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의 합리적 관리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ational Management of the Pre-Hazard Factors Analysis in the Laboratory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4 no.4, 2019년, pp.85 - 94  

서재신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오태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ough the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hazardous substances in laboratories, the research institute is designed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university laboratories and to create a safe laboratory. We intend to explore countermeasures by confirming and reviewing the recogn...

주제어

표/그림 (2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연구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더불어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미흡한 안전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실 관련 종사자들이 현재의 사전 유해인자위험분석 지침과 이와 관련된 주요 사항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자기기기입식 설문조사와 전자 우편을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으며 전자우편및 직접배포를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 연구실 안전점검이란 경험과 기술을 갖춘 자가 육안 또는 점검기구 등에 의하여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연구실에 내재되어 있는 위험요인을 조사하는 행위를 말한다. 연구실 안전점검은 재해의 잠재적 위험성, 안전관리상의 문제점을 발견해 산업재해방지에 도움이 되도록 목적으로 실시한다. 연구실 안전점검에는 상시 이루어지는 일상점검과 매년 1회 이상으로 실시하는 정기점검, 그리고 연구주체장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실시하는 특별안전점검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나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의 문제점이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그 실효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연구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더불어 연구활동종사자에 대한 미흡한 안전교육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대해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제도의 합리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함과 더불어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 관계자들에 대한 설문을 통해 문제점 파악하여 현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의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대안으로 Fig. 3과 같은 5단계의 위험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은 사전준비 → 연구실 안전현황 분석 → 연구개발활동별 유해인자 위험분석 → 연구개발활동안전분석 (R&DSA) →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보고서 관리로 진행 된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이나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의 문제점이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고 개선하여 그 실효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연구에 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이란 무엇인가? 이런 요구에 부합하여 정부는 대학 및 연구소 등의 연구실에 안전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연구실 안전환경 조성에 관한 법률」을 2014년 12월에 개정하여2) 「연구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 실시에 관한 지침」을 실시할 수 있도록3) 법적 장치를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사전유해인자위험분석은 연구실책임자가 스스로 연구실의 유해인자를 발굴하고 안전관리 대책 및 비상조치 사항을 강구하고, 연구활동종사자에게 해당 내용을 교육하여 사고 방지 및 신속한 대처를 통해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제도이다4).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합리적이고 일관된 법 제도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해 국내 대학 및 연구소 내 연구실에서는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을 실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해인자를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문제점 보완 등의 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안전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기관별 연구실에 대한 안전관리 정도의 편차가 매우 크기 때문에 안전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합리적이고 일관적인 법 제도가 요구되고 있다1).
전문지식이 있는 관리자에게는 어떠한 노력이 요구되는가?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해서는 안전관리 조직이 구성되어야 하며 그에 따른 전문지식이 있는 관리자가 연구실을 관리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연구실의 상황을 잘 아는 연구실책임자 및 연구활동종사자가 안전한 연구실 환경조성 및 사고예방을 위해 보다 자율적이고 주체적으로 참여하려는 노력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N. J. Cho and Y. G. Ji,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 & System Introduction of Laboratory Pre-hazards Risk Analysis", J. Korean Soc. Saf., Vol. 31, No. 4, pp. 157-162, 2016. 

  2. Ministry of Science and ICT, Act on the Establishment of Safety Laboratory Environment, 2014. 

  3. Ministry of Science and ICT,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Hazard Factors Analysis in the Laboratory, 2016. 

  4. H. S. Song, J. J. Kim, J. G. Choi, S. H. Chun and N. H. Yee, "Study on Analysis and Management of the Type of Laboratory Accident", J. Korean Soc. Saf., Vol. 33, No. 6, pp. 157-162, 2018. 

  5. J. H. Park, O. S. Han and W. M. Gal, "Comparison of Laboratory Safety Management States in Organization Type and Research Field by using a Checklist", J. Korean Soc. Saf., Vol. 31, No. 4, pp. 157-162, 2016. 

  6. Ministry of Environment, Act on Chemicals Control, 2019. 

  7.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ct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2019. 

  8.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Act on Enforcement Rule of High Pressure Gas Safety Management, 2019. 

  9. J. W. Jeong,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Risk Assessment System for Business Sit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afety Association, Vol. 29, Vol. 3, pp. 121-128, 2014. 

  10. N. Chartres, L. A. Bero and S. L. Norris, "A Review of Methods used for Hazard Identification and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Hazards",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 123, pp. 231-239, 2019. 

  11. D. Y. Park, D. M. Baek and Y. S. Lee, "A Study on the Specific Introduction of Risk Assessment System",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p. 4, 2009. 

  12. J. D. Yoon, J. H. Kim, Y. H. Jung and J. Y. Yoon, "To Investigate the Risk Assessment Technique of Chemical Substances Research",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2013. 

  13. S. H. Jung, "What is the Project Site Risk Assessment System Implemented in 201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61 No. 8, pp. 84-90,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