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조건과 복약 순응도에 따른 비만 치료 영향 인자 분석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Obesity Treatment according to Initial Condition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9 no.1, 2019년, pp.31 - 41  

한지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  박영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진단생기능의학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age, body weight, muscle mass, fat mass, body mass index (BMI), metabolism, and compliance with medication on weight loss in obese adults.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78 patients who were visited to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환자의 성별, 연령,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대사량 등의 조건과 약물 복약 순응도에 따라 체중감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가미태음조위탕을 복용하여 비만 치료를 진행한 비만 성인들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관찰하였다.
  • 본 연구는 가미태음조위탕을 복용하여 비만치료를 진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초기 체중 분포는 60 kg대가 73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70 kg대가 65명으로 많았으며, 평균 체중은 72.
  • . 본 연구에서는 SPSS Clementine 12.0 프로그램(IBMCorp., Armonk, NY, USA)의 특징 선택(Featureselection) 노드를 이용한 의사결정나무 통계 방법을 통하여 체중 감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를 예측 모형으로 분할하고 어떠한 독립변수에 의하여 분류가 진행되는지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변수 중요도(variable importance, VI)를 통해 각 변수의 중요도를 0과 1사이의 숫자로 나타내어 확인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가미태음조위탕을 캡슐 형태로 복용하여 체중 감량을 시도한 비만 성인의 치료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체중감량에 있어서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감량 체중(kg)과 초기체중(kg), 체지방량(kg), 초기 BMI, 복약 순응도(%), 해리스-베네딕트 공식, 개정된 해리스-베네딕트 공식, 미플린-세인트 조르 공식과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가설 설정

  • 9 이상인 변수(Table 4)의 강한 상관관계로 인해 다중공선성 문제가 의심되고 회귀분석의 결과를 신뢰할 수 없어, 다중공선성이 분류 성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의사결정나무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27).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초기 근육량, 초기 체지방량, 신장, 연령에 따라 대사량의 차이16-19)가 발생하기 때문에 대사량이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가정으로 초기 조건 및 대사량으로 상관관계 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발생 원인은?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로,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하여 섭취한 칼로리로 인한 열량 불균형으로 발생한다1). 우리나라의 19세 이상 성인 비만 유병률은 2017년 기준 34.
비만이란?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된 상태로, 신체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초과하여 섭취한 칼로리로 인한 열량 불균형으로 발생한다1). 우리나라의 19세 이상 성인 비만 유병률은 2017년 기준 34.
가미태음조위탕을 캡슐 형태로 복용하여 체중 감량을 시도한 비만 성인의 치료를 후향적으로 관찰했을 때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얻은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가미태음조위탕을 캡슐 형태로 복용하여 체중 감량을 시도한 비만 성인의 치료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체중 감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체중감량에 있어서 상관관계 분석 결과 감량 체중(kg)과 초기체중(kg), 체지방량(kg), 초기 BMI, 복약 순응도(%), 해리스베네딕트 공식, 개정된 해리스-베네딕트 공식, 미플린-세인트 조르 공식과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의사결정 나무 분석 결과, 초기 체중에서 5% 이상 감량을 성공한 환자군은 초기 BMI, 복약 순응도, 초기 근육량 순으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고, 초기 체중에서 5 kg 이상 감량을 성공한 환자군은 초기 BMI, 복약 순응도, 감량 후 BMI 순으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 Seoul: Koonja, 2011 p. 350. 

  2. KOSIS (Statistics Korea, national nutrition survey). Obesity prevalence trend [Internet]. Seoul: KOSIS; 2017 [cited May 7, 2019]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17&tblId=DT_11702_N101&conn_path=I2 . 

  3.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obesity update [Internet]; 2017 [cited May 7, 2019] Available from:URL: https://www.oecd.org/els/health-systems/Obesity-Update-2017.pdf . 

  4.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Report of a WHO Consultation (WHO Technical Report Series 894)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cited Mar 12, 2019] Available from: http://www.who.int/nutrition/publications/obesity/ . 

  5. 강은영, 박영배, 김민용, 박영재. 가미태음조위탕의 체중감량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ol.17, no.2, 68-76.

  6. 남승희, 김서영, 임영우, 박영배. 비만 치료에 있어서 체중 감량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고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ol.18, no.2, 115-127.

  7. Nicklas, Jacinda M., Huskey, Karen W., Davis, Roger B., Wee, Christina C.. Successful Weight Loss Among Obese U.S. Adult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42, no.5, 481-485.

