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교 가정과교육에서 행복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가족의 이해' 단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Learning Plans Using Happiness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Unit of Understanding Families in a Middle School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1 no.2, 2019년, pp.35 - 50  

임홍순 (서경중학교) ,  최새은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의 이해'단원에 행복교육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가정교과 수업에 실행함으로서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개발은 ADDIE에 따라 2009개정 교육과정과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행복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후 교육목표와 수업목표를 설정하고 학습주제와 학습내용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행복교과서의 9가지 행복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15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과 학습자료(학습 활동지13개, 읽기자료 6개, 파워포인트 자료 13개, 동영상 8개)를 개발하고 수업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2017년 3월 13일부터 7월 7일까지 충청북도 소재의 M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의 남녀 71명을 대상으로 연구자가 직접수업에 적용하고, 70명의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 후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과 교우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운영 방식에 대한 학생평가는 행복연습의 학생활동과 모둠활동의 수업방식을 만족하였고, 이런 학생 참여 수업 방식이 본 수업에 가장 적합한 수업방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행복교육을 적용한 '가족의 이해'단원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실행이 학생들의 행복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가족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가치관 및 관점을 갖게 하였으며, 교우관계 증진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행복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학교교육현장에서 더욱 다양하게 개발되고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by using the 'happiness education program' in order for students to improve a feeling of happiness and enhance positive relationships. This study focuses on the unit of 'understanding families' with middle school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갈등으로 인해 가족 간 대화가 단절되거나 상처되는 말이나 폭력적인 행동에 대한 학생들 생각을 들어보고, 자신의 관점에 따라 갈등상황이 어떻게 인지되는지 생각해보게 하였다.
  • 관계 돈독히 하기 행복연습 활동으로 가족에게 감사나 행복을 전해 주는 메시지를 보내는 활동을 하였다.
  • 또한 「하얼빈의 얼음축제」라는 읽기자료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가지고 있던 편견을 긍정적으로 전환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 스스로 행복을 만들고 실천하는 역량을 키우는 행복교육의 내용을 중학교 ‘가족의 이해’단원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가정교과 수업에 실행함으로서 학생들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 수업 도입에서 ‘인성채널 e 우리말 안녕’ 동영상을 시청 후 ‘텔레파시’ 짝활동을 함께 해보며 의사소통에서 바르게 말하기와 듣기가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 사 이벤트를 계획하여 친구, 선생님, 가족에게 감사의 표현을실천하게 하는 프로젝트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수업 도입에서는 세대간 갈등 문제를 보도한 뉴스를 시청한 후 최근 사회구조가 급변하면서 세대간 갈등이 점점 커지고 있음을 인식시키며 인간관계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첫 번째 행복연습 활동으로 ‘포옹의 기적’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한 후 친구, 선생님, 가족을 위해 포옹하면서 평상시 감사했던 것을 표현하게 하였다.
  • 수업 전개에서 가족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제적인 사례를 제시하여 모둠원끼리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고 내용을 정리하여 발표하게 하였다.
  • 수업 도입에서 부모와 자녀 간 인식차이로 인해 갈등을 겪는 사례에 대한 동영상을 시청한 후 학생들도 비슷한 갈등 사례가 있는지 발표하게 하며 해결방법이 무엇인지 생각해 보게 하였다.
  • 수업전개에서 건강한 가족의 특징에 대해 토의를 해보고, 비교하지 않기 행복연습 활동으로 자신의 가족이 현재 가장 잘하고 있는 강점을 찾아 건강한 가족이 있음을 감사하게 여기며 나아가 자녀로서 형제자매로서 건강한 가족을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들이 필요한지 생각해 보게 하였다.
  • 이러한 조작적 정의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2 교과서의 ‘가족의 이해’ 단원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행복교과서의 행복교육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중학교 3학년들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청소년들의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감 증진과 가족관계와 교우관계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행복교육을 학생들이 스스로 행복을 만들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우는 교육이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였다. 이러한 조작적 정의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2 교과서의 ‘가족의 이해’ 단원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행복교과서의 행복교육 구성요소를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중학교 3학년들을 대상으로 실행한 후 청소년들의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감 증진과 가족관계와 교우관계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변화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가정과교육은 개인과 가족의 행복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는 만큼 행복교육 프로그램에서 추구하는 목표와 내용에 있어서 일치하는 부분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행복연구센터에서 개발한 행복 교과서의 내용을 가정과 교육에 적용하여 가정과 교과수업에서 행복교육을 실시하고자 한다.
  • 행복연습 활동으로 우정을 돈독하게 하기 위한 ‘비빔밥 비벼 나누어 먹기’ 활동을 하면서 비빔밥 재료들이 섞여 더 영양가 있고 맛있는 맛을 내는 것처럼 학생들도 다른 개성과 성격이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잘 형성했을 때 공동체의 행복감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도록 지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과 교육의 목표는 무엇인가? 가정과 교육의 목표는 삶을 주체적이고 만족스럽게 살기 위해 항구적으로 다루어야 할 개인과 가족의 행복이다(Chae, Park, Kim & Han, 2014). 청소년들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만족감,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 특성(Koo & Suh, 2011; Kwon, Lee & Song, 2012; Sung & Kim, 2013)과 가족, 친구, 선생님과의 사회적 관계 특성이 있다.
청소년들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 학술적 관심이 매우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혼란과 갈등을 겪는 청소년기의 보편적 특징과 입시위주의 경쟁에서 겪는 학업부담, 미래의 진로에 대한 부담에서 오는 개인적인 스트레스, 가족의 기능 약화로 인한 가족생활에 오는 부정적 정서, 다양한 사회의 문제들로 인한 불안감 등으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의 삶에 만족하지 못하고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다(Mo & Lee, 2012; Jeon & Jung, 2009).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행복지수를 나라별로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Youm, Kim, Lee, & Lee, 2015),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행복지수는 OECD 평균이하이고 5명중 1명은 자살충동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나 청소년들이 느끼는 행복감이나 삶의 질이 매우 위태로운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 학술적 관심이 매우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Lee와 Yu(2014a; 2014b)는 Noddings의 행복 교육 활성화 요소를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삶 중심 교과’와 ‘행복추구 역량’을 기르는 가정과 교육의 성격을 중심으로 미래사회의 변화와 가정과 교육과정 연계 방안을 탐색한 Wang(2015)은 가정교과는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행복한 인간을 기르고 다양한 삶의 문제를 해결하며 행복한 삶의 성취를 위해 다양한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핵심교과임을 주장하였다. Lee와 Yu(2014a; 2014b)는 Noddings의 행복 교육 활성화 요소를 개인생활의 5가지 영역(가정 만들기, 장소와 자연의 역할, 아이 키우기, 인격과 영성적 경험, 대인관계의 성장)과 공적생활 영역 2가지(진로 준비, 공동체⋅민주주의⋅사회참여⋅봉사의 영역)로 구분하여 2009 중학교 기술⋅가정과 교과서 1권과 2권의 가정생활 영역에서 반영된 비율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Noddings가 제안하는 행복경험 활성화 영역과 관련된 내용요소를 고루 포함하고 있음을 밝히며 2009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가정생활영역의 내용이 행복교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행복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8). Happiness study. Retrieved from http://www.snuhappiness.kr 

