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1인가구의 종사상지위 및 연령에 따른 건강행태 비교: 음주 및 흡연을 중심으로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of single households: focusing on drinking and smok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10, 2019년, pp.331 - 336  

조필규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  오유진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정책개발실)

초록

1인가구주의 종사상지위와 연령에 따라 음주, 흡연 등의 건강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고자 종사상지위 및 연령별로 층화추출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총 566명). 분석결과에 따르면, 음주빈도에서는 연령별 유의적 차이가 발견되었으며(p<0.001), 흡연여부(p<0.001) 및 흡연량(p<0.001)에서도 연령별 유의적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금연 계획에서는 정규직이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금연이유에 대해서는 담뱃값 부담 때문이라는 응답이 20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전체적으로 볼 때, 음주 및 흡연 등의 건강행태에서는 종사상지위와 같은 사회경제적 특성보다는 연령 등과 같은 개인적 특성이 더 유의적인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of the health behaviors of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groups. The subjects were collected by purposive quota sampling(n=566).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in drinking frequency(p<0.001), smoking status(p<0.001) and smoking amount(p...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제활동에 종사하고 있는 20세에서 59세 까지의 1인가구를 대상으로 종사상지위별, 연령군별로 구분하여 음주, 흡연의 건강행태를 비교할 수 있도록 조사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하여 목적적 임의할당 표본추출 (purposive quota sampling)을 실시하여 인원을 할당 하고 대상자를 모집하였다.
  • 1인가구에 대한 연구는 노인층에 집중되어 있고, 청·중년층의 1인가구에 서도 건강에 대한 문제점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므로[2,14] 1인가구의 특성을 연령별로도 구분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1인가구를 분석함에 있어 연령별 특성에 종사상지위라는 사회경제적 특성을 융합 하여 1인가구를 분류하고, 각 집단별로 1인가구가 음주및 흡연행태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함 으로써 1인가구의 건강 문화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 1인가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가운데[1] 이들의 노동시장에서의 위상과 경제상황, 1인가구를 형성하는 과정에 따라 생활양식은 다르게 나타난다[4]. 특히, 1 인가구는 건강관리를 스스로 해야 하지만 특별한 조치를 하고 있지 못하므로[3], 본 연구에서는 종사상지위 및 연령별로 1인가구주의 음주, 흡연 등의 건강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가구의 음주비율이 높은 이유는? 이처럼 30대와 50대의 음주빈도가 높은 결과는 2016년 음주 관련 사망률이 30대 이후 급증하여 50대에서 가장 많은 수가 사망한다는 보고[16]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있다. 1인가구의 음주비율이 다인가구의 경우보다 높은 데[17], Song & Kim[18]에 따르면, 이는 1인가구주의 경우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없기 때문에 술을 마실 기회는 증가하는 반면 제재는 감소하는 데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1기에서 6기까지의 다소비 식품을 비교한 연구[19]에서도 1인가구의 주류 소비 비율이 다인가구에 비해서 더 높았다.
1인가구에 금연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에 비하여 흡연하는 비율이 성별과 연령을 보정하고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는 Park[17]의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1인가구의 금연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Kim[23]에 따르면, 사회적 지지가 금연에 도움을 줄 수 있는데, 1인가구의 경우 가족을 포함한 사회적 지원이 부족하며, 간접흡연으로 피해를 보는 동거인이 없어 금연의 필요성이 낮게 인지될 수 있다[24]. 20대의 경우 담뱃값 부담으로 금연을 계획하는 경우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 났는데(p<0.
1인가구의 건강 위험요인은? 1인가구의 경제적 취약성은 건강관리에 소요되는 지출을 줄임으로써[4], 건강 위험요인을 높이는 요인이 될수 있다. 그러나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에 따른 건강행태를 비교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tatistics Korea. (2018). Age of Householder/Estimating households. http://kosis.kr. 

  2. J. Y. Lee. S. K. Choi & J. S. Seo. (2019). Evaluation of the Nutrition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of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Based o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4(3), 232-244. 

