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영재학생의 자기 평가, 동료 평가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Self-and Peer-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8 no.4, 2019년, pp.439 - 452  

김민주 (서울문현초등학교) ,  임채성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self- and peer-assessments of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Pascal's principle was implemented to 40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for two weeks. After that, students presented their result...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 평가가 min-c 창의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세 가지 측면에서 유용하다. 첫째로 학생으로 하여금 자신의 창의성에 대해 반성적으로 사고하게 한다. 둘째, 교육자는 이를 통해 창의적 자기효능감혹은 창의적 잠재력과 그 영역에 흥미를 가진 학생을 식별할 수 있다. 셋째, 발달적인 측면에서 학생의 창의성 수준을 파악하고, 적절하게 피드백해 줄 수 있다. 어느 한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 그것을 스스로 생각해낸 것인지, 비슷한 다른 아이디어에서 차용한 것인지는 학생 스로가 가장 잘 알 것이다.
동료 평가가 외부적 입장의 창의성 평가의 대안이 될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동료 평가는 자기 평가보다 객관적인 기준이면서 같은 초등학생 수준에서 평가하므로 교사나 부모와 같은 외부적 입장에서의 창의성 평가의 대안이 될 수 있다(Newton, 201). 임채성(2012)이 강조한 초등학생 수준의 lite-c 창의성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동년배 학생들의 창의성 인식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창의성의 평가방식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 그러면 학생의 과학창의성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창의성의 평가 방식에는 학생의 창의성에 대한 인지․정의․기능적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 독창성, 유창성, 정교성, 유연성 등 지금껏 밝혀진 다면적 요소로 평가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박병기와 유경순, 20). 앞서 밝힌 영역 특수적 입장에 따라 정의한 과학창의성을 평가하는 방식은 바로 과학 교과에서 학생이 산출한 산물에 대하여 평가 공식을 적용하여 평가하는 것이다(임채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민주, 임채성(2018).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37(4), 440-454. 

  2. 박병기, 유경순(2000).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구조. 교육심리연구, 14(2), 235-261. 

  3. 임채성(1997). 협동학습의 대뇌생물학적 기초: 아이디어-공유 창출 모델. 생물교육 (구 생물교육학회지), 25(2), 143-155. 

  4. 임채성(2012). 뇌기반 진화적 접근법에 따른 창의적 과학 문제해결 지도 모형 개발. 생물교육, 40(4), 429-452. 

  5.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6. 최인수(2000). 유아용 창의성 측정도구에 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0(2), 139-166. 

  7. Bandura, A. (1993). Perceived self-efficacy in cognitive development and functio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8(2), 117-148. 

  8. Barbera, E. (2009). Mutual feedback in e portfolio assessment: an approach to the netfolio system.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0(2), 342-357. 

  9. Barrett, P. (2007).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djudging model f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5), 815-824. 

  10. Beghetto, R. A. & Kaufman, J. C. (2007).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 73. 

  11. Besancon, M., Fenouillet, F. & Shankland, R. (2015). Influence of school environment on adolescents’ creative potential, motivation and well-being.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178-184. 

  12. Boud, D. & Falchikov, N. (1989). Quantitative studies of student self-assessment in higher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of findings. Higher Education, 18, 529-549. 

  13. Callahan, C. M. & Miller, E. M. (2005). A child-responsive model of giftedness. Conceptions of Giftedness, 2, 38-51. 

  14. Colman, A. M. (2003). A dictionary of psychology (2 ed.): Oxford University Press. 

  15.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NY: Psychology Press. 

  16. Cropley, A. J. (2001). Creativity in education and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London: Kogan Page. 

  17. Fox, S. & Dinur, Y. (1988). Validity of self-assessment: A field evaluation. Personnel Psychology, 41, 581-592. 

  18. Hickey, M. (2001). An application of Amabile’s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for rat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s musical compositions.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9(3), 234-244. 

  19.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3. 

  20. Kaufman, J. C. & Beghetto, R. A. (2009). Beyond big and little: The four c model of creativity.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13(1), 1-12. 

  21. Knowles, M. S., Holton, E. F., III. & Swanson, R. A. (2005). The adult learner (6th Ed.). Burlington, MA: Elsevier. 

  22. Locicero, K. A. & Ashby, J. 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in middle school age gifted students: A comparison to peers from the general cohort. Roeper Review, 22(3), 182-185. 

  23. Mumford, M. D. (2003). Where have we been, where are we going? Taking stock in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5(2-3), 107-120. 

  24. Newton, D. P. (2010). Assessing the creativity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elementary science: An insider-outsider view of intuitive assessment in the hypothesis space. Research in Science & Technological Education, 28(3), 187-201. 

  25.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Thousand Oaks, CA: Sage. 

  26. Renzulli, J. S. (2003).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 75-87. 

  27. Rosenthal, R. & Rosnow, R. L. (1991). Essentials of behavioral research: Methods and data analysis. New York: McGraw-Hill. 

  28. Ross, J. A., Rolheiser, C. & Hogaboam-Gray, A. (1999). Effect of self-evaluation on narrative writing. Assessing Writing, 6(1), 107-132. 

  29. Ross, J. A. (2006).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utility of self-assessment.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and Evaluation, 11(10), 1-13. 

  30. Runco, M. A. (2004). Everyone has creative potential. In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Singer, J. L. (Eds.), Creativity: From potential to realization. (pp. 21-30).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1. Runco, M. A. (2007b). Creativity: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an Diego, CA: Academic Press. 

  32. Runco, M. A. & Jaeger, G. J. (2012). The standard definition of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4(1), 92-96. 

  33. Sitzmann, T., Ely, K., Brown, K. G. & Bauer, K. N. (2010). Self-assessment of knowledge: A cognitive learning or affective measure?.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9(2), 169-191. 

  34. Sowden, P. T. & Dawson, L. (2011, November). Creative feelings: The effect of mood on creative ideation and evaluation. In Proceedings of the 8th ACM Conference on Creativity and Cognition (pp. 393-394). ACM. 

  35. Sung, Y.-T., Chang, K.-E., Chiou, S.-K. & Hou, H.-T. (2005).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a web-based selfand peer-assessment system. Computers and Education, 45(2), 187-202. 

  36. Treffinger, D. J. (2009). Myth 5: Creativity is too difficult to measure. Gifted Child Quarterly, 53(4), 245-247. 

  37. Weisberg, R. W. (1993). Creativity: Beyond the myth of genius. WH Freeman New York.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