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the Mediating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6 no.2, 2021년, pp.133 - 140  

Jung, Sook-Hee (Division of Cosmetology, Kyungnam College of Information &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지역의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헤어전공 학생 154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전공선택동기척도, 전공 만족도 척도와 취업준비행동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중 개인적 동기는 전공만족도, 취업준비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사회적 동기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고 전공만족도는 취업준비행동과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개인적 동기와 전공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헤어전공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개인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한편 전공만족도는 사회적 동기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접효과만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and determine if major satisfaction had any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es and employment prepara...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전공 만족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 전공선택 동기나 취업준비행동은 대학생들의 진로와 직결되는 부분이므로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전공선택 동기,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 변인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이 변인들의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직접 학교생활이나 현장에서 경험하고 있는 내용들을질적 연구를 통해 병행된다면 훨씬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 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 준비 행동에 전공만족도가 매개효과가 있음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B 지역의 일부 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 본 연구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취업 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대학에 다니고 있는 헤어전공 학생 1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헤어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계획하고 관리하여 실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준비행동, 전공만족도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전공선택동기와 취업준비행동에서 전공 만족도는 매개효과가 있는지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헤어 전공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을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계획하고 관리하여 실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또한 전공선택과 전공 만족도가 연결되어 더욱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취업 준비 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특히 미용전공 학생들은 전공선택이 진로 결정으로 직결되므로 헤어전공 학생들의 취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공선택 동기와 취업 준비 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둘의 관계는 전공 만족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공 만족도를 매개변인으로 선정하여 그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전공만족도에 대한 매개효과를 밝힘으로써 전공선택에 대한 확신과 전문성 있는 전공 교육을 통해 경쟁력 있는 취업 준비 행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학과에서는 전공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경험을 하게 하여 현장에 대한 기대감과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첫째, 헤어전공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전공 만족도와 취업 준비 행동 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Myung-ae, A Study on the Process of Exploring and Deciding College Majors in the Division System as Academic Organization 20(3), pp81-101, 2007. 

  2. Lee, Doog-Jae, The relationships among Satisfaction in major, gender identity, and. gender stereotypes of male nursing Students, Dept, of Nursing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Fducation, 2004. 

  3. Lim, dae-kyu, Kwon Hai-sook, Oh Won-Jung , The Influence of Major Selection Motive on Major Satisfaction, Instruction Participation, Employability, Employment Strategies, Major Hope for Employment - In case of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ax and Accounting -Korean Employment and Career Association 2016, 

  4. Ha, Hye-Suk, A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nd School Satisfac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9. 

  5. Kim Su-young, A Research on Selective Motives for Specialization and Career Decision of Graduators Majored Social Welfare in University -Case of Three Universities in Chonbuk Reg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Wonkwang University, 2007. 

  6. Choi, Young-Jae, The Effects of Senese of Values-Major Satisfaction Career Maturity of undergraduate Studen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deacision-makig styles, Dept, of Beauty study of Department Satisfaction Arts Tne Graduate School of Seokyoung Universtity, 2015. 

  7. Ki Hyun-J, A Study of Model Students' Motivational Factorsand Satisfaction in Their Major and Career Choices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Gendersand Different AcademicLevel -Dongduk Women's Unifersity, paper of masters degree, 2013. 

  8. Han Ye-Jung,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Instruction Participation and Major Satisfaction and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ajor Selection Motiveand their Work Valuerso funiversity students -Target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whospecializedin cooking/dining related, Department of Hospitality&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 2014. 

  9. Song, Yun-Jeong, The Effea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and Professor - Student Inter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Dept of Education Graduat School, Dong - A University, 2014. 

  10. Choi Ji-A, Study on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Motives for Choosing Beauty Art Major and Career Values on Their Class Participati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Job Preparation Behavior,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ung University, 2015. 

  11. Lee Kyung-Lae, Influence Which Satisfaction Level for Studying of Korean-Style Food Makes on a Choice of Career with High School Students Relevant to Cooking, Department of Culinary Art Graduate School of Industry, Chodang University, paper of masters degree, 2009. 

  12. Kang Da-yeong, Kim Gab Sook, The Relationship Between Client Resistance and Working Alliance Perceived by Art Therapists:The Mediation Effect of the Art Therapist's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Korean Art Therapy Assooiaion. 25,(5), 589-608, 2008. 

  13. Oh, Joo-Han, Chung, Seok- Won, Multivariate Analysis for Clinicians Korean Shoulder And Elbow Society,16(1), 63-72, 2013. 

  14. Seong, Tae-Jae, The effect of 'don't know' option and differential scoring for 'dont't know' option in multiple-choice test on DTF and person fi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3), 53-74, 2007. 

  15. Oh Min-Jae,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Major satisfaction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rea Aerospace University, 2016. 

  16. Ko Beom-Seok, Kim Deok-Hui,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Practical Class Attitude of Major for Culinary and Baking College Students, The Korean FoodService Association, 9(1), 59-66, 2013. 

  17. Ku, Yoon-He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election Type and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r Student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7. 

  18. Kim, Bong -Wha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7. 

  19. Yang Myong-Hee, Park ?Myoung-Ji, Kim Hee-Joung, The Effects of Congruence, Score Elevation & Types of Interest on Colleg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9(2), 137-156, 2010. 

  20. Shin Chung-Sick, Kim Chae-He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Methods on Student Satisfaction,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17(4), 957-965, 2008. 

  21. Han Ye-Jung, Influence of Major Satisfaction of HighSchool Students Special izing in Cooking on Course Maturity, Dong-A University, 14-71, 2008. 

  22. Jeong, Hee-Young, A S셔요 on major Satis Faction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valudents majoring in beauty, DepartmenrofHospitality&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 2010. 

  23. Hwan, g Yeo- Jung, Kim Kyung-keun, Determinants of student's satisfaction with general high school, The Korean Society for Sociology of Education, 16(2), 181-203, 2003. 

  24. Jong, Sun-Chul, A Typology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Analysis of Related Personal and Cognitive Variable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2003. 

  25. Lee so Seung-Gu, Lee Je-Kyung, The Difference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Degree of Satisfaction in the First Job of Korean University Student, Depending on Employment Goal,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1(3), 118, 200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