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적 지지와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 사이의 관계에서 아동학대예방 교육의 조절 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School Parents′ Child Neglect Awar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447 - 455  

이병록 (건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정선희 (건양대학교 인문융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러한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A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 3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18.0과 AMO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다집단 분석으로 조절효과를 검증했다. 분석결과는 첫째,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에 대해 사회적 지지가 정적 방향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은 집단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아동방임 인식의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아동방임 인식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여부에 의해 조절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증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awareness of child neglect and the difference of the child neglect awarenes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r not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surveying parents.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consisted of 388 parents liv...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아동방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구조적 특성으로 가족·친구·지인으로 분류하며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도움 및 조언의 기능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21].
  • 이상의 논의를 근거로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은 집단과 아동학대예방 교육을 받지 않은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양육하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가족·친구·지인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러한 사회적 지지의 영향이 아동학대예방 교육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을 포함하여 아동학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개인적 특성, 양육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13], 아동기 학대경험[14] 등이 분석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방임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가족,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는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제공되는 도움의 체계로서 개인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주변 사람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물질적이고 정신적인 지원을 의미한다[15].

가설 설정

  • 가설 1: 가족,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양육 및 아동학대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를 높일 수 있어 학부모의 아동방임 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아동학대예방과 관련된 교육을 받은 학부모와 교육을 받지 않은 학부모의 교육여부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아동방임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 연구의 변수인 사회적 지지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 문항은 어떻게 구성하였나? 이를 위해 House(1981)가 개발하고 양진환(1991)이 한국사회에 맞게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한 송유미[22]의 연구를 참조하여 총 6문항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문항을 살펴보면 경제적·정서적 어려움에 처했을 때 도움을 받을 가족·친구·지인이 있는지와 어려운 일이 생기면 조언해 줄 가족·친구·지인이 있는지로 구성되었으며, 응답 범주는 ‘전혀 그렇지 않다’ 1점부터 ‘매우 그렇다’ 5점까지 Likert 5점 척도로 제시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가족·친구·지인에게 도움이나 조언을 받을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다른 아동학대와 아동방임이 다른 점은 무엇인가? 아동복지법상 방임은 ‘자신의 보호나 감독을 받는 아동을 유기하거나 의식주를 포함한 기본적인 보호, 양육, 치료 및 교육을 소홀히하는 행위’로 규정된다. 다른 유형의 아동학대는 아동에 대한 직접적인 가해행위인 반면, 아동방임은 아동에 대한 기본적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는 소극적인 아동학대행위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6]. 방임행위에 대한 세부적 유형으로는 기본적 의식주를 소홀히 하는 행위 및 불결하거나 위험한 환경에 아동을 방치하는 행위 등의 물리적 방임,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의 의무교육을 제공하지 않거나 무단결석을 방치하는 행위 등의 교육적 방임, 필요한 의료적 처치를 하지 않거나 장애아동 대상 치료를 거부하는 행위 등의 의료적 방임 그리고 유기는 아동을 보호하지 않고 버리는 행위 등이 해당된다[6].
법적으로 방임은 어떤 것인가? 아동방임은 신체학대, 성학대, 정서학대와 함께 아동학대의 하위유형의 하나로 분류된다. 아동복지법상 방임은 ‘자신의 보호나 감독을 받는 아동을 유기하거나 의식주를 포함한 기본적인 보호, 양육, 치료 및 교육을 소홀히하는 행위’로 규정된다. 다른 유형의 아동학대는 아동에 대한 직접적인 가해행위인 반면, 아동방임은 아동에 대한 기본적 의식주를 제공하지 않는 소극적인 아동학대행위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 Y. Lee. (2017). Child neglect: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52, 104-120. 

  2. Health and Welfare Ministry & National Child Protection Agency. (2016). A Report of the National Child Abuse. Sejong : Health and Welfare Agency. 

  3. D. H. Ahn. (2000). Child neglect: Revisited.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4(1), 7-26. 

  4. I. J. Chung. (2011). Rethinking child neglect: Beyond social neglect of neglect. Dongkwang, 107, 1-33. 

  5. S. H. Sin. (2005).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Child Neglect of Low-income Households and Social Welfare Approaches :Focusing on Preschool Children at Wonju. Master thesis. Sangji University, Gangwon. 

