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교통 빅데이터를 이용한 전국 도로 안전성능함수 및 안전등급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and Level of Service of Safety on National Roads Using Traffic Big Data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8 no.5, 2019년, pp.34 - 48  

권건안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 인증검사처) ,  박상민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정하림 (아주대학교 건설교통공학과) ,  권철우 (인천연구원 교통물류연구실) ,  윤일수 (아주대학교 교통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평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통사고 자료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 하여 종속 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의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운행기록계를 통한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활용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여 7개 도로 유형별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활용하여 도로유형별로 A, B, C, D 네 개의 안전등급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위험도로를 선정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대상을 선정하고 그에 따른 효과 등을 모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develop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SPF) using transportation-related big data for all types of roads in Korea were developed, Seco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develop measures for relatively dangerous roads by evaluating the safety grade fo...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다양한 교통 빅데이터는 교통안전과 관련된 설명변수로서 많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도로에 대하여 가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안전성능함수(safety performance function, SPF)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로에 대한 안전등급을 산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대책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안전성능함수와 도로안전등급과 관련된 적용이론 및 선행연구 논문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특히 안전성능함수와 도로안전등급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된 교통 빅데이터의 종류 및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안전성능함수 개발을 위하여 필요한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로 사용 가능한 자료를 수집 및 가공하였다.
  • 종속변수로는 교통사고 건수를 사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는 차로수, 기하구조, 제한속도, 교통량, 위험운전행동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초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Kwon, 2019). 특히, 안전성능함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통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축된 교통량과 위험운전행동 건수를 독립변수에 포함시킨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도로안전등급을 산출하기 위하여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네 개의 등급으로 나누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 특히 R 프로그래밍 언어는 다양한 통계기법과 수치해석 기법을 지원하며, 통계계산과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환경이 필요한 통계학자나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은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안전성능함수 구축시 모든 변수의 유의수준을 만족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우도비 검증을 통해 모형의 유의성을 확인하여 각 도로유형별로 안전성능함수를 최종적으로 결정하였다.
  • 특히, 계수가 작거나 큰 경우 LOSS가 산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도로의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균일하게 등급을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Kwon, 2019). 본 연구에서는 도로 LOSS를 가능한 균등하게 산출하기 위해 계수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계수에 따라 LOSS가 산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계수값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체 도로 유형을 대상으로 가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인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안전성능함수를 개발하고, 개발된 안전성능함수를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도로에 대한 LOSS를 산출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험한 도로에 대한 안전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통사고 자료의 좌표정보를 이용하여 교통사고를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를 기반으로 전국의 도로에 매칭시켜서 종속변수로 활용하였으며, 독립변수로 국가표준 노드 및 링크 체계상에 활용 가능한 링크 길이, 차로 수 등 기하구조 자료 및 한국교통연구원에서 구축한 ViewT 교통량 자료, 그리고 사업용 차량에 장착된 DTG를 활용한 위험운전행동건수를 기반으로 4개 시스템의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렇게 산출된 LOSS는 도로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 및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도록 준거로서 제시하였다(Kwon, 2019).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하구조는 물론 실제 교통량 및 운전자 운전행태분석 데이터 등 시스템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론과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국 도로에 대하여 위험도로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고 또한 교통안전 개선사업의 효과 등을 모니터링하고 계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성능함수란? 안전성능함수는 교통사고 건수 또는 교통사고 심각도와 같은 종속변수와 도로조건, 교통조건, 운영조건, 그리고 환경조건 등 관련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러한 안전성능함수를 이용하여 교통사고 건수의 예측하거나, 도로안전등급 평가 또는 교통안전시설물의 설치효과를 추정하고 있다.
도로 안전등급 평가를 위해 계수에 따른 민감도 분석이 필요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는 도로 LOSS를 가능한 균등하게 산출하기 위해 계수에 따른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계수에 따라 LOSS가 산출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계수값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계수 값을 산정하기 위해 계수 값을 0.
안전성능함수을 이용한 도로안전등급 평가의 장점은? 이 방법은 참조집단의 사고건수를 추정하는 것으로 동일 수준의 운전에 노출되면 위험요인이 없을 때, 참조집단만큼만 사고가 발생하며, 참조집단 이상의 사고 발생은 위험한 도로 기하구조(경사, 곡선반경 등), 교통상황(높은 속도 편차 등)에 의한 사고이므로 원인 파악 및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안전성능함수를 이용한 안전등급(level of service of safety, LOSS) 추정 기법의 장점은 동일한 모형 설계 방식을 도입하여, 통일성을 확보 가능하고 체계적이고 통계적으로 객관적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Kwon, 2019). 다음 그림은 안전성능함수를 이용한 도로 안전등급 추정 개요를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ASHTO(2010), Highway Safety Manual, First Edition,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and Highway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2. AASHTO(2014), Highway Safety Manual, First Edition, 2014 Supplement, American Association of State and Highway Transportation Officials, Washington DC. 