  3. I. Jeong. & H. M. Kim. (2018,Oct.). Korea one-person households report 2018. KB finance group research institute. 

  4. P. K. Jo. (2016). The Effect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21(4), 321-331. 

  5. Statistics Korea. (2018).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dditional research. http://kostat.go.kr 

  6. OECD. (2015). OECD Employment Outlook 2015, Paris: OECD. 

  7. S. M. Park., M. A. Han., J. Park., S. Y. Ryu., S. W. Choi., H. H. Shin., & M. H. Joo., (2016). Associations between Smoking,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2), 111-118. 

  8. S. J. Jeong. (2016). Employment Typ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Health among Young Worker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51, 197-224. 

  9. K. S. Moon. J. Y. Ahn. T. L. Jang & S. Z. Oah. (2017). Is the Risk Unloaded on Dispatch and Service Supplier? Influence of Indirect Employment on Safety, Health and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2(3), 90-98. 

  10. S. A. Kim et al. (2010).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tatus of health behaviors and medical service utilization: focused on female blue-collar workers.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5(3), 239-248. 

  11. Y. H. Sun, J. W. Park & M. S. Noh. (2015). Comparis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Standard and Non-standard Work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5(3), 935-942. 

  12. Y. H. Khang & H. R. Kim. (2016). Socioeconomic Inequality in Mortality Using 12-year Follow-up Data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s in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for Equity in Health, 15(1), 51. 

  13. S. E. Kim et al. (2016) The Effect of Non-regular Employment on the Health Behavior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4(3), 127-136. 

  14. B. M. An & J. H. Son. (2018). Analysi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 One-person Household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2(1), 30-43. 

  15. Statistics Korea. (201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https://kostat.go.kr 

  16. Statistics Korea. (2018).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7. 

  17. S. H. Park. (2016). Single-households and Health Risk Factors. Proceedings of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7-38. 

  18. Y. L. A. Song. & J. Y. Kim.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actors and Drinking/Smoking among Middle-Aged M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Promotion, 30(1), 13-25. 

  19. Y. J. Oh. (2016). Analysis of Nutrients and Food behaviors of Eating Alone According to Increasing in Single-households. Proceedings of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14. 

  20. H. C. Cho & E. S. Lee. (2019). The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Self-rated Health, Binge Drinking, and Depression among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6(2), 11-21. 

  21. J. H. Jeong & S. M. Jang. (2019). A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f Drinking Problem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Comparison between First and Fourth Graders. Journal of Critical Social Policy, 63, 275-307. 

  22. K. K. Kim. (2015).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to Reduce Harms Caused by Alcohol Us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67-78. 

  23. E. H. Yun, Y. H. Kang, M. K. Lim, J. K. Oh & J. M. Son. (2010).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Networks in Smoking Behavior among Middle and Older Aged People in Rural Areas of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10(1), 78, 

  24. A. R. Kim, N. L. Park, J. A. Lee & H. S. Park. (2017). Health Behaviors and Mental Health of Korean Young Adults from Single Households: Data Analysis from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5), 667-673. 

  25. M. H. Choi. (2019). The Impact of Basic Livelihoods Condition on the Current Smoking: Applying the Counter factual Mode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6(1), 53-67. 

  26. Y. J. Kim., K. D. Jung. & M. H. Cho. (2017).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creasing Tobacco Taxes.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7(4), 31-52. 

  27. E. J. Kang. (2009). Analysis of Effective and Equitable Tobacco Price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2-37 

  28. F. J. Chaloupka, K. Straif & M. E. Leon. (2011). Effectiveness of Tax and Price Policies in Tobacco Control. Tobacco Control, 20(3), 235-238. 

  29. P. K. Jo. (2019). An Analysis of Socio-economic Status of Single Households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Korean Journal of Economics. forthcoming. 

  30. G. S. Kim. (2015).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Single Households. Hyundai Research Institute, 654, 15-33. 

  31. S. Koo & K. Park. (2013).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od Science and Nutrition, 42(5), 705-7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