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상화 과정 이론에 근거한 결혼이주여성 대상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일상화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the Adaptation Process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using the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4 no.3, 2019년, pp.325 - 333  

김인선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지윤 (상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by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completed education programs for training of food citizen leaders. Focus group interviews of seven marriage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China, Mongolia and Russia...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차 유선 접수 후 2차 서류 심사를 거쳐 최종 3차 면접 심사로 최종 양성 교육생으로 선발된 총 26명을 대상으로 주 3회, 1일 3시간동안 가락몰 쿠킹 스튜디오(서울시 송파구), 한식 문화관(서울시 중구), 서울 먹거리 창업센터(서울시 송파구)에서 진행되었다. 교육은 이론과 실습으로 구성되었으며, 직업 역량 교육, 6가지 식품군의 이해, 가족 영양 관리, 한식과 식문화를 주제로 개별/조별 시연 평가를 통해 전반적인 식생활 관리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 참여자 7명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제한이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심층인터뷰는 정보가 포화가 될 때까지 수행되었으며 일상화 과정 이론을 활용하여 결혼이주여성이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촉진 및 장애요인을 발견하고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 활동을 통하여 스스로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지원 방안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수의 결혼이주여성 연구참여자들로 이루어진 연구(Kim 2016; Lee 2014; Kim et al.
  • 다문화가정을 위하여 정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다른 분야와 관련지어 발전시켜 새로운 결혼이주여성의 지원 방향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식생활의 일상화를 돕기 위한 먹거리 시민 리더단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식 생활 교육이 대상자들의 일상에 미친 영향과 적응도를 일상화 과정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식생활 적응에 대한 촉진요인(facilitators)와 장애요인(barriers)을 파악하여 향후 다문화 가정에게 필요한 다양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 참여 입문 요소에서 참여 대상자들은 불가피한 개인적 사정으로 인하여 수업에 참여하지 못하는 상황이 생겼을 때 교육 프로그램의 고정된 시간에 대한 불편함을 토로하였다. 특히, 단발성이 아닌 장기적인 교육의 경우 프로그램 도중에 빠지게 되면 지난 수업 정보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져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6월 7일부터 7월 19일까지 진행된 먹거리시민 리더단 양성 교육을 수료한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일상화 과정 이론으로 분석하여 다문화가정의 건강한 식생활의 일상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먹거리시민 리더단 양성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결혼이주여성 7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일상화 과정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참여 대상자들이 교육 내용을 일상화할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 한국의 식생활에 적응을 위한 영양 및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의 향후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인터뷰 결과, 교육 프로그램을 일상화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 중 차이의 인식, 집단적/개인적 설계 구조, 내면화, 등록/정당성(권리 획득), 관계적 통합, 기술 역량의 가능성, 체계화, 집단적 평가, 개인적 평가, 재구성은 참여 대상자들로부터 관찰되어 일상화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뷰 내에서 참여 입문, 활성화, 상호작용의 가능성, 맥락적 통합은 방해요인들이 관찰되어 향후 프로그램 진행 시 개선이 필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식생활의 일상화를 돕기 위한 먹거리 시민 리더단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수료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식 생활 교육이 대상자들의 일상에 미친 영향과 적응도를 일상화 과정 요소에 따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결혼이주여성의 한국 식생활 적응에 대한 촉진요인(facilitators)와 장애요인(barriers)을 파악하여 향후 다문화 가정에게 필요한 다양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 및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 조사 대상자들은 한국과 모국의 식문화가 다름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었으며 식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한국 음식과 영양에 대한 지식을 얻고자 하였다.
  • 참여 대상자들은 모국과 다른 한국의 식문화에서 한국 거주기간이 짧은 결혼이주여성들이 공통적으로 겪을 수 있는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과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이 인구학적 변화를 겪고 있는 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한국은 사회문화적 요인인 가치관의 변화와 세계화, 개방화로 인하여 여러 인구학적 변화를 겪고 있다.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는 155,457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여성이 130,227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한다(Ministry of Justice.
일상화 과정 이론이란 무엇인가? 일상화 과정 이론(Normalization Process Theory) (NPT) (May et al. 2003)은 새로운 시도나 복잡한 개입을 실행하거나 통합하는 역학 관계를 이해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회학적 도구로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의 식생활을 이해하고 적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한 새로운 사회적 과정이 시작되어 실행으로 이어질 때 서로 다른 집단에 속해 있는 실무자와 대상자에게 구현 향상과 체계화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이 가능하다(May et al.
2017년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는 몇명인가? 최근 한국은 사회문화적 요인인 가치관의 변화와 세계화, 개방화로 인하여 여러 인구학적 변화를 겪고 있다.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결혼이민자는 155,457명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중 여성이 130,227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한다(Ministry of Justice.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SH, Kwon JS, Kim KM, Yoon JS, Kim HK. 2015. Evaluation of Consumer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Sodium Intake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6):433-446 

