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 구조물에서 변형률 계측 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트윈 모델 구현
Digital Twin Model of a Beam Structure Using Strain Measurement Data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9 no.3, 2019년, pp.1 - 7  

한만석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신수봉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  문태욱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다운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종한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gital twin technology has been actively developed to monitor and assess the current state of actual structures. The digital twin changes the traditional observ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field to the real-time observation and detection system using virtual online model. Thus, this study designed...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변형률과 변위 관계를 이용한 디지털트윈의 시각화(Visualization)도 실시하여 실험 모형의 거동과 실시간으로 비교 검토할 수 있게 하였다. 보 구조물에 기반한 본 연구의 결과로 교량에 대한 디지털트윈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추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교량에 대한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한 초기연구를 수행하였다. 교량에 대한 디지털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모델업데이팅을 통해 해당 교량에 대한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다.
  • 본 논문은 Han(2019)의 학위논문 연구로써 토목건설 분야에서 주요한 구조물의 하나인 교량의 초기단계 디지털트윈 모델을 구축하였다. 모델 구현을 위한 변형률과 변위에 대한 관계를 해석적으로 유도하고, 그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지털트윈은 몇 단계 사이버 기술에 해당하는가? 디지털트윈은 CPS와의 연계선상에서 데이터와 정보를 연결하여 잠재적 문제를 예측하는 2 단계와 자가 평가 결과를 인포그래픽(Infographics)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지수준의 4단계 사이에 해당하는 기술, 즉 3 단계의 사이버 기술 수준에 해당한다 (Wikipedia, 2018).
디지털트윈을 구현하기 위해 실시되는 일은? 대상교량과 흡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디지털트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모델업데이팅(Model updating)을 통한 해석 모델 설정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일반적으로 대상교량에 대한 현장재하시험을 실시하여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 계측값을 기반으로 모델업데이팅을 실시하여 교량 해석 모델을 설정한다. 따라서, 현장에서 계측되는 데이터는 디지털트윈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대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트윈이란? 디지털트윈(Digital Twin)은 CPS(Cyber Physical System)와 함께 복잡하고 동적인 물리시스템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CPS는 사이버 물리시스템으로 사이버수준을 Figure 1에 보인 바와 같이 1 단계에서 5 단계로 표현할 수 있으며, 5 단계가 인간의 제어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UGMATE. Digital Twin City: Virtual Singapore, https://augmate.io (Apr. 14. 2019). 

  2. BCG. (2017). The Future of Construction. The Boston Consulting Group, pp. 1-50. 

  3. Davos, K.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Switzerland, https://www.weforum.org (Mar. 4. 2018). 

  4. GE Digital. Minds + Machines: Meet A Digital Twin, https://www.youtube.com (Mar. 4. 2018). 

  5. Han, M. (2019). Construction of Digital Twin for Bridges and Development of Damage Localization Process using CNN Deep Learning, Masters Thesis, Inha University, pp. 12-49. 

  6. IBM Watson Internet of Things. Introduction to Digital Twin: Simple, but detailed, https://www.youtube.com (Mar. 6. 2018). 

  7. Kay, S., Michael, T., Kosmas, D. (2017). IFC-based modeling of cyber-physical systems in civil engineering. The 24rd International Workshop on Intelligent Computing in Engineering, At Nottingham, UK, pp. 269-278. 

  8. Korea Concrete Institute. (2010). Safety Evaluation Criteria (Plan) and Examples for Commonly Used Concrete Bridges, pp. 104-114. 

  9. LG CNS. Why does Singapore make the entire country a virtual reality?. LG CNS, https://blog.lgcns.com/1749 (Jul. 3. 2018) 

  10. Michael, S., Juergen, R. (2016). From Simulation to Experimentable Digital Twins : Simulation - based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mplex Technical Systems. IEEE, Edinburgh, UK. doi:10.1109/SysEng.2016.7753162, pp. 273-278. 

  1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the Limit-State based Bridge Design Specification Chapter 3rd, pp. 14-16. 

  12. NIC. NATIONAL INFRASTRUCTURE COMMISSION, https://www.nic.org.uk (Feb. 17. 2018). 

  13. Orlando, F. GartnerIdentifiesthe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r 2017, https://www.gartner.com (Mar. 4. 2018). 

  14. Ryan, M., Lee, J., Padmesh, M., Peyman, D., Omkar, K., Sivasubramani, K., ... Anand, P. (2017). A Simulation-Based Digital Twin for Model-Driven Health Monitoring and Predictive Maintenance of an Automotive Braking System. The 12th International Modelica Conference, Prague, Czech Republic. doi: 10.3384/ecp1713235, pp. 35-46. 

  15. Wikipedia. Cyber-physical system, https://en.wikipedia.org (Mar. 15. 2018). 

  16. Xianming, L., Ping, L., Yan, L., Hong, R. (2017). Leak Location of Pipeline with Multibranch Based on a Cyber-Physical System. information, 8, 113. doi: 10.3390/info80401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