  6. J. H. Loo. (2016). The study on the policy measures for the social protection of neglected children.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cy Studies, 16, 263-290. 

  7. S. O. Hong & O. K. Lee. (2010).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Busan Study on Child Human Rights and Abuse.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19(3), 75-90. 

  8. S. W. Lee. (2018). Judicial judgment on emotional abuse and neglect. Journal of Welfare for the Correction, 53(1), 117-143. 

  9. K. E. Lee & M. J. Kim. (2012). A study on child neglect perception of child welfare teacher's by community child welfare center.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41(1), 125-143. DOI : 10.15300/jcw.2012.06.41.125 

  10. J. B. Choi. (2008). Korean parents' perceptions of child neglect. Dongkwang, 104, 1-38. 

  11. S. Y. Ko & S. M. Bae. (2018). The influence of neglectful parenting on cyberbullying victim of early adolesc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maladjust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5(9), 203-224. DOI : 10.21509/KJYS.2018.09.25.9.203 

  12. J. A. Yoo & I. J. Chung. (2014). The effects of neglect on early elementary school-age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Does gender make a dif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47, 157-183. 

  13. B. R. Lee & H. Hwang. (2018). The effect of school parents'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 abuse aware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1), 535-542. DOI : 10.14400/JDC.2018.16.11.535 

  14. J. h. Moon. (2009).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experience of childhood and child abuse percep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Parent-Child Health, 12(2), 107-118. 

  15. S. Cobb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16. B. S. Koh. (2004). A study on the social support types and determinants of perceive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Jeju.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4(2), 145-162 

  17. K. J. Kwak, J. M. Yoo & J. M. Kim. (2007). The investigation of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in child poverty: On the 3-year-old children.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1), 1-19. 

  18. H. J. Lee & S. Y. Park. (2000). The influence of the financial crisis on the child abuse in low income families. Journal of the Health Society, 20(1), 1-22. 

  19. K. J. Lee & H. J. Lee. (2007).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toward elder abus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38(1), 209-230. DOI : 10.21194/kjgsw..38.200712.209 

  20. M. S. Park & J. K. Lee. (2016).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hild abuse preven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8), 117-131. DOI : 10.5392/JKCA.2016.16.08.117 

  21. Y. H. Hur & H. M. Yoon. (2004). Mother' s employment, social support and child neglect. Journal of Human Ecology, 8(2), 37-52. 

  22. Y. M. Song. (2005).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in social welfare center. Doctoral thesis. Daegu University, Kyoungbook. 

  23. D. H. Lim. (2017). AMOS 24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Free academy. 148-153. 

  24. D. Knoke, G. W. Bohrnstedt & A. P. Mee. (2007). Statistics for social data analysis 4th. Seoul: Cengage Learning. 431-433. 

  25. R. Kline. (2010).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3rd), New York: Guilford Press. 

  26. L. R. Tucker & C. A. Lewis. (1973). reliability coefficient for maximum likelihood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38(1), 1-10. 

  27. M. H. Hwang, E. S. Lee & S. K. Yoo.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areer barriers scale for female adolescents suggested. Korea Journal of Counseling, 6(4), 1205-1223. 

  28. J. Y. Kang. (2015).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child maltreatment mediated by life satisfaction: Quality and quantity of emotional and material support. Korea Welfare Panel Study, 8(1), 191-205. 

  29. H. M. Yoon. (2000). Impact of parent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program on the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ren, parenting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the use of corporal punishment.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43(1), 246-269. 

  30. H. J. Lee. (2013).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rnet social support program on mothers of congenitally abnormal children.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159-167. DOI : 10.14370/jewnr.2013.19.2.159 

  31. H. J. Jeong & J. H. Bae. (2018). The influence of health literacy and social-support on medication adherence in eldery with chronic diseas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7), 419-428. DOI : 10.14400/JDC.2018.16.7.419 

  32. S. J. Song. (201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efficient support for the prevention of child abuse and the protection of the abused child, Korean Journal of Family Law, 30(3), 147-182. 

  33. H. R. Yim, S. H. Kim & I. J. Chung. (2018).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family?school and children's happiness-focused on differences by the level of schoo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70(2), 145-170. DOI :10.20970/kasw.2018.70.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