받은 Caco-2 세포는 56°C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한 10% (v/v) fetal bovine serum (FSB, Gibco), 2 mM L-glutamine, 1 mM sodium pyruvate, 100 U/ml penicillin 및 0.1 mg/ml streptomycin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inimal essential medium (DMEM, Sigma-Aldrich)에 접종하고 37°C,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여 monolayer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 부산 일대 전통 시장과 마트에서 된장 10종을 구입한 후 시료 30 g에 멸균된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saline, PBS) 270 ml를 가한 다음 약 2분간 스토마커(3M Center)로 분쇄 하였다. 균질화된 시료 용액은 십진 희석한 후 Plate Count Agar (BD Difco Co.

이론/모형

  • 부산 일대 전통 시장과 마트에서 된장 10종을 구입한 후 시료 30 g에 멸균된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 saline, PBS) 270 ml를 가한 다음 약 2분간 스토마커(3M Center)로 분쇄 하였다. 균질화된 시료 용액은 십진 희석한 후 Plate Count Agar (BD Difco Co.)를 사용하여 표준한천평판배양법으로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한편, 시료 용액은 80°C에서 15분간 가열 처리직후 냉각한 다음 Luria-Bertani (BD Difco Co.
  • 시료 용액(100 ml)에 클로로포름과 메탄올 1:1의 비율로 만든 혼합 용액(100 ml)을 첨가하여 격렬하게 진탕 시킨 후 4°C에서 1시간 동안 방치시킨 다음 분액 깔대기로 옮겨 수상과 유기상 사이 박테리오신이 함유된 계면층을 회수하고 남은 클로로포름은 고속 진공기로 제거하여 조 박테리오신 용액을 제조한 것을 microtiter plate method (Holo et al., 1991)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 내에 생성되는 가장 흔한 바이오제닉 아민은? , 2009). 식품 내에 생성되는 가장 흔한 바이오제닉 아민으로는 히스타민, 티라민, 페닐에틸아민, 트립 타민, 푸트레신 및 카다베린 등이 있다(Wunderlichová et al., 2014).
바이오제닉 아민이란?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은 생체 내 생리기능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물질로서 세포 증식 및 분화, 핵산 기능 조절, 단백질 합성, 두뇌 발달, 신경 세포 성장과 조절 등 살아있는 세포에 있어 내재적 필수 불가결한 성분이다(Kalač and Krausová, 2005). 하지만 과량의 티라민이나 페닐에틸아민 등은 고혈압의 위험과 식이성 편두통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히스타민은 알레르기 식중독 유발 원인 물질로 알려져 있고, 푸트레신, 스페르민, 스페르미딘 및 카다베린 등은 자체적으로는 인체에 해가 적으나, 아질산염과 반응하면 발암 물질인 니트로자민을 생성하게 된다(Hernandez-Jover et al.
생체 내 생리기능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물질인 바이오제닉 아민이 함유된 식품은? , 2014). 사실상 거의 대부분의 식품은 단백질이나 유리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미생물학적 활성에 의해 바이오제닉 아민이 생성될 수 있는데, 주로 생선 및 가공품, 육류 및 가공품, 난류, 치즈, 발효 야채, 과일, 너트, 초콜릿, 와인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료나 유제품 및 장류 등의 발효 식품에서 흔히 검출된다(Shalaby, 1996). 특히 두류 가공품 내 다량의 유해 아민은 숙성에 관여하는 그람 양성균 및 음성균, 곰팡이 등의 과도한 증식에 따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Shalaby,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l Bulushi I, Poole S, Deeth HC, and Dykes GA. 2009. Biogenic amines in fish: roles in intoxication, spoilage, and nitrosamine formation. A review. Crit. Rev. Food Sci. Nutr. 49, 369-377. 

  2. Alander M, Korpela R, Saxelin M, Vilpponen-Salmela T, Matilla-Sandholm T, and Wright A. 1997. Recovery of Lactobacillus rhamnosus GG from human colonic biopsies. Lett. Appl. Microbiol. 24, 361-364. 

  3. Argyri AA, Nisiotou AA, Malauchos A, Panagou EZ, and Tassou CC. 2014. Performance of two potential probiotic Lactobacillus strains from the olive microbiota as starters in the fermentation of heat shocked green olives. Int. J. Food Microbiol. 171, 68-76. 

  4. Brink B, Damink C, Joosten HMLJ, and Huis In't Veld JHJ. 1990. Occurrence and formation of biologically active amines in foods. Int. J. Food Microbiol. 11, 73-84. 

