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Mind Subtraction Meditation-Based Healing Program on the Rumina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of Firefighter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3 no.5, 2019년, pp.118 - 129  

김재환 (목포중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이인수 (한국교통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유양경 (군산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방공무원들은 외상 사건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로 이행될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집단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박 3일간 단기집중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2019년 A소방본부 소방공무원 80명을 연구대상으로,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완료 후에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의 상태를 측정하였으며, 질적 자료를 위해 명상체험 소감문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은 남성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여성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침습적 반추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은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과 침습적 반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므로, 본 연구에 적용한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은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관리프로그램으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fighters are high-risk group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ecause they are repeatedly exposed to traumatic even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a short-term, intensive, Mind subtraction meditation-based healing program on the rumination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등으로, 소방공무원에게 명상프로그램을 중재로 적용한 효과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기집중으로 제공된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와 명상프로그램에 관한 경험을 파악하여 본 중재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 관리 프로그램으로써의 가능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변수인 PTSD 증상과 반추는 소방공무원의 PTSD 관리와 예방능력 향상을 통한 업무능력 제고에 관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이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중재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 참여한 소방공무원들이 주관적으로 인지한 마음빼기명상의 체험을 간추려 보면, 허상인 가짜마음은 마음에 두고 살아갈 필요가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가짜마음빼기를 통해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하였다. 또 자신을 돌아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미래의 행복한 삶을 만들 수 있마음이 편해졌다고는 효과적인 방법을 습득하였으며, 실생활에서 마음빼기명상을 꾸준히 적용하고자 다짐하였다. 또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능동적으로 자신이 변화하여 미래에는 자신감 있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주위 사람들과 같이 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음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 본 연구는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반추에 미치는 효과와 명상프로그램에 관한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설계를 이용하였다.
  •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기획된 2박 3일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 이들의 PTSD 증상 및 반추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중재프로그램은 소방공무원을 위해서 개발된 마음빼기명상 기반 힐링프로그램이다. 명상교육 전문가 4인과 본 연구자들이 함께 개발에 참여했으며, 소방공무원의 특성과 2박3일 일정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 미국에서는 소방대원의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소방대원의 초기 교육단계에서 스트레스로 인한 경고징후와 다양한 관리법에 대한 안내 및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다양한 이완 요법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그 중에서 명상은 유용한 방법의 하나라고 소개하고 있다(21). 이에 본 연구자들은 한국에서 개발되어 일반성인, 직장인, 교사, 대학생, 및 자유학기제가 적용되는 중학생 등 다양한 그룹에서 힐링, 성장, 및 인성교육을 위해 활용되고 있는 마음빼기명상에 주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N. Breslau, G. C. Davis, P. Andreski and E. Peterson, "Traumatic Events and PTSD in an Urban Population of Young Adul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Vol. 48, No. 3, pp. 216-222 (1991).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5-R)", 5th Revised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Publishing, Washington, US (2013). 

  3. H. K. Choi, "Effects of Traumatic Events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urnout, Physical Symptoms, and Social and Occupational Functions in Korean Fire Fighters", Ph.D. Dissertation, Ajou University (2010). 

  4. J. H. Oh, "Analysis on Influence Factor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Burnout, and Physical Symptoms for Firefighters", Ph.D.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2006). 

  5. E. S. Choi, "A Model for Post-Traumatic Stress in Fire Fighters", Ph.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0). 

  6. I. Lee, M. Y. Chun and Y. G. Yoo, "Effect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on Post-Traumatic Growth and Resilience of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Personnel",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2, No. 5, pp. 95-104 (2018). 

  7. S. Joseph, R. Williams and W. Yule, "Changes in Outlook Following Disaster: The Preliminary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Positive and Negative Respons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6, No. 2, pp. 271-279 (1993). 

  8.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rauma and Transformation: Growing in the Aftermath of Suffering", SAGE Publications, CA, US (1995). 

  9.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9, No. 3, pp. 455-471 (1996). 

