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엉덩관절모음과 플랭크운동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ip Joint Adduction on Walking During the Plank Exercise 원문보기

한국교육논총 = Kore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40 no.3, 2019년, pp.67 - 84  

문달주 (대구과학대학교) ,  박재철 (전남과학대학교) ,  최석주 (대구과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플랭크운동과 탄력밴드에 의한 엉덩관절모음운동이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플랭크운동집단 10명, 양쪽 엉덩관절모음-플랭크운동군 10명, 한쪽 엉덩관절모음-플랭크운동군 10명을 30분씩, 주 3회, 총 6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분속수의 변화와 왼쪽다리의 한걸음길이, 오른쪽다리의 한걸음길이, 오른쪽 다리의 한걸음시간이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론은 양쪽 엉덩관절의 모음에 대한 저항 운동이 일반적 플랭크운동과 한쪽 엉덩관절 모음보다 몸통의 자세불안정성을 더욱 증가시켜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차후의 자세불안정성을 증대하는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보행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the stability of posture due to elastic band during plank movement affects walking. Thirty healthy men in their 20s were given a total of 30 minutes of 10 general plank exercises, 10 plank exercises with two hip joints adduction, and 10 plank exercises with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현대과학과 기술의 비약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보행에 대한 완전한 이해는 아직도 진행중에 있다(Abu-Faraj등, 2015).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플랭크운동과 동시에 탄력밴드를 이용한 한쪽 또는 양쪽 엉덩관절모음을 통한 등척성 운동을 하여 신체의 자세불안정성 유발이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행의 정의란? 보행은 인체의 팔다리의 움직임의 일상적 활동 동안 무의식적 복잡한 행동으로 정의되며, 최소한의 에너지를 통한 무게중심의 이동으로 신경계 내에 감각 정보를 통합한 근육수축과 관절 운동을 조절하는 운동 명령이다(Abu-Faraj등, 2015). 또한 보행은 신경, 근육과 연관되고 운동조절을 비롯한 자세조절을 통하여 신체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표현한다(Borghui등, 2008; Tsang등, 2018).
엉덩관절 근육들의 최적화된 기능은? 엉덩관절 근육들의 최적화된 기능은 직립자세의 유지와 보행이며, 일상생활동작 시 하지에서 척추로의 힘 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요추골반영역과 골반사이에 요추-골반 복합체의 동적안정성을 제공한다(Tsang등, 2018).
신체기능의 가장 중요한 지표인 균형과 관련된 몸통안정화운동들의 문제점은? 균형은 신체기능의 가장 중요한 지표로 몸통의 자세동요를 조절하여 넘어짐을 방지한다(Uzunkulaoğlu등, 2019). 균형과 관련된 몸통안정화운동들은 코어운동으로 최근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나 자세불량으로 인한 척추의 불안정성과 잘못된 식생활습관으로 인한 체중의 증가는 몸통을 지탱해주는 근력의 약화를 초래하고 보행 및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 시 넘어짐이 발생한다(kim등 2016; Nakai등, 2019). 또한, 신체하지와 관련된 몸통움직임의 부재나 결손은 코어근의 근력감소와 함께 동적 균형의 기능적 장해를 유발한다(Emami등, 2018; Nakagawa와 Petersen,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bu-Faraj Ziad O. & Harris Gerald F. & Smith Peter A. et al(2015). Human gait and clinical movement analysis. Wiley Encyclopedia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1-34. 

  2. Ambrus, M. & Sanchez, J. A. & Fernandez-Del-Olmo, M.(2019). Walking on a treadmill improves the stride length-cadence relationship in individuals with Parkinson's disease. Gait Posture. 68, 136-140. 

  3. Anders, Christoph. & Patenge, Steffen. & Sander, Klaus.(2019). Systematic differences of gluteal muscle activation during overground and walking in healthy older adults. J Electromyogr Kinesiol, 44, 56-63. 

  4. Ardestani, Marzieh. M. & Ferrigno, Christopher. & Moazen, Mehran.(2016). From normal to fast : Impact of cadence and on lower extremity joint moments. Gait Posture, 118-125. 

  5. Barr, Christopher. & McLoughlin, James. & Lord, Stephen. R.(2014). Walking for six minutes increases both simple reaction and reaction in moderately disabled people with MultipleSclerosis. Mult Scler Relat Disord, 3(4), 457-462. 

  6. Barr, Christopher. & Barnard, Rhiannon. & Edwards, Lauren.(2017). Impairments of balance, and gait in people with cervical dystonia. Gait Posture, 55, 55-61. 