  5. Cho TY, Han GH, Bahn KN, Son YW, Jan MR, Lee CH, Kim SH, Kim DB, and Kim SB. 2006. Evalua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commercial fermented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30-737. 

  6. Choi JY, Hong SW, and Chung KS. 2012. Selection of biogenic amine-reducing microorganisms from a traditional Korean-style fermented food,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196-201. 

  7. Dapkevicius MLNE, Nout MJR, Rombouts FM, Houben JH, and Wymenga W. 2000. Biogenic amine formation and degradation by potential fish silage starter microorganisms. Int. J. Food Microbiol. 191, 53-59. 

  8. Eerola S, Roig-Sagues AX, and Hirvi TK. 1998. Biogenic amines in Finnish dry sausages. J. Food Saf. 18, 127-138. 

  9. Elshaghabee FMF, Rokana N, Gulhane RD, Sharma C, and Panwar H. 2017. Bacillus as potential probiotics: Status, concerns, and future perspectives. Front. Microbiol. 8, 1-15. 

  10. Fuller R. 1991. Probiotics in human medicine. Gut 32, 439-442. 

  11. Gardini F, Ozogul Y, Suzzi G, Tabanelli G, and Ozogul F. 2016. Technological factors affecting biogenic amine content in foods: A review. Front. Microbiol. 7, 1-18. 

  12. Guan RF, Liu ZF, Zhang JJ, Wei YX, Wahab S, Liu DH, and Ye XQ. 2013. Investigation of biogenic amines in sufu(furu): A Chinese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food product. Food Cont. 31, 345-352. 

  13. Han GH, Cho TY, Yoo MS, Kim CS, Kim JM, Kim HA, Kim MO, Kim SC, Lee SA, Ko YS, et al. 2007. Biogenic amines formation and content in fermented soybean paste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41-545. 

  14. Hanifi A, Culpepper T, Mai V, Anand A, Ford AL, and Ukhanova M. 2015. Evaluation of Bacillus subtilis R0179 on gastrointestinal viability and general wellnes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in healthy adults. Benef. Microbes 6, 19-27. 

  15. Hernandez-Jover T, Izquierdo-Pulido M, Vechiana-Nogues MT, Marine-Font A, and Vidal-Carou MC. 1997. Biogenic amines and polyamine contents in meat and meat products. J. Ag. Food Chem. 45, 2098-2102. 

  16. Herrero-Fresno A, Martinez N, Sanhez-Llana E, Diaz M, Ferrandez M, Martin MC, Ladero V, and Alvarez MA. 2012. Lactobacillus casei strains isolated from cheese reduce biogenic amines accumulation in an experimental model. Int. J. Food Microbiol. 157, 297-304. 

  17. Holo H, Nilssen O, and Nes IF. 1991. Lactococcin A. a new bacteriocin from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rotein and its gene. J. Bacteriol. 173, 3879-3887. 

  18. Jena PK, Trivedi D, Thakore K, Chaudhary H, Giri SS, and Seshadri S. 2013.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i isolated from rat fecal microbiota. Microbiol. Immunol. 57, 407-416. 

  19. Jeon HH, Jung JY, Chun BH, Kim MD, Baek SY, Moon JY, Yeo SH, and Jeon CO. 2016.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otential Bacillu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ing low-salt soybean paste (doenjang). J. Microbiol. Biotechnol. 26, 666-674. 

  20. Kalac P and Krausova P. 2005. A review of dietary polyamines: Formation, implications for growth and health and occurrence in foods. Food Chem. 77, 349-351. 

  21. Kim JH, Ahn HJ, Kim DH, Jo C, Yook HS, Park HJ, and Byun MW. 2003a. Irradiation effects on biogenic amines in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68, 80-84. 

  22. Kim YS, Cho SH, Jeong DY, and Uhm TB. 2012. Isolation of biogenic amines-degrading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soybean products. Korean J. Microbiol. 48, 220-224. 

  23. Kim KM, Kim MJ, Kim DH, Park YS, and Kang JS. 2009.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KJS-2 as a probiotic. J. Microbiol. Biotechnol. 19, 1013-1018. 

  24. Kim M, Oh HS, Park SC, and Chun J. 2014. Towards a taxonomic coherence between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d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for species demarcation of prokaryotes. Int. J. Syst. Evol. Microbiol. 64, 346-351. 

  25. Kim JH, Park HJ, Kim MJ, Ahn HJ, and Byun MW. 2003b.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25-328. 

  26. Lee HT, Kim JH, and Lee SS. 200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 content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J. Fd. Hyg. Safety 24, 102-109. 