  10. R. G. Tedeschi and L. G. Calhoun,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Vol. 15, pp. 1-18 (2004). 

  11. P. Frazier, A. Conlon and T. Glaser, "Positive and Negative Life Changes Following Sexual Assault", Journal of Consulting Clinical Psychology, Vol. 69, No. 6, pp. 1048-1055 (2001). 

  12. J. C. McMillen and R. H. Fisher, "The Perceived Benefit Scales: Measuring Perceived Positive Life Changes after Negative Events", Social Work Research, Vol. 22, No. 3, pp. 173-187 (1998). 

  13. S. Choi, "Exploration of Posttraumatic Growth Related Variables", Ph.D.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2008). 

  14. K. H. Yang and J. N. Kim, "An Analysis of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Triple Mediation Effects of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Intrusive and Deliberate Rumin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Optimis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19, No. 4, pp. 1041-1062 (2014). 

  15. M. S. Eom, "The Relationship of Core Belief Challenge, Intrusive Rumination, Deliberate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Testing Moderating Effect of Decentering",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5). 

  16. K. N. Triplett, R. G. Tedeschi, A. Cann, L. G. Calhoun and C. L. Reeve, "Posttraumatic Growth, Meaning in Life, and Life Satisfaction in Response to Trauma", Psychological Trauma: Theory,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Vol. 4, No. 4, pp. 400-410 (2012). 

  17. Y. S. Eom,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Illusion and Activ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usive Rumination and Deliberate Rumination", Master's Thesis, Kwangwoon University (2018). 

  18. J. Choi,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xamination and Optimism", Master's Thesis,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2015). 

  19. D. M. Fresco, Z. V. Segal, T. Buis and S. Kennedy, "Relationship of Posttreatment Decentering and Cognitive Reactivity to Relapse in Major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75, No. 3, pp. 447-455 (2007). 

  20. Z. V. Segal, J. M. G. Williams and J. D. Teasdal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2nd ed., Guilford Press, NY, US (2013). 

  21. M. C. Henry and E. Stapleton, "EMT Prehospital Care", 4th Ed., Jones & Barlett Learning, Burlington, US (2014). 

  22. J. H. Kim, "A Psychological and Psychotherapeutic Review of Finding True Self Meditation", Journal of Human Completion, Vol. 7, pp. 9-58 (2017). 

  23. I. Lee, E. Choi and Y. G. Yoo, "The Effect of Finding True Self Meditation on Mindful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Wellness, Vol. 12, No. 4, pp. 359-372 (2017). 

  24. M. Kim, E. Choi and M. Yun, "The Effects of CommunityBased Mind Subtraction Meditation Program on Quality of Life,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ncy Life in Cancer Survivor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2, No. 2, pp. 87-95 (2016). 

  25. J. Y. Jeong, J. H. Kim, M. Kim and J. I. Kim,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Hwa-Byung Symptoms, Stress and Coping Styles",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Vol. 23, No. 2, pp. 63-77 (2015). 

  26. www.meditationlife.org/what-is-meditation/meditation-method/(2018.04.05.) 

  27. E. J. Lee, I. Lee, E. S. Choi and Y. G. Yoo, "The Effects of Mind-subtraction Meditation on Emotional State of College Students; Utilizing Silver's Draw-A-Story and Wartegg-Zeichentest Tool", Health and Social Science, Vol. 43, pp. 231-267 (2016). 

  28. J. H. Kim, "Trauma, Toward Growth beyond Healing", Journal of Human Completion, Vol. 8, pp. 103-127 (2017). 

  29. Y. S. Yook, "The Effects of Mindfulness Based BodyPsychological Exercise Program on the Reduction of PostTraumatic Stress (PTSD) Symptoms in Fire Official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Vol. 29, No. 4, pp. 57-73 (2018). 

  30. H. J. Eun, T. W. Kwon, S. M. Lee, T. H. Kim, M. R. Choi and S. J. Cho,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Vol. 44, No. 3, pp. 303-310 (2005). 

