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 자기회귀교차지연 효과 검증
Testing the Auto-regressive Cross-lagged Effects Between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and Life-satisfaction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22 no.4, 2019년, pp.85 - 96  

구재선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내재적 가치(e.g. 사회적 관계, 자기수용 등)에 비해서 외재적 가치(e.g. 부유함, 사회적 인정 등)를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성이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를 확인하고, 이러한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1패널의 3차, 5차, 7차 년도 조사 자료(N = 2,259; 남자 1,140명, 여자 1,119명)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도는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이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다음 시점의 삶의 만족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이전 시점의 삶의 만족은 이후 시점의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을 설명하지 못했다. 끝으로 이러한 관계는 남녀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삶에 대한 불만족이 내재적 가치보다 외재적 가치를 지향하게끔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이 높을 때 삶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REVO) means the relative importance to extrinsic values (e.g. wealth, fame and social approval) compared with intrinsic values (e.g. affiliation, self-acceptance and personal growth).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 between REVO and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연구는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추가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는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지향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이 삶의 만족을 저하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삶에 대한 불만족이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을 유발할 수도 있기에, 본 연구는 대규모 장기 종단 자료를 사용하여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의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경제적 성공과 같은 외재적 가치를 더 강조하고 여성은 남성보다 내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Kasser &Ryan, 1993; 1996), 물질적 가치와 낮은 안녕감의 관계는 남성보다 여성 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Dittmar, Bond, Hurst, & Kasser, 2014).
  • 이러한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은 낮은 심리적 안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Kasser, 2002; Ryan & Deci, 2002). 이에 본 연구는 대규모 장기 종단 자료를 분석하여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방향성을 확인하였다.
  • 또한 선행연구에서 남성은 여성보다 경제적 성공과 같은 외재적 가치를 더 강조하고 여성은 남성보다 내재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며(Kasser &Ryan, 1993; 1996), 물질적 가치와 낮은 안녕감의 관계는 남성보다 여성 집단에서 더 강한 것으로 보고되었다(Dittmar, Bond, Hurst, & Kasser, 2014). 이에 본연구는 상대적 외적 가치 지향과 삶의 만족 간의 인과적 관계에 성별 차이가 있는지 추가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본 연구는 개인이 추구하는 가치지향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를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치 지향(value orientation)이란 무엇인가? 가치 지향(value orientation)은 특정한 행동 양식이나 상태를 다른 것보다 더 선호하는 신념이다(Rokeach, 1973). 이러한 가치 지향은 자신의 삶에서 무엇이 중요한지를 정의하는 원칙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Schwartz 1992), 구체적인 목표 설정과 행동 및 그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정서를 결정한다는 점에서(Chae, 2017; Locke, 2002; Rohan, 2000; Torelli &Kaikati, 2009) 인간의 삶에 포괄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내재적 가치란 무엇인가? Kasser와 Ryan(1996)은 가치를 그 내용에 따라 내재적 가치(intrinsic value)와 외재적 가치(extrinsic value)로 구분하였다. 내재적 가치는 인간의 고유한 자아실현 및 성장 경향성과 일치하는 가치로, 자기 수용(self-acceptance), 친밀감(affiliation), 개인적 성장(personal growth)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이러한 가치들은 그 자체로 만족스러운 행동과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한다.
내재적 가치와 반대 되는 개념은 무엇인가? 이러한 가치들은 그 자체로 만족스러운 행동과 경험을 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기여한다. 반면에 외재적 가치는 경제적 성공(financial success), 명성(fame), 타인의 인정(social recognition) 등과 같은 외적인 보상이나 칭찬을 추구하는 가치이다. 자신이 칭찬이나 보상을 받을 가치가 있는지는 타인의 판단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외재적 가치는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 작용할 뿐 그 자체로 만족을 제공하지는 못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rowne, M. W., &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Beverly Hills, CA: Sage. 

  2. Chae, J. M. (2017).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n mobile purchase intention.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0(2), 73-86. DOI: 10.14695/KJSOS.2017.20.2.73 

  3. Cheung, G. W., & Rensvold, R. B. (2002). Evaluating goodness-of-fit indexes for testing measurement invarianc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233-255. DOI: 10.1207/S15328007SEM0902_5 

  4.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 227-268. DOI: 10.1207/S15327965PLI1104_01 

  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193, 542-575. DOI: 10.1037/0033-2909.95.3.542 

  6. Dittmar, H., Bond, R., Hurst, M., & Kasser, T.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m and personal well-being: A meta-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07(5), 879-924. DOI: 10.1037/a0037409 

  7. Grouzet, F. M. E., Kasser, T., Ahuvia, A., Dols, J. M. F., Kim, Y., Lau, S., Ryan, R. M., Saunders, S., Schmuck, P., & Sheldon, K., M. (2005). The structure of goal contents across 15 cul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9, 800-816. DOI: 10.1037/0022-3514.89.5.800 

  8. Hong, S.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9. Hu, L. T., & Bentler, P. M. (1998). Fit indices in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Sensitivity to underparameterized model misspecification. Psychological Methods, 3(3), 424-453. DOI: 10.1037/1082-989X.3.4.424 

  10. Jung, Y. J., & Lee, E. J. (2017). Verification of longitudinal changes and predictors of adolescent life goals. Korea Children's and Youth Panel Congress Book, 224-246. 