  7. Behm, D. G. & Anderson, K. G.(2006). The role of instability with resistance training. JSCR, 20(3), 716-22. 

  8. Borghuis, J. & Hof, AL. & Lemmink, K. A.(2008). The importance of sensory-motor control in providing core stability. Sports med, 38(11), 893-916. 

  9. Garcia-Pinillos, F. & Latorre-Roman, PA. & Ramirez-Campillo, R.(2019). Agreement between spatiotemporal parameters from a photoelectric system with different filter settings and high-speed video analysis during running on a treadmill at comfortable velocity. J Biomech. 28. 

  10. Chakraborty Saikat & Nandy Anup & Kesar Trisha M(2020). Gait deficits and dynamic stabil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Biomech, 71, 11-23. 

  11. Gualdi, S. & Coluccini, M. & Carraro, E.(2011). Short term outcome effects of selective dorsal rhizotomy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Gait Posture, 33(1), 21-22. 

  12. Emami Farahnaz & Yoosefinejad Amin Kordi & Razeghi Mohsen(2018). Correlations between geometry, painintensity, functional disability and postural balance inpatients with nonspecific mechanic allow backpain. Med Eng Phys, 60, 39-46. 

  13. Kim, S. Y. & Kang, M. H. & Kim, E. R.(2016). Comparison of emg activity on abdominal muscles during plank exercise with unilateral and bilateral additional isometric hip adduction. J Electromyogr Kinesiol, 30, 9-14. 

  14. Kwon, Kyum. Yil. & Lee, Hye. Mi. & Kang, Sung. Hoon.(2017) Recuperation of slow in denovo Parkinson's disease i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cadence, rather than withexpanded. Gait Posture, 58, 1-6. 

  15. Kymaresan, A. & Anton, M. J.(2016). Effect of core muscle exercise in improving reaching activities in paticipants with hemiplegia. Int J Pharm Bio Sci, 7(3), 1096-104. 

  16. Liebenson, C.(2016). Plank to push-up. J Bodyw Mov Ther, 20(4), 937-938. 

  17. Nakagawa Theresa H. & Petersen Rafael S(2018). Relationship of hip and ankle range of motion, muscle endurance with knee valgus and dynamic in males. Phys Ther Sport, 34, 174-179. 

  18. Nakai Yuki & Kawada Masayuki & Miyazaki Takasuke et al(2019). Trunk muscle activity during trunk stabilizing exercise with isometric hip rotation using electromyography and ultrasound. J Electromyogr Kinesiol, 49. 

  19. Nascimento, Carla. Manuela. Crispim. & Pereira, Jessica. Rodrigues. & Andrade, Pires. de. Larissa.(2015). Physical exercise improves peripheral BDNF levels and cognitive function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 with different BDNF Val66Met genotypes. J Alzheimers Dis, 43(1), 81-91. 

  20. Noh, H. J. & Lee, S. H. & Bang, D. H.(2019). Three-dimensional balance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y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J Stroke Cerebrovasc Dis. 28(4). 

  21. Stimpson, Katy. H. & Heitkamp, Lauren. N. & Horne, Joscelyn. S.(2018). Effects of speedonthe -by- controlof. J Biomech, 68, 78-83. 

  22. Sung, Paul. S.(2018). Increased limb times during in right limb dominant healthy older adults with low bone density. Gait & Posture, 63, 145-149. 

  23. Tanimoto, K. & Takahashi, M. & Tokuda, K.(2017). Lower limb kinematics during the swing phase in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easured using an inertial sensor. Gait Posture, 57, 236-240. 

  24. Tsang, Sharon. M. H. & So, Billy. C. L. & Lau, Rufina. W. L.(2018). Effects of combining ergonomic interventions and motor control exercises on muscle activity and kinematics in people with workrelated neck-shoulder pain. Eur J Appl Physiol, 15. 

  25. Uzunkulaoglu, A. & Yildirim, ?B. & Gunes, Aytekin, M.(2019). Effect of flamingo exerises on balance in patients with balance impairment due to senile osteoarthritis. Arch Gerontol Geriatr, 81, 48-52. 

  26. Washabaugh Edward P. & Augenstein Thomas E. & Krishnan Chandramouli(2020). Functional resistance training during walking: Mode of application differentially affects gait biomechanics and muscle activation patterns. Gait Posture, 75, 129-136. 

  27. Yamaguchi, Takeshi. & Masani, Kei.(2019). Effects of age-related changes in length and on the required coefficient of friction during straight. Gait Posture, 69, 195-201. 

  28. Yoon Jeong-Oh & Kang Min-Hyeok & Kim Jun-Seok et al(2018). Effect of modified bridge exercise on trunk muscle activity in healthy adults: a cross sectional study. Braz J Phys Ther, 22(2), 161-16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