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연공원 유형중 도립공원 계획의 평가
Evaluation on Park Planning of Provincial Parks among Korea Natural Park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3, 2019년, pp.321 - 332  

조우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자연공원중 도립공원을 대상으로 공원계획의 적합성을 법적 근거를 기본으로 평가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자연공원법에 따른 도립공원 공원계획(용도지구계획, 시설계획)의 내용과 공원사업 시행, 공원관리를 위한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 등재 등의 적합성을 29개 공원에 대해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공원용도지구중 공원자연보존지구의 경우 입지 불가 및 계획면적을 초과하는 공원시설을 결정한 공원이 전체의 24.1%(7개공원)에 달했다. 법 개정에 따른 새로운 용도지구인 공원문화유산지구를 지정해야 함에도 안하거나 기준을 미준수한 비율은 41.2%이었다. 또한 공원마을지구(구, 공원집단시설지구) 관리에 부적절한 계획수립 및 고시를 한 것도 문제로 나타났다. 도립공원은 보호지역의 범주임에도 많은 공원에서 공원시설계획상 여전히 지역개발과 관광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상황이었으며, 결정된 공원시설의 명칭 오기도 문제였다. 법적으로 공원계획은 전산화되어 공개되어야 함에도 이를 시행하지 않고 있는 사례지도 있었다. 앞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도립공원의 실효적 공원계획과 이를 통한 도립공원의 보호 관리 방안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present the improvement measures by assessing the suitability of planning of provincial natural parks on a legal basis. We assessed the suitability of 29 provincial parks to examine the suitability of park planning (special-purpose district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원시설계획 결정시설 중 미조성 시설 및 미반영(고시) 시설 현황은 무리한 공원계획 결정으로 공원사업시행이 지연되고 있는 시설현황(자연공원법 제17조2에 의한 ‘미착수 공원시설계획의 실효’ 관련)과 공원계획에 반영하지 않고 현재 탐방객이 이용 중인 공원시설로 안전사고 발생 시 문제가 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설의 유형을 조사・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 이후 자연공원법 규정에 의해 공원내 낚시행위를 금지하고 있는데도, 이런 불법행위로 조장하는‘낚시터’ 3개소를 공원시설로 결정하여 운영・관리 중 이다. 또한 고복저수지 일대는 물환경보전법에 의해 낚시제한구역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는데, 어떻게 낚시터를 공원 시설로 지정할 수 있었는지도 의문이었다.
  • 또한 공원계획의 타당성 검토(10년 주기 법정계획)를 통해 위와 같은 핵심 지역내 공원시설의 입지 재검토, 공원용도 지구계획의 재수립・조정 등이 필요했을 것으로 판단되나 공원구역의 조정(해제)에 대한 관심만 기울였던 것은 아닌지 의문시된다.
  •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 상 도립공원 구역, 용도지구의 자료는 지자체(공원관리청)의 토지이용규제기본법에 의한 도립공원의 공원구역과 공원용도지구계획의 행위 규제 관리 및 고지 실태를 조사・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토지 이용규제기본법 제8조 등에 따르면 관련 법률에 의한 지역・지구・구역 등의 지정 시 지형도면 고시와 함께 국토이용정보체계의 등재 절차가 필요로 한다.
  • 이런 형태의 공원 보호 관리 제도는 공원계획과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집행함으로써 공원 지정 목적을 달성하는데, 토지 소유권에 관계없이 그 구역을 공원으로 지정하고 토지 이용의 제한 및 일정 행위의 금지나 제한으로 자연생태계 및 경관을 보전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한 연구로써 자연공원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인 공원계획에 관한 것이 전무한 현실을 고려한 것이다. 자연공원 관리 운영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현재 추진되고 있는 자연공원법 개정 논의인데, 개정이 되더라도 공원 보호 관리의 핵심은 공원계획이기 때문에 도립공원을 대상으로 한 공원계획의 적합성을 평가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원자연보존지구는 무엇인가? 공원자연보존지구는 자연공원법상 생물다양성이 특히 풍부한 곳, 자연생태계가 원시성을 지니고 있는 곳, 특별히 보호 할 가치가 높은 야생 동식물이 살고 있는 곳, 경관이 특히 아름다운 곳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곳에 지정하는 공원용 도지구로 최소한의 공원시설 설치 및 공원사업이 가능하다. 수집한 공원계획결정도를 기초로 공원자연보존지구에 입지 가능한 시설의 규모를 검토한 결과 공원자연보존지구에 입지 불가 및 계획면적을 초과하는 공원시설을 결정한 공원은 금오산(경북), 덕산(충남), 칠갑산(충남), 대둔산(충남), 선운산(전북), 팔공산(경북), 연화산도립공원(경남)으로 전체 29개 공원 중 7개 공원(24.
공원용도지구 개편의 미적용으로 초래되는 문제는 무엇인가? 그러나 분석 대상 공원중에서 공원문화유산지구 미지정 및 기준 미준수 사례가 많았다. 이는 공원용도지구 개편의 미적용으로 공원 운영관리상 문제, 사유재산권 침해, 불사 (佛事)진행 시 법률 위반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사찰소유지가 아닌 국유지, 공유지, 개인사 유지에 공원문화유산지구가 지정된 경우 법적 분쟁의 소지가 있어 반드시 개선(변경)되어야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립공원에서 결정된 공원시설계획 중, 공원구역 면적에 비해 과다한 이용 중심 시설이 결정된 원인은? 2개소(전체 51개 시설)로 공원구역 면적에 비해 과다한 이용 중심 시설이 결정되어 있었다. 이런 원인은 ① 자연공원을 관광・이용목적으로만 활용하고 더 많은 탐방객 유치를 위한 ‘관광편의시설’ 중심의 사업추진, ② 자연공원 공원계획 및 시설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타 법률에 의한 부적절한 사업추진 등으로 법 규정에 맞지 않는 것을 공원시설로 결정되었기 때문이었다. 앞에서도 기술했듯이 우리나라 자연공원의 보호・관리는 공원시설계획이 핵심 역할을 하고 있음에도 공원시설계획을 수립하지 않고 있는 것도 문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K.S. (2010)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19(2): 109-1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an, S.E. , K.J. Kim, S.W. Jin and G.S. Kim(2010) Species diversities study on wild mushrooms in Cheonkwan Provincial Park. Symposium Proceeding of The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8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10.30960/kjnc.2003.1.1.47 Cho, D.H. and J.M. Kim(2003) Biodiversities and fungal resources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6(1 Sup): 119-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Y.K. , M.W. Kim, and S.K. Woo(2009) Design considerations for the collective facilities areas in the environs of the cultural heritages: a case study of the Su Duck Sa area, Yesan-gu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0(2): 25-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W., S.D. Lee and J.O. Yoon(2017)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plan of Provincial and County Park, Korea. Pro. Kor. Soc. Env. Eco. Con. 27(1): 57-58. (in Korean) 