  27. Lee SK, Lee JJ, Jin YI, Jeong JC, Chang YH, Lee YS, Jeong YH, and Kim MS. 2017.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LWT-Food Sci. Technol. 79, 518-524. 

  28. Lee YC, Lin CS, Liu FL, Huang TC, and Tsai YH. 2015. Degradation of histamine by Bacillus polymyxa isolated from salted fish products. J. Food Drug Anal. 23, 836-844. 

  29. Lehane L and Olley J. 2000. Histamine fish poisoning revisited. Int. J. Food Microbiol. 58, 1-37. 

  30. Li L, Wen X, Wen Z, Chen S, Wang L, and Wei X. 2018. Evaluation of the biogenic amines formation and degradation abilities of Lactobacillus curvatus from Chinese bacon. Front. Microbiol. 9, 1-9. 

  31. Mah JH. 2015. Fermented soybean foods: Significance of biogenic amines. Austin J. Nutri. Food Sci. 3, 1058-1060. 

  32. Manhar AK, Saikia D, Bashir Y, Mech RK, Nath D, and Konwar BK. 2015. In vitro evaluation of celluloytic Bacillus amyloliquefaciens AMS1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Churpi) as an animal probiotic. Res. Veterinary Sci. 99, 149-156. 

  33. Moon JY, Kwon SW, Hong SB, Seok SJ, Kim JS, and Kim SJ. 2015.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trains from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s, Cheonggukjang. Korean J. Microbiol. 51, 300-307. 

  34. Olmos J and Paniagua-Michel J. 2014. Bacillus subtilis a potential probiotic bacterium to formulate functional feeds for aquaculture. J. Microb. Biochem. Technol. 6, 7-10. 

  35. Otero MC, Ocana VS, and Macias ENM. 2004. Bacterial surface characteristics applied to select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Methods Mol. Biol. 268, 435-440. 

  36. Patel AK, Ahire JJ, Pawar SP, Chaudhari BL, and Chincholkar SB. 2009. Comparative accounts of probiotic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p. isolated from food wastes. Food Res. Int. 42, 505-510. 

  37. Pedersen K and Tannock GW. 1989. Colonization of the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by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robiol. 55, 279-283. 

  38. Ryu MS, Yang HJ, Kim JW, Jeong SJ, Jeong SY, Eom JS, and Jeong DY. 2017. Potential probiotics activity of Bacillus spp. from traditional soybean paste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Korean J. Food Preserv. 24, 1168-1179. 

  39. Savitha K, Srinivas M, and Dhanalakshmi K. 2016.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from Bacillus cereus MTCC 1307. Int. J. Appl. Pure Sci. Agric. 2, 200-208. 

  40. Seker E. 2010. Identification of Candida species isolated from bovine mastitic milk and their in vitro hemolytic activity in Western Turkey. Mycopathologia 169, 303-380. 

  41. Shalaby AR. 1996. Significance of biogenic amines to food safety and human health. Food Res. Int. 29, 675-690. 

  42. Shim JM, Lee KW, Yao Z, Kim HJ, and Kim JH. 2016.Propertie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different types of salts. J. Microbiol. Biotechnol. 26, 1533-1541. 

  43. Shin DH and Jeong DY. 2015.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Jang. J. Ethnic Food 2, 2-7. 

  44. Shukla S, Park HK, Kim JK, and Kim MH. 2010. Determina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jang). Food Chem. Toxicol. 48, 1191-1195. 

  45. Suva MA, Sureja VP, and Kheni DB. 2018. Novel insight on probiotic Bacillus subtilis: Mechanism of ac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J. Curr. Res. Sci. Med. 2, 65-72. 

  46. Tabanelli G, Montanari C, Bargossi E, Lanciotti R, Gatto V, Felis G, Torriani S, and Gardini F. 2014. Control of tyramine and histamine accumulation by lactic acid bacteria using bacteriocin forming lactococci. Int. J. Food Microbiol. 190, 14-23. 

  47. Wang T and Su J. 2016. Bacillus subtilis from soybean food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f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by affecting the adeS gene. J. Microbiol. Biotechnol. 26, 2043-2050. 

  48. Wunderlichova L, Bunkova L, Koutny M, Jancova P, and Bunka F. 2014. Formation, degradation, and detoxification of putrescine by foodborne bacteria: a review. Comp. Rev. Food Sci. Food Safety 13, 1012-1030. 

  49. Zhang Q, Lin S, and Nie X. 2013. Reduction of biogenic amine accumulation in silver carp sausage by an amine-negative Lactobacillus plantarum. Food Control 32, 496-5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