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실은 어떻게 '스마트'해지는가?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9 no.3, 2019년, pp.201 - 246  

정한별 (한국과학기술원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보통신기술은 교육을 큰 위기에 빠트리는 위험물질 취급을 받기도 하고, 위기에서 구원하는 구원자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한국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타블렛 PC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표준 교실 모델을 정립해 각 학교에 확산, 정착시키고자 했다. 이 논문은 스마트교육 정책이 꿈꾸었던 스마트교실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어떤 마찰을 일으켰는지 분석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정책의 방향과 이상을 분석하고, 실제로 스마트한 교실 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학교 세 곳에 방문해 시설 견학 및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다. 스마트교육 정책이 제안한 이상적 교실은 모델하우스처럼 깔끔한 공간에 스마트폰처럼 다양한 기능을 한 번에 갖춘 패키지였지만 일상적으로 보통 교실처럼 활용되기 어려웠다. 각 학교는 모델을 수용하는 대신 규모, 지역 특성, 학생들과 교사의 사회경제적 상황, 교사의 경험, 기존 인프라의 유무 등의 요인들이 조합되는 방식에 따라 각자의 방식으로 "스마트"해졌다. A 초등학교에서는 기계가 학교의 공간을 길들여 자신만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한편 이동을 위해서는 학교의 규칙에 따르게 되었다. B 초등학교에서는 학교 전반을 아우르는 인프라가 만들어지지는 못했지만 선생님의 경험에 힘입어 조직화했으며, C 초등학교에서는 특정 교실에 밀집되어 선생님의 전문성을 증진시켰다. 스마트교실의 구성하고 있던 기기들은 분해되고, 맥락에 맞게 재조합되어 각 학교의 교실들을 "스마트"하게 만들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technology is sometimes considered as a cause that puts education in a big crisis, or it can be seen as a savior. In 2011,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at it would innovate education and build a talented nation by bringing IT into schools of public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SMAR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크의 기대 효과는? 정보통신기술은 그 특징을 십분 활용해 기존의 교육환경이 감당해온 것보다 더욱 먼 거리에 있는 사람들을 더욱 많이, 한 번에 연결해 낼 것이라는 기대를 받았다. 가령, 무크(Massive Open Online Course, MOOC)는 장소와 시간에 상관없이 네트워크에 접속만 할 수 있다면 가상세계의 교실로 수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여 동시에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고 기대 받았다. 뉴욕타임즈가 2012년을 ‘무크의 해’라고 명명했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에드엑스(edX), 코세라(Coursera) 등의 서비스를 활용해 실제로 수업을 들었다(Pappano, 2012).
혼합형과 정착형 미래교실의 차이점은? 혼합형과 정착형 미래교실은 비교적 가까운 미래에 만들어질 수 있는 교실로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교구, 기반인프라, 그리고 공간구성을 통해 구분된다. 혼합형 교실은 현재 이루어지는 활동을 보조하는 기술의 개별 도입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반면, 정착형 교실은 교실을 처음 설계할 때부터 기술요 소의 도입을 고려해야만 만들 수 있다. 후자에 가까울수록 교실 내부의 방향성(교사가 있는 공간이 교실의 ‘앞’이 되는 배치)이 사라지고, 기계들은 더욱 다양한 감각과 수단을 통해 학생의 ‘몸’에 개입 한다.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는 취지로 한국 정부가 2011년에 발표한 것은? 정보통신기술은 교육을 큰 위기에 빠트리는 위험물질 취급을 받기도 하고, 위기에서 구원하는 구원자로 비추어지기도 한다. 한국 정부는 2011년 스마트교육 정책을 통해 정보통신기술을 적극 공교육의 학교들로 끌어들여 교육을 혁신하고 인재대국을 건설하겠다고 발표했다. 스마트교육은 타블렛 PC나 노트북과 같은 기기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표준 교실 모델을 정립해 각 학교에 확산, 정착시키고자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계보경, 이은환, 오명선 (2011), 미래학교 디자인 가이드라인: Philosophy and direction of future school,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 계보경, 이은환, 김재옥, 박성규, 김현석, 심형렬, 이성민 (2013a), 꿈과 끼를 살리는 스마트한 교실 만들기 1.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 계보경, 이은환, 김재옥, 박성규, 김현석, 심형렬, 이성민 (2013b), 스마트교실 환경구축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4. 계보경, 이은환, 김재옥, 박성규, 심형렬, (2013c), 통하는 우리학교 스마트하게 운영하기 한국교육학술정보원. 

  5. 교육부 (2018), 신민철 교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 디지털 신기술 접목한 실감형 수업 디자인, 행복한 교육, Vol 431, 25-29쪽. 

  6. 교육부 (2019.11.7.), 고교 서열화 해소 및 일반고 교육역량 강화방안, 보도자료.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2018), 교육통계 분석자료집: 유?초?증등 교육통계편. 