  11. Kasser, T. (2002). Sketches for a self-determination theory of values.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in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123-140).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2. Kasser, T., Rosenblum, K. L., Sameroff, A. J., Deci, E. L., Niemiec, C. P., Ryan, R. M., Arnadottir, O., Bond, R., Dittmar, H., Dungan, N., & Kawks, S. (2014). Changes in materialism, chang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Evidence from three longitudinal studies and an intervention experiment. Motivation and Emotion, 38(1), 1-22. DOI: 10.1007/s11031-013-9371-4 

  13. Kasser, T., & Ryan, R. M. (1993). A dark side of the American dream: Correlates of financial success as a central life aspi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410-422. DOI: 10.1037/0022-3514.65.2.410 

  14. Kasser, T., & Ryan, R. M. (1996). Further examining the American dream: Differential correlates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2(3), 280-287. DOI: 10.1177/0146167296223006 

  15. Kasser, T., & Sheldon, K. M. (2000). Of wealth and death: Materialism, mortality salience, and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ical Science, 11(4), 348-351. 

  16. Kim, J. H., Kim, M. K., & Hong, S. H. (2009). Writing a paper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oul: Communication Books. 

  17. Kim, S. Y., Lim, J. Y., Kim, S. W., Park, S. H., Yoo, S. R., Choi, J. Y., & Lee, G. Y. (2006). Survey of youth development indicators 1, Verification of measurement indicators in the results. Seoul: Korea Youth Development Institute. 

  18. Kline, R. B. (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4th ed.). New York: Guilford Press. 

  19. Koo, J., & Suh, E. M. (2015). Why Korean university students are less happy than U.S. counterparts? The role of relative extrinsic value orientation, social support and social comparison.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9(4), 63-83. 

  20. Locke, E. A. (2002). Setting goals for life and happiness.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299-312).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21. Nickerson, C., Schwarz, N., Diener, E., & Kahneman, D. (2003). Zeroing in on the dart side of the American dream: A closer look at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the goal for financial success. Psychological Science, 14(6), 531-536. DOI: 10.1046/j.0956-7976.2003.psci_1461.x 

  22. Niemiec, C. P., Ryan, R. M., & Deci, E. (2009). The path taken: Consequences of attaining intrinsic and extrinsic aspirations in post-college lif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3, 291-306. DOI: 10.1016/j.jrp.2008.09.001 

  23. Rohan, M. J. (2000). A rose by any name? The values construct.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3), 255-277. DOI: 10.1207/S15327957PSPR0403_4 

  24.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Free Press. 

  25. Ryan, R. M. & Deci, E. L. (2002). Overview of selfdetermination theory: An organismic dialectical perspective. In E. L. Deci & R. M. Ryan (Eds.), Handbook in self-determination research (pp. 3-33). Rochester,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26. Schwartz, S. H. (1992). Universals in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values: Theoretical advances and empirical tests in 20 countries. In M. P. Zanna (Ed.),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24, pp. 1-65). San Diego: Academic Press. DOI: 10.1016/S0065-2601(08)60281-6 

  27. Sheldon, K. M. (2005). Positive value change during college: Normative trends and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9(2), 209-223. DOI: 10.1016/j.jrp.2004.02.002 

  28. Sheldon, K. M., Gunz, A., Nichols, C. P., & Ferguson, Y. (2010). Extrinsic value orientation and affective forecasting: Overestimating the rewards, underestimating the costs. Journal of Personality, 78(1), 149-178. DOI: 10.1111/j.1467-6494.2009.00612.x 

  29. Sheldon, K. M., & Kasser, T. (2008). Psychological threat and extrinsic goal striving. Motivation and Emotion, 32, 37-45. DOI: 10.1007/s11031-008-9081-5 

  30. Solberg, E., Diener, E., & Robinson, M. D. (2004). Why are materialists less satisfied? In T. Kasser & A. Kanner (Eds.), Psychology and consumer culture: The struggle for a good life in a materialistic world (pp. 29-4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Torelli, C. J., & Kaikati, A. M. (2009). Values as predictors of judgments and behaviors: The role of abstract and concrete mindse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1), 231-247. DOI: 10.1037/a0013836 

  32. U. S. Department of Education Center for Education Statistics (2002). Nationa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ighth grade questionnaire. Chicago: A Social Science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Chicago. DOI: 10.3886/ICPSR09389.v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