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혼합연구: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Mix Research Regarding Influence Factors of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Based on Meta-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원문보기

韓國保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19 no.3, 2019년, pp.31 - 46  

김안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전공) ,  이은희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그들의 경험을 심도 있게 파악함으로써 현장에서 보육교사가 겪는 소진에 대해 더욱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활용한 혼합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보육교사의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조직특성의 보호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개입과 예방은 어린이집 조직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등 환경적 접근이 더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심층인터뷰를 통해 13개의 주제와 28개의 세부주제가 발견되었는데 메타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하게 나온 대부분의 요인이 심층인터뷰를 통해 재확인되었다. 그 중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온 하위 요인은 심리적 요인의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보육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보육환경의 일원화, 보육교사 양성교육과정 및 자격기준 강화, 평가인증제도의 재검토 등을 제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research draws synthesized and objected results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burnout of child care teachers. The purpose for this is to understand in-depth of the burnout child care teachers experience at site through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 in depth. Methods: A mix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분석결과를 해석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근거로써 참여자들의 실제 인터뷰 내용을 발췌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Lincoln과 Guba(1985)가 제시한 질적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유지하기 위해 참여자가 편안한 분위기에서 인터뷰를 할 수 있도록 인터뷰 전에 신뢰관계(rapport)를 형성하는 등 교사와 공감대 형성을 위하여 노력하였으며, 조사내용 중 추가적으로 궁금한 부분이나 연구자가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교사의 의견을 다시 확인하여 진술의 사실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은 유아교육 전문가 2인 및 교수 1인과 지속적으로 의견교환 및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대해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그들의 소진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질적 성장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통한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보육교사 소진의 다각적이고 더욱 풍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이처럼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보육교사의 소진경험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와 더불어 질적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통하여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에 대해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적연구는 그동안 진행된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는 상술하였듯이 최근까지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그동안 이루어진 양적연구를 통해 많은 결과물이 축적되어있다.
  • 본 연구는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대해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그들의 소진경험을 심층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육서비스의 질적 성장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분석과 심층인터뷰를 통한 혼합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보육교사 소진의 다각적이고 더욱 풍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또한 긍정심리학이 대두되면서 인간의 전인적 안녕(well-being)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소진을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김경희, 2017; 신현정, 박진성, 2019; 조상호, 강대옥, 김성철, 20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의 포괄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개인적 요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의 직무특성 요인과 조직특성 요인으로 구분하고, 각 요인군에 따라 소진을 유발하는 위험요인과 소진을 완화시키는 보호요인으로 재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이러한 소진의 영향요인에 대한 구분을 위해 Maslach, Schaufeli 그리고 Leiter(2001)의 연구에 근거한 조환이와 윤선아(2014), 윤아랑과 정남운(2011)의 분류기준을 참고하였다.
  • 현재까지 이루어진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그동안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가 상당히 축적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메타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개별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메타분석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하였으며, 보육교사의 소진에 어떤 요인이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 이처럼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보육교사의 소진경험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와 더불어 질적연구를 함께 수행하는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s Research)을 통하여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소진에 대해 다각적이고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양적연구는 그동안 진행된 보육교사 소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를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 메타분석은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요약할 수 있다. 즉, 객관적인 양적연구를 통해 원인을 파악하고 영향관계를 설명하고 입증하며, 질적연구인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보육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을 들어보고 그들의 시각에서 이해하고 분석하여 양적연구의 신뢰성을 보완하고 더욱 심도 있게 보육환경에 대한 경험을 해석하는 것으로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란 무엇인가? 그러나 현재 실무현장의 보육교사는 과다한 업무량과 적은 보수, 전문성에 대한 낮은 인지도, 신분과 고용의 불안전성 등 열악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으로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이선임, 2017). 이와 같은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심한 좌절감, 무력감, 상실감 등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을 소진(burnout syndrom)이라고 한다(Freudenberger & Richelson, 1980). Maslach와 Jackson(1981)은 소진을 긍정적인 정서와 흥미가 손실되고 자신의 일에 만족하지 못하며, 신체적·정신적으로 기진맥진하게 지친 증상으로 정의하였다.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원인은?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적자원인 보육교사는 영유아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역할을 하면서(Saracho & Bernard, 1993), 가정보다 어린이집에서 훨씬 많은 시간을 보내는 아이들에게 무조건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실무현장의 보육교사는 과다한 업무량과 적은 보수, 전문성에 대한 낮은 인지도, 신분과 고용의 불안전성 등 열악한 근무환경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신체적·심리적으로 과중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이선임, 2017). 이와 같은 스트레스가 누적되면 심한 좌절감, 무력감, 상실감 등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들을 소진(burnout syndrom)이라고 한다(Freudenberger & Richelson, 1980).
보육교사가 초중등교사 보다 소진이 높은 이유는? 보육교사는 영유아들과 긴밀한 상호관계성을 바탕으로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Noddings, 1996). 관계성을 바탕으로 하는 돌봄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의 사랑, 열정, 친숙함과 같은 정서를 수반하므로 교사의 상당한 신체적·정서적 에너지가 요구된다(김연옥,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