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 항공안전관리체계 발전방안 - 항공안전 관련 자원의 조직·관리 중점 -
Development Measures for Korea's National Aviation Safety Management - Focused on Organizing and Handling Resources for Aviation Safety - 원문보기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v.26 no.2, 2018년, pp.132 - 138  

이장룡 (공군 항공안전단) ,  김대호 (공군 항공안전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viation safety requires systematic national attention and management because aircraft accident produce greater undesired social impact, economical damage, and declining national credibility compare to other transportation accident. Specially, Republic of Korea has highly increased risk of air acc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고에서는 대표적인 항공분야 안전관리학자인 Wood(1991)의 안전관리 프로그램 수립 4단계 절차, Geller(1996), Evans(1991)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Focus 인터뷰를 통하여 국가 차원의 항공안전관리체계, 즉, 안전관리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해 꾸준한 대책 강구가 이뤄지는 이유는? 우리나라 항공산업은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세계 10위권 항공운송 국가로 성장하였지만 항공기 사고는 끊이지 않고 있다[1]. 항공기 사고는 발생확률이 낮기는 하나 발생 시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사회적 파장과 영향력이 지대하고, 국가 대외 신인도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항공기 사고 예방을 위해 꾸준한 대책 강구가 요구되고 있다. 1995년 ICAO는 항공안전평가 (USOAP :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me)제도를 도입하였고, 우리나라는 2008년 항공안전평가에서 세계 1위를 달성하였다[2].
Geller(2001)는 안전관리 대상이 되는 자원을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Geller(2001)는 안전관리 대상이 되는 자원을 인적요소, 행위요소, 환경요소 등 3가지로 구분 하였는데, 구체적으로 인적요소에는 사람의 태도, 신념, 성격 등이 포함되고, 행위요소로는 인지, 소통, 실행능력/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환경요소에는 장비, 도구, 시설, 절차, 표준교정 등이 포함된다[6]. 이러한 요소들을 항공분야에 적용해 보았을 때,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안전관리 프로그램 수립 4단계 절차란? 첫 번째 단계는 책임자를 정하는 단계이다 (Decide who is in charge). 그 다음단계는 목표와 대상에 관해 동의를 구하는 단계(Agree on program goals and objectives), 자원을 체계적으로 조직·관리하는 단계(Get organized), 마지막으로 실행방법을 수립하는 단계이다(Begin developing the program). 안전관리 프로그램 수립 4단계 절차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우리나라 항공안전관리 프로그램과 비교해 보면, 항공 안전관리에 관한 국가 차원의 책임자는 누구인가? 각종 법규, 규정이 항공운항 관련자의 동의를 구한 것 인가? 항공안전관리를 위한 각종 자원(리소스)이 체계적으로 조직·관리되고 있는가? 보편타당한 실행방법은 존재하는 것인가? 라는 질문을 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iil Lee. (2017). A Study of Plans to Improve the Aviation Regulations about Pilot Flight(Duty) Time Limitations(Based on FR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5(1), pp23-34. 

  2. Dongwook Choi, Soonji Choi, Young J Choi. (2016). A Structural Design of Aviation Safety Inspection Checklist for Safety Information Analysis and Safety Risk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4(2), pp59-67. 

  3. NTSB. (2014). Accident Report(Descent Below Visual Glidepath and Impact With Seawall Asiana Airlines Flight 214 Boeing 777-200ER, HL7742, San Francisco, California July 6, 2013), NTSB/AAR-14/01, PB2014-105984. 

  4. Wood, R. (1991). Aviation safety programs. Englewood, Colorado: Jeppesen Sanderson, Inc. 

  5. MOLT. (2018). Aviation Safety Law. 

  6. Geller, E. S. (1996). The Psychology of Safety. Radnor, Pennsylvania: Chilton Book Company. 

  7. ICAO, Annex 19, Safety Management. 

  8. Bohun Kwon. (2017). SMS for Line Operation, Korean Academy of Aerospace Human Factors Spring Conference. 

  9. ROKAF. (2016). Safety Rule. 

  10. Guarnieri, M. (1992). Landmarks in history of safety, Journal of Safety Research, 23, pp151-158. 

  11. Heinrich, W. W. (1931).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New York, NY: McGraw-Hill. 

  12. Barry, P. Z. (1975). Individual versus community orientation in the prevention of injuries, Preventive Medicine, 4, pp47-56. 

  13. Evans, L. (1991). Traffic safety and the driver. New York: Van Norstrand. 

  14. Kroemer, K. H. (1991). Ergonomics. Encyclopedia of Human Biology, 3, pp474-480. 

  15. SangBum Kim, Soo Jin Park, SooBum Lee. (2012). A Study on the Airlines' Training Programs Order of Priority by Using AHP : Focusing on Airline Directorate Group,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21(1), pp209-220. 

  16. http://www.molt.go.kt/atmo 

  17. Bird, F. E., Jr., and Germain, G. L. (1997). The property damage accident; The neglected part of safety. Institute Publishing Inc., Laganville, GA. 

  18. Hyunjin Jeong, Seungkak Kim, Yong Kim, YeongMin Sim. (2017). Feasibility Study of Aviation Safety Data Analysis for Airworthiness Management System Improv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25(2), pp25-3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