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수면시간과 현존치아 수와의 관련성 :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mong the elderly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9 no.5, 2019년, pp.731 - 742  

김남숙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윤정원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이정화 (동의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in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sleep quality and developing oral health programs for teeth maintenance. Methods: The raw data for the analysis were obtain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수면은 인간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Jike 등[15]과 전과 송[5]의 연구에서 수면과 건강, 질병과의 연관성을 입증하고 있지만, 국내에서 노인의 수면과 구강건강 상태인 현존 치아 수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들의 수면시간과 현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향후 노인의 수면의 질 개선과 현존 치아 수 유지를 위한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65세 이상 노인들의 수면시간과 현존 치아 수와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는?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별(p<0.001), 연령(p<0.001), 교육수준 (p<0.001), 가구소득(p<0.05), 경제활동(p<0.05), 가족형태(p<0.001), 스트레스 정도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존 치아 수를 분석한 결과, 연령(p<0.001), 교육수준(p<0.001), 가구 소득(p<0.001), 가족형태(p<0.05), 스트레스 정도(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3.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현존 치아 수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 상태(p<0.05),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p<0.001), 당뇨병(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수면시간 6시간 이하에서는 현존 치아 수 20개 이상(52.4%)이 높게 나타났고, 수면시간 7-8시간에서도 현존 치아 수 20개 이상(52.2%)이 높게 나타났으며, 수면시간 9시간 이상에서는 현존 치아 수 20개 미만(56.3%)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5. 수면시간이 현존 치아 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란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 될수록 현존 치아 수가 20개 미만일 위험비가 1.41배(95% CI:1.061-1.860)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연령 그리고 기타 교란 변수를 보정한 모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05).
수면의 역할은? 수면은 심신의 피로회복과 휴식 및 안정을 제공해 주고, 신체의 기능을 최대의 상태로 회복하여 일상생활과 업무수행을 할 수 있게 하며,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수면은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기 위한 신체의 기능을 회복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며 개인의 안녕과 삶의 질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4].
불면증은 신체에 어떤 문제점을 야기하는가? 짧은 수면은 피로의 증가로 전신건강을 악화시키고 치은염증 및 치조골 손실을 증가시키는 실험 논문이 보고되었고[13], 불면증은 스트레스 및 감염에 대한 저항력, 신체 방어능력을 저하시키고, 체내 호르몬의 불균형과 면역체계의 적정 기능을 저하시킨다고 보고되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 KJ, Hwang J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daily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KJGSW 2007;36:221-46. 

  2. Hong SH, Kim SY. Effects of sleep promoting program on sleep and immune response in elderly. J Korean Adult Nurs 2009;21(2):167-78. 

  3. Kim YH, Lee JH. Relevance of periodontal disease according to presence of cognitive stress, sleeping hours, and subjective oral-health status of adults. KJOHSM 2017;11(4):169-78.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4.169 

  4. Driscoll HC, Serody L, Patrick S, Maurer J, Bensasi S, Houck PR, et al. Sleeping well, aging well: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of sleep in "successful agers" 75 and older. Am J Geriatr Psychiatry 2008;16(1):74-82.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557b69 

  5. Jeon SN, Song HJ. The relationship between EQ-5D and optimal sleep duration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l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7;43(1):13-22. 

  6. Do KY, Lee ES. Relationship between sleep duration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women: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J Dent Hyg Sci 2017;17(4):298-305.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298 

  7. Majde JA, Krueger JM. Links between the innate immune system and sleep. J Allergy Clin Immunol Pract 2005;116(6):1188-98. https://doi.org/10.1016/j.jaci.2005.08.005 

  8. Kim MY, Ha SJ, Jun SS. The relationship among life habits, health status and sleep time of the elderly. KJOHSM 2014;8(1):41-50. https://doi.org/10.12811/kshsm.2014.8.1.041 

  9. Shin EY.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status, physical activity leve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the elderly.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2016;42(3):53-65. 