  8.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 (2011. 6. 29),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9. 국가통계포털 (2019.7.15.), 대구광역시달성군기본통계: 읍면동별 세대 및 인구.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558&tblIdDT_55801_B001005 

  10. 권성호, 이준, 강경희, 신상희, 고범석 (2006), u-러닝 코리아 로드맵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1. 김두연 (2011),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2011. "미리 가본 미래학교" 정책설명회, 1-16쪽,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발표자료. 

  12. 김현진 (2017), 미래학교 설립 및 운영 모델 탐색, KERIS 미래교육 심포지엄: 미래교육 방향, 현장에서 답을 찾다, 17-41 쪽, 교육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발표자료. 

  13. 박인우, 김갑수, 김경, 전주성, 고범석 (2006), 유비쿼터스 환경을 지향하는 미래교실 구성 방안.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4. 박인우, 임병노, 이영준, 유헌창, 김현진, 정종원, 고범석 (2009), 테크놀로지 기반 첨단 미래학교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5. A초등학교 (2012.10.16), 스마트교육의 요람 A초: 스마트 CEO 연수(중등 교장교감) 실시, 보도자료. 

  16. A초등학교 (2018) ALL TOGETHER SW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을 통한 SW교육 확산 및 일반화. 

  17. 전자신문 (2012. 6. 10), 알고 싶어요, 한국의 스마트 교실!. 

  18. 중앙일보 (2018. 12. 13), 산골학교에 첨단 IT 교육, 게임하듯 즐거운 교실 아이들... 수학 성적도 쑥쑥. 

  19. 클래스팅 (2018), 클래스팅 AI 소개서. 

  20. Arnold, M. (1996), "The High-Tech, Post-Fordist School", Interchange, Vol. 27, NO. 3-4, pp. 225-250. 

  21. Barber, M., Donnelly, K. and Rizvi, S. (2013), "An Avalanche Is Coming: Higher Education and the Revolution Ahead",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https://www.ippr.org/files/images/media/files/publi cation/2013/04/avalanche-is-coming_Mar2013_10432.pdf 

  22. Biesta, G. (2009), "Good Education in an Age of Measurement: On the Need to Reconnect with the Question of Purpose in Education",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Vol. 21, No. 1, pp. 33-46. 

  23. Bork, A. (1995), "Distance Learning and Interaction: Toward a Virtual Learning Institu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Vol. 4, No. 3, pp. 227-244. 

  24. Carr, N. (2012). "The Crisis in Higher Education", MIT Technology Review, November/December, pp. 32-40. https://www.technologyreview.com/s/429376/the-crisis-in-higher-education/ 

  25. Cuban, L. (1986), Teachers and Machines: The Classroom Use of Technology since 1920, Teachers College Press. 

  26. Ertmer, P. A. (2005), "Teacher Pedagogical Beliefs: The Final Frontier in Our Quest for Technology Integratio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 53, No. 4, pp. 25-39. 

  27. Ertmer, P. A. and Ottenbreit-Leftwich, A. T. (2010), "Teacher Technology Change: How Knowledge, Confidence, Beliefs, and Culture Intersec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in Education, Vol. 42, No. 3, pp. 255-284. 

  28. Ertmer P. A., Ottenbreit-Leftwich, A. T., Sadik, O., Sendurur, E., Sendurur, P. (2012), "Teacher Beliefs and Technology Integration Practices: A Critical Relationship", Computers & Education, Vol 59, pp. 423-435. 

  29. Ferster, B. (2014), Teaching Machines: Learning from the Intersection of Educatio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0. Foucault, M. (1979), Discipline and Punish: The Birth of the Prison, Vintage books 

  31. Goldin, C and Katz, L. F. (2007), The Race between Education and Technology, Belknap Press. 

  32. Harden, N. (2012). "The End of the University as We Know It", The American Interest Vol. 8, No. 3. https://www.the-american-interest.com/2012/12/11/the-end-of-the-university-as-we-know-it/ 

  33. Hughes, T. (1983),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1880-1930,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4. Khan, S. (2012). The One World School House: Education Reimagined, Twelve 

  35. Losh, E. (2014), The War on Learning: Gaining Ground in the Digital University, Cambridge, MA: The MIT Press. 

  36. Marx, L. (1964), The Machine in the Garden: Technology and the Pastoral Ideal in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37. Noble, D. F. (2003), Digital Diploma Mills: The Automation of Higher Education, Monthly Review Press. 

  38. Pappano, L. (2012. 11. 2). The year of the MOOC. The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com/2012/11/04/education/edlife/massive-open-online-courses-are-multiplying-at-a-rapid-pace.html 

  39. Ramiel, H. (2017). "User or Student: Constructing the Subject in Edtech Incubator", Discourse: Studi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 Vol. 40, No. 4, pp. 487-499. 

  40. Selwyn, N. (2006) "Exploring the 'Digital Disconnect' between Net-Savvy Students and Their Schools",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Vol. 31, No. 1, pp. 5-17. 

  41. Selwyn, N. (2007) "The Use of Computer Technology in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a Critical Perspectiv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Vol. 23, No. 2, pp. 83-94. 

  42. Sims, C. (2017), Disruptive Fixation: School Reform and ten Pitfalls of Techno-Ideal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