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폐기능에 미치는 운동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for the Effects of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6 no.2, 2019년, pp.141 - 154  

김은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간호학) ,  이은남 (동아대학교 간호학부) ,  유은정 (동아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ercise on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ankylosing spondylitis (AS). Methods: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were identified by searching MEDLINE, EMBASE, CENTRAL, and CINAHL (through Jan 2019). Three reviewers independently retrieved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 적용한 운동 중재의 효과를 검증한 무작위 비교연구(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결과들을 통합하고 분석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로, PRISMA(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그룹이 제시한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 시행된 운동중재의 효과에 대해 평가하고자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였다. 국외의 주요 전자 데이터베이스(MEDLINE, EMBASE, CENTRAL, CINAHL)를 통하여 총 353편이 검색되었으며, 중복된 23개 문헌은 제거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 운동 중재를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연구를 대상으로 폐기능검사와 흉부 확장에 미치는 중재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2차적으로는 운동중재가 척추 기능정도와 운동성 및 삶의 질 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게 운동중재를 적용한 무작위 대조군 연구를 대상으로 흉부제한으로 인한 제한적 폐기능을 잘 보여줄 수 있는 폐기능검사(Pulmonary Function Test, PFT)와 흉부 확장(Chest Expansion, CE) 결과를 주요 변수로 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요 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척추 기능 정도와 운동성 그리고 강직성 척추염 환자에 대한 운동중재의 궁극적인 목표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직성 척추염이란? 강직성 척추염은 대개 30세 정도에 발현하며, 남성에서 여성보다 약 3.4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류마티스성 척추 관절염이다(Braun & Sieper, 2007). 강직성 척추염의 유병률은 대상자 선별기준이나 진단기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 0.
강직성 척추염의 유병률은 어떠한가? 4배 정도 더 많이 발생하는 류마티스성 척추 관절염이다(Braun & Sieper, 2007). 강직성 척추염의 유병률은 대상자 선별기준이나 진단기준 등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전 세계적으로 0.1%~1.4%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Dean et al., 2014).
강직성 척추염의 특징은 무엇인가? 주로 척추의 염증과 구조적 손상에 의한 척추 부위의 강직과 운동성 감소가 특징적이며(Wanders et al., 2005), 구조적 손상뿐만 아니라 기능 손상으로 인해 결국에는 삶의 질까지도 떨어뜨린다(Braun & Sieper, 2007). 척추 부위의 강직과 운동성 감소는 흉부관절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흉벽의 움직임 제한이 발생하면서 폐의 실질적인 기능에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 하지만 폐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정도나 관련변수들과의 관계는 연구마다 차이가 있다(Berdal, Halvorsen, van der Heijde, Mowe, & Dagfinrud, 2012; Dinc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