  2. Cha, S. H., & Kim, J. M. (2014). Exploring the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affecting student happiness.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4), 103-122. 

  3.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4). 가정과 교육론 [Introd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Seoul: Gyomoonsa. 

  4. Choe, I. C., & Lee, K. M. (2012). 행복 교사용 지도서 [Happiness textbook teachers' manuals]. Seoul: Center for Happiness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5. Hwang, G. H. (2017). Issues in happiness education.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29(3), 1-27. 

  6. Jeon, K. S. (2016). A study on the effect and development of character strengths? Focused on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Gwangju, Korea. 

  7. Jeon, K. S., & Jung, T. Y. (2009). Happiness determinants for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15(1), 133-153. 

  8. Jeong, J. W. (2013). The influence of home economics educa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subjective happiness: with priority given to the unit Understanding of You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Jeonbuk, Korea. 

  9. Kang, Y. H. (2012). Implications of happiness studies to educatio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5(2), 1-21. 

  10. Koo, J. S., & Suh, E. K. (2011). Happiness in Korea: Who is happy and when?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5(2), 143-166. 

  11. Kwon, S. W., Lee, A. H., & Song, I. H. (2012). A study on adolescent happiness :Application of the adolescent resilience model. Studies on Korean Youth, 23(2), 39-72. 

  12. Lee, G. B. (2009). Happiness and educational culture in Korea. Studies on Korean Youth, 20(1), 365-392. 

  13. Lee, M. C. (2012). A study on education and happines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for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2), 1-22. 

  14. Lee, H. E. (2014). The need analysis of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ors about happiness education. The Kore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nnual Conference, Korea. 

  15. Lee, M. H., & Lee, Y. S. (2013). The effects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based on character strength on subjective wellbeing, resili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4), 813-931. 

  16. Lee, Y. S., & Yoo, S. J. (2014a).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activating happiness education suggested by Noddings reflected in the home economics par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Volume 1 of 2009 Curriculum Revis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1), 31-53. 

  17. Lee, Y. S., & Yoo, S. J. (2014b). An analysis on the elements of activating happiness education suggested by Noddings reflected in the home economics part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Volume 2 of 2009 Curriculum Revisio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6(3), 91-112. 

  18. Ministry of Education(2011).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national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ncic.go.kr/mobile.kri.org4.inventoryList.do. 

  19. Ministry of Education(2015).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informatics national curriculum. Retrieved from http://ncic.go.kr/mobile.kri.org4.inventoryList.do. 

  20. Mo, S. H., & Lee, J. S. (2012). An exploration on variables influencing subjective happiness of youth: Moderating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academic stress.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16(13), 23-40. 

  21. Moon, Y. R. (2014). 행복교육 [Happiness Education]. Seoul: Readersbook. 

  22. Noddings, N. (2008). Happiness and education. (J. H. Lee, Trans.). Seoul: Hagidang. (Original work published 2003). 

  23. Park, M. H. (2012).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happiness in the school curriculum: Focusing to enhance capabilities of happiness o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curriculum.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4(4), 117-132. 

  24. Suh, J. W., & Jung, Y. T. (2014). Comparison of influences of variables on subjective happiness in the youth: Personal capability, family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8), 265-292. 

  25. Sung, E., & Kim, G. (2013).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nalysis among happiness, personal traits, and environmental traits of adolescen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ies on Korean Youth, 24(4), 177-202. 

  26. Wang, S. S. (2015).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 future social change: Focusing on the new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subjects for life and happines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17-32. 

  27. Yoo, M. S., Chung, K. S., Park, S. H., Cha, J. R., & Hong, K. P. (2013). Children’s and adolescents’ perceptions of happiness. Journal of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31(3), 15-26. 

  28. Youm, Y. S., Kim, K. M., Lee, E. J., & Lee, Y. S.(2015). Korean Child and Youth Wellbeing Index: International comparison with other OECD countries. Retrieved from http://www.korsofa.org/bbs/board.php?bo_tabledata&wr_id73. 

  29. Yu, J. H., & Lee, Y. S. (2013). Development of practical problem based teaching-learning plans and evaluation of its effectiveness o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fficacy, ego resilience and happiness: Focused on the unit 'Youth's self management' in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5(4), 7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