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육포의 신시장 창출을 위한 기술동향 분석 및 시장 예측 전망
Analysis of Technology Trends of Market Forecasts for Jerky Market Creation 원문보기

축산식품과학과 산업, v.8 no.2, 2019년, pp.55 - 68  

용해인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  김태경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  전기홍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  김영붕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  심재윤 (팜덕 다향식품연구소) ,  최윤상 (한국식품연구원 가공공정연구단)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본문에서는 육포 가공기술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논문, 특허, 시장 조사를 통한 3P 분석을 진행하였다(그림 1). 3P 분석은 관련된 연구의 성숙도를 알아보고,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기술 분석 및 미래 예측을 통한 연구방향을 재설정하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3P 분석 시스템을 통해 연구의 효율성을 보다 극대화시키고, 실패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과정을 육포 연구 개발 기획 과정의 전반기 부분에 도입한다면 연구생산성 수준을 개선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Shin & Hyun, 2008).
  • 육포 생산현황과 새로운 가공공정들의 파악을 위해서는 육포 기반 연구 동향을 조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육포 가공기술에 대한 국내외 기술동향과 시장동향을 서술하 고, 이를 토대로 육포 관련 산업의 전망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포는 북미, 남미, 유럽 등에서 어떻게 불리는가? 86%가 급등하였다. 육포는 북미지역의 경우 jerky, 남미에서는 charqui, 유럽에서는 bünderfleisch, koppa, 또는 speck 등의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생산 및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Borch et al., 1996).
육포는 어떤 기본 공정을 갖는가? 육포는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식육 가공제품 중 하나이다. 이러한 육포는 건조 및 중간수분육제품(IMF, Intermediate Moisture Meat)으로서 염지와 건조를 통하여 수분활성도를 조절하고,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저장기간을 증진하는 것이 기본 공정이다(Park et al., 2016).
미국의 육포 시장은 얼마나 성장하였는 가? 이러한 육포 시장의 성장은 미국도 마찬가지이다. 미국 meat snack 시장은 2013년에 약 1,016억 달러에서 2018년에는 1,220억 달러로 약 18.86%가 급등하였다. 육포는 북미지역의 경우 jerky, 남미에서는 charqui, 유럽에서는 bünderfleisch, koppa, 또는 speck 등의 이름으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게 생산 및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Borc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농림수산식품유통공사. 2017.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원물간식 시장,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1893-01. 

  2. 농림수산식품유통공사. 2018. 식품산업 시장 및 소비자 동향분석, 발간등록번호: 11-1543000-002460-01. 

  3. 농림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 2019. 식품시장 규모. http://www.atfis.or.kr/statistics/M003000000/main.do# 

  4. Borch E, Kant-Muermans ML, Blixt Y. 1996. Bacterial spoilage of meat and cured meat products. Int J Food Microbiol 33:103-120. 

  5. Little AD. 1981 The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European Management Forum. Davos, Swiss. 

  6. Nam GW, Kim SJ, Yoon KS. 2018.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Clostridium perfringens in beef jerky. Korean J Food Sci Technol 50:621-628. 

  7. Park SY, Kim HY. 2016. Effects of black rice powder concentration on quality properties of pork restructured jerky. Korean J Food Sci Technol 48:474-478. 

  8. Ryu KL, Kim TH. 1992. The Historical study of beef cooking-i. cookery of soup based on beef. J Korean Soc Food Cul 7:223-235. 

  9. Shin S, Hyun B. 2008. A study of analysis methods on R&D productivity using patent and paper analysis. J Korea Technol Innov Soc 11:400-4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