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Reason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0, 2020년, pp.181 - 186  

한숙원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  전열어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임상적 추론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GPower 3.1.9.4를 이용하여 간호대학생 3, 4학년 297명을 대상으로 간호핵심역량과 관련된 학습능력을 파악하고자 임상적 추론,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의사결정, 자기주도학습,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고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정하는 서술연구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학년별로 임상적 추론역량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또한 임상적 추론역량에 대한 영향변수를 확인한 결과 문제해결능력,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실습경험(학년)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p,.001).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개발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향후 임상적 추론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clinical reasoning of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This study was held to grasp the learning ability related to core nursing competency for 297 3rd and 4rd grade nursing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29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간호핵심역량과 관련된 학습능력을 파악하고자 임상적 추론, 문제해결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적 의사결정, 자기주도학습, 임상수행능력을 측정하고 임상적 추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정하는 서술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들을 대상으로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역량인 임상적 추론과 관련된 학습능력 관련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연구결과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임상적 추론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개발의 근거로 활용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임상추론역량은 증진하기 위한 문제해결능력, 임상수행능력, 임상적 의사결정 능력 등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의 임상적 추론 역량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추후 임상적 추론 역량 개발을 위한 교수법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M. Hong. (2018). Factors related to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http://www.riss.kr/link?idT14859068 

  2. R. Alfaro-Lefevre. (2012). Nursing process and clinical reasoning.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Perspect. 33(1), 7. 

  3. B. Simmons. (2010). Clinical reasoning: concept analysis. J Adv Nurs.. 66(5), 1151-1158. DOI : 10.1111/j.1365-2648.2010.05262. 

  4. R. A. Kuiper & D. J. Pesut. (2004). Promot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flective reasoning skills in nursing practice: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J Adv Nurs, 45(4), 381-391. DOI : 10.1046/j.1365-2648.2003.02921.x. 

  5. Korea Institute of Nursing Education Evaluation. http://www.kabone.or.kr/HyAdmin/upload/goodFile/1 20121127132143.pdf 

  6. E. Y. Park. (2014). Clinical Reasoning Ability of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4(4), 265-273. DOI : 10.5388/aon.2014.14.4.265 

  7. M. K. Baek. (2005). Relationship between level of autonomy and clincal decision-making in nursing scale of E.T nurse. Master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http://www.riss.kr/link?idT9730202 

  8. S. J. Lee & Y. K. Jang. (2003). (A)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http://www.riss.kr/link?idM9438989 

  9. S. H. Lee. (2018). The Relationships between Campus Life Adapta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Department of Nursing. Master dissertation. Kunsan National University, Kunsan 

  10. K. H. Lee. (2019). Convergence between Ego- Resilience, Major Satisfac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297-306. DOI : 10.15207/JKCS.2019.10.3.297 

  11. Y. J. Kim, H. B. Song & Y. H. Na. (2020). Comparisons of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Competency, and Satisfaction by Learner-led vs. Faculty-l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8), 391-400. DOI : 10.15207/JKCS.2020.11.8.391 

  12. M. J. Shin & Y. E. Chun. (2018). Convergence among Resilien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tress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19-32. DOI : 10.15207/JKCS.2018.9.2.019 

  13. S. R. Liou et al. (2016). Cheng,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a theory-based instrument to evaluate nurses' perception of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2(3), 707-717. DOI: 10.1111/jan.12831 

  14. J. W. Jung & J. W. Han. (2017).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Nurse Clinical Reasoning Competence Scal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4), 304-310. DOI : 10.5762/KAIS.2017.18.4.304 

  15. J. Yoon. (2004).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ement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in Nursing.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Seoul. http://www.riss.kr/link?idT11531717 

  16. H. M. Jenkins. (1985). A research tool for measuring perceptions of clinic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1(4), 221-229. 

  17. M. S. Choi. (2005).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effectiveness of clinical nursing educ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Mas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ttp://www.riss.kr/link?idT9862768 

  18. Kuiper, R. A., Heinrich, C., Matthias, A., Graham, M. J. & Bell-Kotwall, L. (2008). Debriefing with the OPT model of clinical reasoning during high 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5(1), 1-14. 

  19. Y. H. Kim & Y. M. Lee. (2012). Relationship oflearning motivations,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problem solving process ofnursing students after practice evaluation of fundamentals ofnursing course using role pla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1), 147-155. DOI: 10.5762/KAIS.2012.13.1.147 

  20. S. K. Kim. (2014). Effects of a Simulation - based Education focused on Stroke Patients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in Nursing Student. Master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21. H. S. Kang, Y. Y. Kim & H. S. Lee. (2018). Predictive Factors Influencing Clinic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3), 389-398. DOI : 10.5762/KAIS.2018.19.3.38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