  8. 10.21215/kjfp.2017.7.1.72 

  9. 10.21032/jhis.2017.42.4.355 

  10. 정장원, 조성우. 인체를 대상으로 한 한의학적 비만 연구의 최신 국내 동향분석.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6, no.1, 49-61.

  11. Park TY, Shin BC, Kong JC, Song MY, Kim EK, Seo EA et al. Study on anti-obesity effect of Chegameuiin-tang. Journal of Physiology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2008 ; 22(3) : 642-8. 

  12. Lee JE, Song YK, Lim HH. 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of Bofu-tsusho-san on obese patients.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2010 ; 10(1) : 1-6. 

  13. 한경선, 이명종, 김호준. 성인비만의 한약치료 임상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 JKMR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vol.26, no.4, 23-35.

  14. Lee JM. 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2nd ed. Seoul: Hanglimsa, 1993 p. 19-24. 

  15. Lee JE, Song YK, Lim HH. Clinical trial of Taeeumjowui-tang (Taiyintiaowei-tang) on obese patients:randomized, double 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J Oriental Rehab Med. 2010 ; 20(4) : 197-213. 

  16. Harris, J. Arthur, Benedict, Francis G.. A Biometric Study of Human Basal Metabolism.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4, no.12, 370-373.

  17. Roza, A M, Shizgal, H M. The Harris Benedict equation reevaluated: resting energy requirements and the body cell mas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40, no.1, 168-182.

  18. Mifflin, MD, St Jeor, ST, Hill, LA, Scott, BJ, Daugherty, SA, Koh, YO. A new predictive equation for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healthy individual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51, no.2, 241-247.

  19. Cunningham, JJ. Body composition as a determinant of energy expenditure: a synthetic review and a proposed general prediction equ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54, no.6, 963-969.

  20. Park HC, Cho KW. Social indicator survey data analysis using decision tree. The Journal of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5 ; 7 : 773-83. 

  2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8 clinical guideline for obesity. Seoul: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Committee of Clinical Guideline, 2018 p. 47-53. 

  22.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Executive Summary.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68, no.4, 899-917.

  23. Park HS, Kim KS, Kim BT, Lee KW, Ahn CW, Choi WH. Double-blind, randomized, multi-center, comparative clinical trial of Sibutramine Mesilate with Sibutramine hydrochloride for evaluating efficacy and safety in obese patients. Korean J Obes. 2008 ; 17(2) : 82-90. 

  24. Park CY, Kim YS, Ryu MS, Nam SY, Park HS, Kim SM. A phase 3 double-blind, parallel-group, placebo-controlled trail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sibutramine (Reductil) in the treatment of obese patients. Korean J Obes. 2001 ; 10(4) : 336-47. 

  25. Na Y, Park SG. Understanding statistical research @ethodology. 1st ed. Seoul: Shinyoungsa, 2009 p. 209-10. 

  26. 정용준, 김예진. 상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한 하수처리시설의 에너지 소비량과 운영인자의 관계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32, no.3, 253-260.

  27. Kotsiantis, S. B.. Decision trees: a recent overview. The Artificial intelligence review, vol.39, no.4, 261-283.

  28. Dhurandhar, NV, Blank, RC, Schumacher, D, Atkinson, RL. Initial weight loss as a predictor of response to obesity drug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disorders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vol.23, no.12, 1333-1336.

  29. Handjieva-Darlenska, T, Handjiev, S, Larsen, T M, van Baak, M A, Jebb, S, Papadaki, A, Pfeiffer, A F H, Martinez, J A, Kunesova, M, Holst, C, Saris, W H M, Astrup, A. Initial weight loss on an 800-kcal diet as a predictor of weight loss success after 8 weeks: the Diogenes study.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64, no.9, 994-999.

  30. 김서영, 박영재, 박영배. 비만치료에 있어서 중도탈락과 감량 후 체중유지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에 대한 고찰. Journal of Korean Medicine = 대한한의학회지, vol.37, no.3, 62-73.

  31. Mauro, Marina, Taylor, Valerie, Wharton, Sean, Sharma, Arya M.. Barriers to obesity treatment. Europ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19, no.3, 173-180.

  32. Morrison, David S, Boyle, Susan, Morrison, Caroline, Allardice, Gwen, Greenlaw, Nicola, Forde, Lorna. Evaluation of the first phase of a specialist weight management programme in the UK National Health Service: prospective cohort study. Public health nutrition, vol.15, no.1, 28-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