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순사상의 생명관과 인생관
Views on Life and Humanity in Daesoon Thought 원문보기

大巡思想論叢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33, 2019년, pp.319 - 349  

최치봉 (아시아종교연구원)

초록

본 논문에서는 세계만물과 생명 그리고 인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언급함과 동시에 리·기·신에 대한 개념을 통해 대순사상에서의 생명관과 인생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에 연구된 대순사상의 생명관, 죽음관, 인생관을 대순사상의 원전과 검토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는 한편, 성리학의 본체론 및 발생론과 비교하여 대순사상에서의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전개에 있어 II장에서는 만물과 생명의 본원으로서 대순, 태극의 주재로서 상제, 만물의 구성을 논하였고, III장에서는 생명의 발생과 신과의 관계, 생명을 구성하는 생리와 생기, 생명의 목적을 언급하였으며, IV장에서는 생명의 한 범주인 인간과 이러한 인간이 삼계에서 가지는 존재론적 위상과 인생의 목적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생명에 관한 논의에 앞서, 태극과 상제를 대순의 개념으로 아울러 상정하고 이를 생명의 근원인 본체가 됨을 언급하였다. 개개 생물은 리·기·신을 통해 그 구조를 설명하였다. 또한 생리와 생기를 통해 그 생명의 속성과, 상제지심인 인을 구현하는 것으로 생명의 목적을 말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 기존의 생명에 대한 담론과 가장 차이나는 부분은 기존에 신을 생명 그 자체로 여겨 생명유무의 범주로 귀속시킨 것에 반하여, 기능과 작용적 측면의 본체로서 신을 상정하여, 존재를 그 존재로서 지속시키는 작용의 본체로 보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는 대순사상이 비록 성리학의 본체론과 발생론에 있어 유사성이 있지만, 신의 개념에 있어서 태극을 주재하는 인격적 상제를 상정하고 개개사물에 있어 리를 구현하는 신명들의 존재를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사상적 독창성을 언급한 것이다. 인간도 생물과 마찬가지로 생리와 생기를 갖추어 태어나며, 인간안의 내재신은 기를 주관하는 주체로서 작용한다. 인간은 세계를 구성하는 삼계의 한축을 담당하며 세계에 있어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존귀성이 잘 드러나는 것은 하늘과 땅에 이어서 인간에 신이 봉해진다는 '신봉어인(神封於人)'의 개념이다. 이는 진멸지경의 인간을 천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 고쳐 쓰기 위함으로, 궁극적으로 신인조화를 통해 신봉어인의 시대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인간에 있어 이러한 가능성은 마음에 신대를 가지고 있음으로 가능한 것이다. 수도에 있어 인간과 외재신과의 소통과 조화(調化)는 인간의 체질과 성격의 변화를 유도함이라고 볼 수 있지만 종국에는 그 인간의 기국에 알맞은 신명을 봉하기 위함이다. 상제의 명과 선령신의 공 그리고 천지의 기를 통해 인간은 태어났다. 인존시대와 천운구인시대를 맞이한 현 시대의 인간은 천지에 쓰임에 기여하기 위함을 인생의 목적으로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에게 가장 요구되는 것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성리를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다. 자신의 성리를 실현함은 사회적으로 볼 때 남에게 덕을 베푸는 것으로 이는 상제의 천명인 생생지리를 구현함이다. 나와 타물, 나와 타인 그리고 인간과 신명사이의 상생은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으로 완성되며, 이렇게 자신의 본성을 지극히 하여 온전히 드러낼 때 심령에 통하게 되고, 인존의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origin and yield of life and its characteristics and purpose in Daesoon Thought. Thereby, Taegeuk (the Great Ultimate) and Sangje (the Supreme God) have been deemed the source and ontology of life. The structure of each living creature is explained through reason (理)...

주제어

참고문헌 (29)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대순회보』 

  5. 『무극대도교개황』 

  6. 『한한대자전』, 서울: 민중서림, 2002. 

  7. 『주역』 

  8. 『주자대전』 

  9. 『주자어류』 

  10. 『주자어류고문해의』 

  11. 『중용장구』 

  12. 『태극도통감』, 부산: 태극도, 1956. 

  13. 김영주, 「생명윤리와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45, 2014. http://uci.or.kr/G704-000911.2014.45..002 

  14. 10.22245/jkanr.2010.23.23.35 고남식, 「대순진리회의 생사관 연구」, 『신종교연구』 23, 2010. 10.22245/jkanr.2010.23.23.35 

  15. 몽배원, 『성리학의 개념들』, 홍원식 외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8. 

  16. 박경혜, 「대순사상의 생명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7. 윤용남, 「유가의 생명관과 인생관」, 『윤리교육연구』 31, 2013. http://uci.or.kr/G704-001561.2013..31.015 

  18. 윤재근,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 『종교교육학연구』 33, 2010. http://uci.or.kr/G704-000911.2010.33..002 

  19. 10.34225/jidc.2011.3.132 이경원, 『한국 신종교와 대순사상』, 서울: 문사철, 2011. 10.34225/jidc.2011.3.132 

  20.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문사철, 2013. 

  21. 이동희,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서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8. 

  22. 장병길, 『증산종교사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6. 

  23. 장병길, 『대순진리강화Ⅰ』,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78. 

  2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25. 10.21457/kars.76.3.201609.27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죽음관 연구서설」, 『종교연구』 76, 2016. 10.21457/kars.76.3.201609.27 

  26. 최명수, 「대순사상에 나타난 죽음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27. 10.14774/JKIID.2014.23.1.034 최치봉,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10.25050/jdaos.2014.23.0.385 

  28. 최치봉,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8, 2017. 10.25050/jdaos.2017.28.0.267 

  29. 최치봉,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31, 2018. 10.25050/jdaos.2018.31.0.2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