  10. Kim MY, Lee EJ. Rest-activity rhythm and sleep pattern in the elderly. J Korean Biol Nurs Sci 2011;13(3):211-9. 

  11. Gangwisch JE, Heymsfield SB, Boden-Albala B, Buijs RM, Kreier F, Opler MG, et al. Sleep duration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elderly, but not middle-aged, adults in a large US sample. Sleep 2008;31(8):1087-96. 

  12. Lee DH, Lee YH.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dental caries,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J Dent Hyg Sci 2017;17(1):38-45. https://doi.org/10.17135/jdhs.2017.17.1.38 

  13. Nakada T, Kato T, Numabe Y. Effects of fatigue from sleep deprivation on experimental periodontitis in rats. J Periodont Res 2015;50(1):131-7. https://doi.org/10.1111/jre.12189 

  14. Foreman MD, Wykle M. Nursing standard-of-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Geriatr Nurs 1995;16(5):238-43. https://doi.org/10.1016/S0197-4572(05)80173-9 

  15. Jike M, Itani O, Watanabe N, Buysse DJ, Kaneita Y. Long sleep duration and health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Sleep Med Rev 2018;39:25-36. https://doi.org/10.1016/j.smrv.2017.06.011 

  16. Cho MJ, Kim HK, Oh NR. Influence of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of on sleep time and stress of adults older than 40 years. J Digit Converg 2016;14(7):225-32. https://doi.org/10.14400/JDC.2016.14.7.225 

  17. Kim SY. Factors related to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JKDIS 2018;29(1):153-65. https://doi.org/10.7465/jkdi.2018.29.1.153 

  18. Kim HN, Kim KR, Kim JB. The association between number of present teeth and oral function in Korean adults aged 55-84 years. J Dent Hyg Sci 2015;15(3):340-7. https://doi.org/10.17135/jdhs.2015.15.3.340 

  19. Jang SH, Choi MH. Evaluation of the qualite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among elderly people in some elderly care facilities by OHIP-14. J Korean Soc Dent Hyg 2011;11(4):475-87. 

  20. Koong HS, Song EJ, Hwang SJ, Jang HR, Jeon DH, Jeon MJ, et al. The happiness index by the number of teeth of senior citizens residing in dong-gu in Daejeon. J Digit Converg 2013;11(10):661-7.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661 

  21. Lee YS, Tak YR. Sleep disorder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and their physical,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health. J Korean Gerontol Nurs 2013;15(2):120-30. 

  22. Magee CA, Caputi P, Iverson DC. Relationships between self-rated health, quality of life and sleep duration in middle aged and elderly Australians. Sleep Med 2011;12(4):346-50. https://doi.org/10.1016/j.sleep.2010.09.013 

  23. Yang SJ, Kim JS.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sleep among community dwelling elders. J Korean Gerontol Nurs 2010;12(2):108-18. 

  24. Cho YY.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remaining teeth and bone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2018;18(2):205-15. https://doi.org/10.13065/jksdh.2018.18.02.205 

  25. Lim HJ, Lee EK. Factors influencing the number of remaining natural teeth in elderly people visiting dental care services. J Korean Soc Dent Hyg 2013;13(4):693-700. http://doi.org/10.13065/iksdh.2013.13.4.693 

  26. Kim NH, Hwang SJ, Choi JA, Mun SJ, Chung WG. Quartile present teeth related socioeconomic status and oral health behaviors among Korean elderly.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9;33(2):254-66. 

  27. Kim SY, Lee JK, Lee YH, Chun KH. Differences between middle-aged and older people in association between income level and remaining teeth.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6;40(1):9-16. https://doi.org/10.11149/jkaoh.2016.40.1.9 

  28. Yu GS, Park HS. Comparison of health status between senior people living alone and those who live with their families. J Korean Geront Soc 2003;23(4):163-79. 

  29. Dahl KE, Calogiuri G, Jonsson B. Perceived oral health and its association with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oral statu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mong elderly in Norway. BMC Oral Health 2018;18(1):93. https://doi.org/10.1186/s12903-018-0556-9 

  30. Koyama S, Aida J, Cable N, Tsuboya T, Matsuyama Y, Sato Y, et al. Sleep duration and remaining teeth among older people. Sleep Med 2018;52:18-22. https://doi.org/10.1016/j.sleep.2018.07.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