  2. Asano K, Yoon J, Ryu SH. 2015. Japan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Dietary Life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by Level of Dietary Adaptation after Immigration to Korea.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3. Baek JY, Yi HY, Hwang JY, Kim K. 201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Low Sodium Consumption among Housewives Living in Certain Regions of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6(10):1243-1252 

  4. Bamford C, Heaven B, May C, Moynihan P. 2012. Implementing Nutrition Guidelines for Older People in Residential Care Homes: A Qualitative Study using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Implementation Science, 7(1):106 

  5. Choi JH. 2011. Study of Stress and Family Strength of Immigran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6(4):29-46 

  6. de Brun T, de-Brun MO, van Weel-Baumgarten E, van Weel C, Dowrick C, Lionis C, O'Donnell CA, Burns N, Mair FS, Saridaki A, Papadakaki M, Princz C, van den Muijsenbergh M, MacFarlane A. 2015. Guidelines and Training Initiatives that Support Communication in Cross-Cultural Primary-Care Settings: Appraising their Implementability using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fampra, 32(4):420-425 

  7. Holtrop JS, Potworowski G, Fitzpatrick L, Kowalk A, Green LA. 2016.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6:386 

  8. James. The applicability of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to speech and language therapy: a review of qualitative research on a speech and language intervention. 2011. Implementation Science, 6:95 

  9. Jeong GH, Koh HJ, Kim KS, Kim SH, Kim JH, Park HS, Lee YS, Han YR, Kim KW. 2009. A Survey on Health Management of during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ostpartum of Immigrant Women in a Multi-cultural Family. Korean J Women Health Nurs, 15(4):262-269 

  10. Jeong HS, Yoon JY. 2016.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formation Awareness, Perception and Familiarity on Korean Food Culture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ood Neophobia Degree. Korean Society of Food & Cookery Science, 32(2):233-243 

  11. Kim HS. 2016. The Qualitative Study on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s Work Experience in Social Enterprises.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51(0):41-77 

  12. Kim JE, Kim JM, Seo SH. 2011. Nutrition Education for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Using a Multicultural Approach: In-depth Interviews with Female Immigrants and Nutrition Education Professional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44(4):312-325 

  13. Lee EJ, Jun MK. 2014. A Study of Vietnamese Immigrant Women's 'Adaptation Experiences', With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ir Home Country.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5):63-86 

  14. Lee H. 2010. A Qualitative Study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Rural Areas.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62(3):219-245 

  15. Lee JS. 2012. The Factors for Korean Dietary Life Adaptation of Femal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1(6):807-815 

  16. Lee MH. 2016. Meal Management Behaviors for Korean Dietary Accultur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32(1):76-83 

  17. Lee SB, Jeong YR, Ahn HJ, Ahn MJ, Ryu SA, Kang NE, Oh SY. 2015. The Development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Low-income Family Children by applying the Social Cognitive Theory and Health Belief Model.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0(3):165-177 

  18. May C, Finch T, Mair F, Ballini L, Dowrick C, Eccles M, Gask L, MacFarlane A, Murrary E, Rapley T, Rogers A, Treweek S, Wallace P, ANderson G, Burns J, Heaven B. 2007. Understanding the implementation of complex interventions in health care: the normalisation process model. BMC Health Serv Res, 7:148 

  19. May C, Finch T. 2009. Implementation, embedding and integration: an outline of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Sociology, 43:535-554 

  20. May C, Sibley A, Hunt K. 2013. The nursing work of hospital-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mplementation: An explanatory systematic review using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1(2):289-299 

  21. May C, Cummings A, Girling M, Bracher M, Mair F, May CM, Murray E, Myall M, Rapley T, Finch T. 2018. Using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in feasibility studies and process evaluations of complex healthcare interventions: a systematic review. Implementation Science, 13:80 

  22. McEvoy R, Ballini L, Maltoni S, O'Donnell CA, Mair FS, MacFarlane A. 2014.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using the Normalization Process Theory to Research Implementation Processes. Implementation Science, 9(1):2 

  23. Murray E, Treweek S, Pope C, MacFarlane A, Ballini L, Dowrick C, Finch T, Kennedy A, Mair F, O'Donnell C. 2010. Normalisation Process Theory: A Framework for Developing, Evaluating and Implementing Complex Interventions. BMC medicine, 8(1):63 

  24. Oh SM, Yu YL, Choi HI, Kim KW. 2012.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Increasing Vegetables, Fruits and Dairy Foods Consumption for Preschool Children.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517-529 

  25. So JS, Han SN. 2012.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5):589-602 

  26. Wang HS. 2006. Problems and Solutions of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 Women's Languag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Korea, pp 48-50 

  27. Ministry of Justice. Republic of Korea 2017. Available from: http://www.immigration.go.kr/immigration/index.do, [accessed 2018.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