  31. H. N. Ahn, H. S. Joo, K. S. Sim and J. W. Min, "Validation of the Event Related Rumination Inventory in a Korean Populati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Vol. 13, No. 1, pp. 149-172 (2013). 

  32. H. F. Hsieh and S. E. Shannon,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Vol. 15, No. 9, pp. 1277-1288 (2005). 

  33. M. Jung, "The Effect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Program (RIMP) on the Patient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Journal of Meditation based Psychological Counseling, Vol. 9, pp. 27-39 (2013). 

  34. J. Park, G. E. Lee, J. H. Sue, D. B. Bae, S. Choi and H. Kang, "A Case Report for PTSD Patients Based on Mindfulness & I-Jeong-Byeon-Gi Therapy",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ol. 25, No. 1, pp. 73-84 (2014). 

  35. J. E. Bormann, D. Oman, K. H. Walter and B. D. Johnson, "Mindful Attention Increases and Mediates Psychological Outcomes Following Mantram Repetition Practice in Veteran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Medical Care, Vol. 52, No. 12, pp. s13-s18 (2014). 

  36. E . M. Seppala, J. B. Nitschke, D. L. Tudorascu, A. Hayes, M. R. Goldstein, D. T. H. Nguyen, D. Perlman and R. J. Davidson, "Breathing-Based Meditation Decrease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U.S. Military Veterans: A Randomized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 27, pp. 397-405 (2014). 

  37. M. Woo, "Heaven's Formula For Saving The World", Cham books, Seoul, Korea (2005). 

  38. M. Woo, "Stop Living In This Land, Go To The Everlasting World Of Happiness, Live There Forever", Cham Books, Seoul, Korea (2011). 

  39. M. R. Yun, E. H. Choi, K. A. Kim and Y. G. Yoo, "Effects of Mind Subtraction Meditation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Response of Adults with Depression", Journal of Wellness, Vol. 10, No. 3, pp. 109-121 (2015). 

  40. D. M. Jeong and S. Y. Lee, "Analysis of Psychosomatic Medicine Effects and Principle of MAUM Med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Jungshin Science, Vol. 5, No. 2, pp. 37-48 (2001). 

  41. I. S. Lee, "The Effects of Maum Meditation on Str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for Teachers", Journal of Human Completion, Vol. 2, pp. 49-71 (2010). 

  42. S. Jain, S. L. Shapiro, S. Swanick, S. C. Roesch, P. J. Mills, I. Bell and G. E. R. Schwartz,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Mindfulness Meditation Versus Relaxation Training: Effects on Distress, Positive States of Mind, Rumination, and Distraction", Ann. Behav. Med., Vol. 33, No. 1, pp. 11-21 (2007). 

  43. A. Heeren and P. Philippot, "Changes in Ruminative Thinking Mediate the Clinical Benefits of Mindfulness: Preliminary Findings", Mindfulness, Vol. 2, pp. 8-13 (2011). 

  44. J. H. Lee and H. S. Kim, "The Effects of a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on Attention Control, Decentering, 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Depressiv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30, No. 4, pp. 1035-1066 (2018). 

  45. H. S. Lee and S. H. Hwang, "The Effect of Single-Session Mindful Loving-Kindness Compassion Meditation on Dysfunctional Expression and Rumination of Anger",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23, No. 3, pp. 631-655 (2018). 

  46. A. R. Gwak, "The Mediating Effects of Thought Control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ent-Related Rumination and Posttraumatic Growth",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2015). 

  47. L. G. Calhoun and R. G. Tedeschi,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US (2006). 

  48. M. Woo, "World Beyond World", Cham Books, Seoul, Korea (2003). 

  49. M. Woo, "Where You Become True Is The Place Of Truth", Cham Books, Seoul, Korea (2008). 

  50. Y. K. Yoon, "A Study on Literat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f the Firefighter", Master's Thesis, Kyunghee Cyber Universit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