  3. Banihashemi M.(2012), "Sensitivity Analysis of Data Set Sizes for Highway Safety Manual Calibration Factor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279, pp.75-81. 

  4. Bonneson J., Lord D., Zimmerman K., Fitzpatrick K. and Pratt M.(2007), Development of Tools for Evaluating the Safety Implications of Highway Design Decisions, FHWA/TX-07/0-4703-4,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College Station. 

  5. Bonneson J., Zimmerman K. and Fitzpatrick K.(2005), Roadway Safety Design Synthesis, FHWA/TX-05/0-4703-P1, Texas Transportation Institute, College Station. 

  6. Cafiso S. and Di Silvestro G.(2011), "Performance of safety indicators in identification of black spots on two-lane rural road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237, pp.78-87. 

  7. Cafiso S., D'Agostino C. and Persaud B.(2013),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egmentation in estimating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for roadway sections," Journal of Traffic and Transportation Engineering, pp.1-8. 

  8. Cafiso S., Di Graziano A., Di Silvestro G. et al.(2010),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accident models for twolane rural highways using exposure, geometry," consistency and context variabl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42, pp.1072-1079. 

  9. Caliendo C., Guida M. and Parisi A.(2007), "A Crash-Prediction Model for Multilane Road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 39, pp.657-670. 

  10. Do C. W.(2013), Traffic Safety Engineering, Chungmungak. 

  11. Jinyan L., Kirolos H., Priyanka A. and Albert G.(2013), "Full versus simple safety performance functions: comparison based on urban four-lane freeway interchange influence areas in Florid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398, pp.83-92. 

  12. Kim D. H., Lee D. M. and Sung N. M.(2010), "A Development of Traffic Crash Frequency Prediction Models for Rural 3-legged Intersection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7, no. 1, pp.37-48. 

  13. Kim K. H.(1991), Traffic safety engineering, Thalim. 

  14. Kononov J. and Allery B. K.(2004), "Level of service of safety: Conceptual blueprint and analytical framework,"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840, (Statistical Methods and Modeling and Safety Data, Analysis, and Evaluation), pp.57-66. 

  15. Kononov J. and Allery B. K.(2015), "Level of Service of Safety Revisited,"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No. 2514, pp.10-20. 

  16. Korea Road Traffic Authority(2018), Comparison of Traffic Accident of OECD Member States. 

  17. Korea Road Traffic Authority(2018), Traffic Accident Statics Analysis. 

  18. Kwak H. C., Su Y. J., Kho S. Y. and Rhee S. M.(2010), "Establishment of Influence Area using Select Link Analysis for Highway Investment Projects," Journal of the Eastern Asia Society for Transportation Studies, vol. 8, pp.593-602. 

  19. Kwon K. A.(2019), Development of national road Safety Performance Function and Level of Safety using Traffic Big Data, doctoral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20. Lee D. M., Kim E. C., Choi E. J. and Kim D. H.(2010), "Development validation of accident modifications factors of 2-lane rural roadway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28, no. 3, pp.131-143.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6), The 8th National Traffic Safety Basic Subject(2017-2021). 

  2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6), Traffic Accident Statics Analysis. 

  23. National Police Agency(2016), 2015 Traffic Accident Statics. 

  24. Park J. T., Lee S. B. and Lee D. M.(2011), "Development of traffic prediction for rural road section,"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vol. 18, no. 1, pp.15-26. 

  25. Ryu J. D., Park S. M., Park S. H., Kwon C. W. and Yun I. S.(2018), "A study for development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deep learning,"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17, no. 4, pp.14-25. 

  26. Yun D. S.(2016), Traffic Demand Analysis, Parkyoungsa, p.25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