  6. 10.15266/KEREA.2013.22.1.147 Eom, Y.S. (2013) Measuring economic values of natural resources using extent of market based on potential user groups: cases of 4 Provincial Parks in Chon Buk.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2(1): 147-17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eo, K.M. (2007) A study on management of provincial parks Lying in two or more administrative sectors. Auri Brief 176(12): 183-199. 

  8. Hwang, S.K. , Y.W. Son and J.D. Son(2017) Topographical landscapes and their controlling geological factors in the Cheongryangsan Provincial Park: Lithologic difference and faults.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6(3): 167-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ang, S.J. and J.O. Kim(2011) An analysis of road noise impact on the Soorisan Provincial Park. GRI Review 13(2): 301-3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B.H. and K.K. Oh(2012) A study on management strategies of time based on visitor?s moving pattern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Kor. J. Env. Eco. 26(6): 960-9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J.H. , C.K. Yanf and I.H. Kim(2001) A study on the preparation course of the Kum-oh Mountain Provincial Park. Architecture of Korea 21(2): 179-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10.34272/forest.2013.17.3.011 Kim, J.O. and Y.S. Eom(2013) Estimating recreation benefits of visiting Jeollabuk-do Provincial Parks using travel cos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3): 93-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S.O. (2011a) Influence of users' connectedness to nature on their support for ropeway establishment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Kor. J. Env. Eco. 25(2): 235-2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S.O. (2011b) Visitors’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establishing a cable car in Mudeungsan Provincial Park. Kor. J. Env. Eco. 25(3): 421-4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2019) opinion.lawmaking.go.kr/gcom/ogLmPp/47065 (in Korean) 

  16. Kyung, S.B. , G.B. Kim, S.S. Yoo, D.H. Won, B.T. Yoo and J.Y. Shin(2001) Biological water quality evaluation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at creeks and streams in Provincial Park of Mt. Daedun and its nearby region.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16(3): 61-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10.34272/forest.2015.19.1.002 Lee, D.J. (2015) A comparison of visitor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temple forest Trails in Kajisan Provinci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9(1): 15-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H.K. (1983) Problems on development and actual states of tourist at Mt. Palgong regional Park. Business Management Review 15: 87-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J.D. and Y.G. Choi(2002) Utilizing spatial information for landform analysis and web-based sight-seeing guidance of the natural park: A case study of Kumoh Mt. Province Park.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0(2): 39-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10.5392/JKCA.2008.8.6.242 Lee, K.J. (2008) Influences of self-monitoring of residents on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Attitudes of resident’s in Nonsan Towards Development of Mt. Daedu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8(6): 242-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Y.S. (1992) A study of benefits-cost analysis in tourist developing-invest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1: 7-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National Assembly(2019) www.naon.go.kr/content/html/2016/11/01/993cca2e-1ccc-4838-a3e4-e86fea2cc7f9.html (in Korean) 

  23. Oh, C.H. , D.H. Kim, C.G. Oh, Y.H. Lee and E.H. Park(2016) . Introduction of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of Deoksan Provincial Park in Chungcheongnam-do. Literature and Environment 15(2): 97-124. 

  24. Park, K.M. (2009) . A research on the economic valuation of a travel course in the local public park and a temple in the course: In the case of the Donghwasa travel course in Palgong Mountai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13(1): 195-2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10.17280/jdd.2010.10.3.016 Park, S.H. (2010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y and image for Yeoninsan(Mt. Yeonin) Provincial Park. Journal of Digital Design 10(3): 155-163. 

  26. Park, S.H. (2010b) The development of image and public facility for Namhansansung Provincial Park.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3(6): 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rotected planet(2019) www.protectedplanet.net/c/protected-planet-report-2016/protected-planet-report-korean 

  28. Rho, J.H. , J. Huh and Y.S. Kim(2002) User’s behavior and the assessment for landscape attraction in Seonunsan Provinlcial Par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6(1): 39-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hin J.I. , U.S. Jung and E.J. Lee(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between characteristic of cultural tourism resource of Kyongpodae and The Revit.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2(2): 55-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oo, S.K. (2016) Strategy for taffic cngestion of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GRI.1-103. 

  31. 10.13047/KJEE.2018.32.6.646 Yu, S.B. , S.H. Choi, S.G. Park, H.M. Kang, S.C. Lee, H.Y. Shim and K.S. Song(2018) Ecological characteristic and vegetation structure of Mt. Daedun Provincial Park: Focusing on Ansim Temple area. Korean J. Environ. Ecol. 32(6): 646-6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