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프로그램(Safety Program) 및 안전문화(Safety Culture)에 대한 조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afety Program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7 no.3, 2019년, pp.82 - 89  

길호성 (한국항공대학교 운항관리학) ,  이학봉 (한국항공대학교 운항관리학) ,  송병흠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운항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many ways to identify airline's perception of the safety program and safety culture. In particular, various studies are under way to measure airline safety culture and safety awareness of airline employees. Often, survey methods are used a lot, but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com...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Z항공사의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안전프로그램 및 문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연구하기 위한 설문을 진행했으며, 이를 토대로 첫째, 인구통계학적 분석, 둘째,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 간 각 평균차이 분석, 셋째, 비행경력과 비행시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문화란? 안전문화는 직원들이 직장이나 지역사회와 같은 조직 내의 위험과 관련하여 공유하는 믿음, 인식이나 가치를 모은 것이다. 또한, 각 분야에 서 사업자나 개인이 작업환경에서 ‘안전’이라는 목표에 도달하는 방식의 하나로 ‘안전에 관하여 근로자들이 공유하는 태도나 신념, 인식, 가치 관’을 통칭하는 개념이다(Wiegmann, D.
항공사고와 사고율을 줄이기 위해 ICAO는 어떠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는가? 항공산업은 과거의 기계적 결함을 거쳐 현대의 조직적 결함(종합적 결함)을 식별하고, 예방하여 항공사고와 사고율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이하, ICAO)는 항행 안전과 사고예방을 위한 국제적 안전 표준 및 기준을 마련하여 193개의 체약국이 따를 것을 권고하고 있으며(ICAO Doc 10004,2016), 전반적 안전관리 및 항공안전 향상을 위해 항공안전관리시스템(이하, SMS)의 실시를 의무화하였다. 국내에서는 2008년 대한항공이 처음으로 시작하였으며, 국적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 모두 SMS를 승인받아 운영하고 있다(ICAOAnnex 19, 2013).
합동자원관리(JCRM)훈련에선 어떤 교육을 하는가? 업무를 수행하는 각 종사자(조종사, 정비사, 운항관리사, 객실승무원, 일반 직원 등)의 업무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안전에 대한 인식도(Safety Perception)를 파악하고,그렇게 형성된 문화가 항공안전관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조사는 다소 미흡하다. 특히,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은 비행계획 단계에서부터 업무를 수행할 때가 많으며,위기상황 시 합동자원관리(JCRM)훈련 등을 실시하고 있는데, 이는 운항, 객실승무원 및 운항관리사, 정비사를 대상으로 상호규정 이해와 비상탈출 절차, 스트레스관리, 안전위협 요소 및 실수 관리 등을 전반적으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항공기 운항 중 대부분 최종 의사결정이 운항승무원에게 있고, 그 의사결정에 일정부분 도움을 주는 것은 객실승무원임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Doc 10004(GASP-Global Aviation Safety Plan 2017-2019), 2016, p.1. 

  2.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nex 19, First Edition-Safety Management Manual, 2013, Ch 4. 

  3. Parankar, M. S., and Sabin, E. J., "The safety culture perspective In: E. Salas and D. Maurino(eds), Human Factor in Aviation", 2nd Edition, 2010, p.97. 

  4. Gibbons, A. M., Thaden, T. L. V. and Wiegmann, D.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urvey to assess safety culture in airlines maintenance operation", International Symposium on Aviation Psychology, 2005, p.198. 

  5. Wang, S. L., "Safety Science, perception of safety culture: Surveying the aviation divisions of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aiwan, Republic of China, Elsevier, 108, 2018, p.104. 

  6.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Annex 19, First Edition-Safety Management Manual, 2013. 

  7. Gibbons, A. M., Thaden, T. L. V. and Wiegmann, D.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urvey to assess safety culture in airlines maintenance oper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viation Psychology, 16, 2006, p. 216. 

  8. Liao, M. Y., "Safety culture in commercial aviation: Differences in perspective between Chinese and Western pilots", Safety Science, 79, 2015, p.194. 

  9. Grebensek, M. V., and Kosel, T., "Safety culture assessment-optimization of existing practice", IJTTE, 5, 2015, p.363. 

  10. Kim, J. C., Park, J. S., and Han, I. H., "Aviation Field Safety Culture and Safety Leadership", 2017, pp.9-10. 

  11. Kim, C. Y., "A study on positive safety reporting culture in aviation maintenanc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Letters, 120, 2012, p.4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