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폭력경험과 긍정심리자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Violent Experiences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Burnout of Psychiatric Ward Nurs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3 no.3, 2019년, pp.67 - 80  

김진희 (가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violent experience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burnout, as well a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affect psychiatric ward nurses' burnout. Method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13 psy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병동 간호사의 폭력 경험과 긍정심리자본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진을 효율적으로 예방하고 경감시켜 간호사 개인의 안녕과 보건의료 간호조직의 인적관리와 양질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다차원적인 개입과 대처방안을 마련하는데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 상태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소진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서비스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로 대하게 되고[4], 간호업무에 집중하지 못해 환자안전과 관련된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5]. 또 직무관련 성취도와 만족도가 저하되어 이직까지 고려하게 되며[6] 이런 분위기는 동료 간호사들에게 파급됨으로써 조직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이렇듯 보건의료 조직 내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소진은 당사자 개인 뿐 아니라 간호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 동료, 조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소진(burnout)이란? 소진(burnout)은 스트레스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거나 장시간 지속되는 업무환경에서 일함으로써 발생하는 결과로써 신체적, 감정적, 정신적인 고갈상태로 업무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3]. 소진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서비스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로 대하게 되고[4], 간호업무에 집중하지 못해 환자안전과 관련된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5].
소진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어떻게 되는가? 소진(burnout)은 스트레스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거나 장시간 지속되는 업무환경에서 일함으로써 발생하는 결과로써 신체적, 감정적, 정신적인 고갈상태로 업무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3]. 소진 상태에 있는 간호사는 서비스 대상자에게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로 대하게 되고[4], 간호업무에 집중하지 못해 환자안전과 관련된 오류로 이어질 수 있다[5]. 또 직무관련 성취도와 만족도가 저하되어 이직까지 고려하게 되며[6] 이런 분위기는 동료 간호사들에게 파급됨으로써 조직성과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J. Jang(2004), Relationship between Experience of Patients' Violent Behaviors and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Seoul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85. 

  2. M.J. Song, W.J. Park(2015), Effects of Violence Experience and Human Rights on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in National Mental Hospital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Vol.9(2);97-106. 

  3. C.R. Figley(1995),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C.R. Figley(Ed.),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Brunner-Mazel, pp. 107-119. 

  4. S.R. Bae(2017), The Influence of Clinical Nurses' Workplace Bully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on their Burnout, Kyung Hee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77. 

  5. J.R.B. Halbesleben, B.J. Wakefield, D.S. Wakefield, L.B. Cooper(2008), Nurse Burnout and Patient Safety Outcomes: Nurse Safety Perception Versus Reporting Behavior,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30(5);560-577. 

  6. K.J. Lee, E. Lee(2011), The Relationship of Emotional Labor, Empowerment,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20(2);130-142. 

  7. N.H. Lee(2011),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of Psychiatric Nurses, Job Stress and Burnout. Health & Nursing, Vol.23(2);47-59. 

  8. S.M. Park(2015), The Influences of Job Stre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Burnout of Psychiatric Nurse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Master's Thesis, pp. 1-48. 

  9. S.H. Kim, Y.S. Yang(2015), A Meta Analysis of Variables Related to Burnout of Nurse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8);387-400. 

  10. F. Luthans, K.W. Luthans, B.C. Luthans(2004),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eyond Human and Social Capital, Business Horizons, Vol.47(1);45-50. 

  11. F. Luthans, B.J. Avolio, J.B. Avey, S.M. Norman(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Vol.60(3);541-572. 

  12. D.S. Lee, Y.D. Choi(2010), A Study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Organizations, Korean Management Review, Vol.39(1);1-28. 

  13. J.B. Avey, R.J. Reichard, F. Luthans, K.H. Mhatre(2011),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Employe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Vol.22(2);127-152. 

  14. J.O. Ko, S.K. Park, M.H. Lee(2013), Factors Affecting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according t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9(2);304-314. 

  15. S.H. Huh(2017),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Emotional Labor on Burnout among Healthcare Center Nurses,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p.34. 

  16. M.R. Jung, E. Jeong(2018), Effects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Clinical Nurses on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2);277-285. 

  17. I.S. Kim, Y.B. Seo, B.N. Kim, A.R. Min(2015),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rganizational Commitment, Customer Orientation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21(1);10-19. 

  18. M.Y. Lee, K.H. Kim(2012), Influence of Head Nurse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taff Nurse's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and Somatization-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18(2);166-175. 

  19. J.S. Yun(2004), A Study of Violence Experience from Patients and their Families and Job Satisfaction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lsan University Master's Thesis, pp. 1-54. 

  20. B.H. Stamm(2009), The Concise ProQOL Manual (2nd ed.), Pocatello, I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org. 

  21. J.H. Kim(2019),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Experiences and Violence Responses of Psychiatric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8(2);144-155. 

  22. H.J. Lee, J.Y. Kim(2016), Effects of Psychiatric Nurses'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n Burnou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5(4);399-408. 

  23. M.J. Jang(2016), A Predictive Model for Burnout in Emergency Room Nurses who Experienced Violence, Dong-A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pp. 1-131. 

  24. S.O. Kim, M.S. Wang(2015), A Study on Emotional Labor, Positive Resources and Job Burnout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2);1273-1283. 

  25. Y.J. Han(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Burnout among Clinical Nurses: Focused on Application of Emotional Labor Theo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Thesis, p. 1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