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prevent and treat the osteoporotic fractu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in old age patients. Osteoclast which has ability to bone resorption is originated from hematopoietic cell line and plays a key role osteoporotic bone loss. Rubi Fructus has been widely used in Oriental medicine. Extrac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에서나 해외에서 복분자를 이용한 파골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으며 기존에 보고된 조골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작용보다 파골세포 분화 억제 기능이 골다공증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RANKL에 의해 발현되는 c-Fos는 NFATc1의 발현을 유도한다. 따라서 본 저자는 c-Fos와 NFATc1 단백질 발현에 복분자 추출물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western blotting을 시행하였다. RANKL을 처리한 후 12시간과 24시간에서 c-Fos의 단백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NFATc1의 발현은 48시간에 증가되었다.
  • . 본 저자는 RANKL에 의해 유도되는 여러 가지 유전자 발현에 복분자 추출물이 미치는 효과를 실험하였다. RANKL로 파골세포 분화를 자극한 파골세포에서 c-Fos, NFATc1등의 주요 전사 인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또한 TRAP, OSCAR, Catheps K의 발현도 증가하였으나, RANKL과 복분자 추출물을 동시에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주요 유전자 등의 발현이 억제 되었다(Fig.
  • 파골세포는 골 흡수 작용을 하는 세포로서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는 골 흡수 억제를 나타낸다. 본 저자는 복분자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을 시행하였다. 복분자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식세포에 M-CSF와 RANKL을 첨가하고 복분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4일간 배양하였다.
  • 천연물인 복분자 추출물은 세포의 독성 없이 파골세포의 분화를 억제시켰다. 이는 파골세포 분화의 주요 경로를 억제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부작용 없는 골다공증 치료제가 필요한 상황에서 복분자가 좋은 후보 물질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복분자는 국내에서 흔하게 접하는 후보 물질로서 유용성을 더욱 입증하여 산업화 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저자는 복분자 추출물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 억제 작용기전을 규명하기 위해 RANKL에 의해 전달되는 주요 신호전달체계에 복분자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대식세포를 복분자 추출물로 전 처리 하고 RANKL을 시간별로 처리한 다음 MAPKs의 인산화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약제는? 최근 칼슘이 포함된 영양제를 복용하는 폐경 후 환자가 많으나 칼슘의 복용만으로는 저하된 골밀도의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렵다4). 그러므로 골다공증이 생겨 골절의 위험이 높은 환자들에게 골밀도를 올릴 수 있는 전문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하며 이 중 가장 많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약제가 Bisphosphonate 계열의 약물이다.
골다공증의 치료 물질로 복분자가 가능성이 있는 이유는? 골 관련 연구에서 복분자 성분이 조골세포의 기능을 증가시키고 파골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한다는 보고가 있어 복분자가 골다공증에 유익한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11). 세포 사멸 유도 작용과는 별개로 파골세포 분화 억제 작용은 골다공증 연구에 매우 중요한데, 이러한 여러 가지 효과를 가지고 있는 복분자의 추출물을 골다공증의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관련 기전을 알기 위해 저자 등은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복분자의 영향을 실험하였다.
골다공증성 골절의 특징은? 골다공증에 의한 골절은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 되면서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 골다공증성 골절은 통증뿐만이 아니라 운동의 제한을 가져와 삶의 질을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예방이 중요하며 폐경이후 여성에서 골다공증이 있을 경우 골절을 경험하는 확률이 높다1). 특히 고관절의 골절은 골절이후 사망률이 증가하므로 고령의 환자에서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elton, L.J.3rd, Atkinson, E.J., O'Connor, M.K., et al. Bone density and fracture risk in men. J Bone Miner Res 13: 1915, 1998. 

  2. Kanis, J.A., Oden, A., Johnell, O., De Laet, C., Jonsson, B., Oglesby, A.K. The components of excess mortality after hip fracture. Bone 32: 468, 2003. 

  3. Silverman, S.L., Lane, N.E. Glucocorticoid-induced osteoporosis. Curr Osteoporos Rep. 7(1):23-26, 2009. 

  4. Lata, P.F., Elliott, M.E. Patient assessment in th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Nutr Clin Pract 22(3):261-275, 2007. 

  5. Nishikawa, M., Akatsu, T., Katayama, Y., Yasutomo, Y., Kado, S., Kugal, N., Yamamoto, M., Nagata, N. Bisphosphonates act on osteoblastic cells and inhibit osteoclast formation in mouse marrow cultures. Bone 18: 9-14, 1996. 

  6. Abrahamsen, B. Bisphosphonate adverse effects, lessons from large databases. Curr Opin Rheumatol 22(4):404-409, 2010. 

  7. 정연태, 최윤홍, 송정훈, 이창훈, 오재민. 두충의 물 추출물이 파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3(3):613-618, 2009. 

  8. Kwak, H.B., Kim, J.H., Kim, D.J., Kwon, Y.M., Oh, J., Kim, Y.K. Effect of water extract of deer antler in osteoclast differentiation.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2: 891-895, 2008. 

  9. Ju, H.K., Cho, E.J., Jang, M.H., Lee, Y.Y., Hong, S.S., Park, J.H., Kwon, S.W. Characterization of increased phenolic compounds from fermented Bokbunja (Rubus coreanus Miq.) and related antioxidant activity.J Pharm Biomed Anal. 49(3):820-827, 2009. 

  10. Shin, T.Y., Kim, S.H., Lee, E.S., Eom, D.O., Kim, H.M. Action of Rubus coreanus extract on systemic and local anaphylaxis. Phytother Res. 16(6):508-513, 2002. 

  11. Do, S.H., Lee, J.W., Jeong, W.I., Chung, J.Y., Park, S.J., Hong, I.H., Jeon, S.K., Lee, I.S., Jeong, K.S. Bone-protecting effect of Rubus coreanus by dual regulation of osteoblasts and osteoclasts. Menopause. 15(1):676-683, 2008. 

  12. Galibert, L., Tometsko, M.E., Anderson, D.M., Cosman, D., Dougall, W.C. The involvement of multiple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TNFR)-associated factors in the signaling echanisms of receptor activator of NF- $\kappa{B}$ , a member of the TNFR superfamily. J. Biol. Chem. 273: 34120-34127, 1998. 

  13. Korczowska, I., Olewicz-Gawlik, A. Does low-dose and short-term glucocorticoids treatment increase the risk of osteoporosis in rheumatoid arthritis female patients Clin Rheumatol. 27(5):565-572, 2008. 

  14. Abrahamsen, B. Adverse effects of bisphosphonates. Calcif Tissue Int. 86(6):421-435, 2010. 

  15. Wang, B., Shin, X., Li, Y., Jia, Z. Pentacyclic triterpenoid glycosyl esters from Rubus pileatus. Phytochemistry 46: 559-563, 1997. 

  16. Park, J.H., Oh, S.M., Lim, S.S., et al. Induction of heme oxygenase-1 mediates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Rubus coreanus in murine macrophag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51: 146-152, 2006. 

  17. Saylor, P.J. Targeted therapies: Denosumab-a new option for solid tumors metastatic to bone. Nat Rev Clin Oncol. 8(6):322-334, 2011. 

  18. Shimizu, H., Nakagami, H., Tsukamoto, I., Morita, S., Kunugiza, Y., Tomita, T., Yoshikawa, H., Kaneda, Y., Ogihara, T., Morishita, R. NFkappaB decoy oligodeoxynucleotides ameliorates osteoporosis through inhibition of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Gene Ther. 13(12):933-941, 2006. 

  19. 이명수, 김정중, 오재민, 최민규, 송미진, 안용환, 이정휴, 전병훈, 박기인, 장성조. 파골세포 분화에 목향 물 추출물의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5(3):516-520, 2011. 

  20. Erratum in. Potential new drug targets for osteoporosis. Nat Clin Pract Rheumatol. 5(3):174,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