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지의 기준증발산 격자자료 비교평가: 2016-2019년의 사례연구
A Comparison between the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Products for Croplands in Korea: Case Study of 2016-2019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6 pt.1, 2020년, pp.1465 - 1483  

김서연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정예민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조수빈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윤유정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  김나리 (부경대학교 지오메틱연구소) ,  이양원 (부경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과학부 공간정보시스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증발산은 토양으로부터 발생하는 증발과 식물의 잎에서 발생하는 증산을 통칭하는 것으로, 물 수지, 가뭄, 작물생장, 기후변화 등의 모니터링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실제증발산은 식생 지표면의 물 소비량 또는 물 필요량이며 기준증발산에 작물계수를 곱하여 구하므로, 농지의 실제증발산을 구하기 위해서는 기준증발산의 계산이 정확히 이루어져야 한다. 격자형 기준증발산을 합리적으로 산출하기 위하여 그동안 많은 노력들이 있었고 복수의 산출물이 제공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FAO56-PM, LDAPS, PKNU-NMSC, MODIS 기준증발산 산출물을 비교평가 함으로써, 우리나라처럼 복합적이고 이질적인 지표면에서 국지적 규모의 수문 및 농업 분야에 활용하기 위하여 어떤 기준증발산 산출 방법이 적합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6~2019년 3~11월의 1일 단위 자료와 8일 합성 자료를 기상청 현장관측치와 비교하여 지점별, 연도별, 월별로 분석하고 시계열변화를 검토한 결과, 기계학습을 통해 우리나라 농지에 대한 지역최적화가 상당히 잘 수행된 PKNU-NMSC 자료의 정확도가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산출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연구에서는 FAO56-PM, LDAPS, MODIS 산출물에 내재한 정확도 특성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기준증발산 자료 사용에 있어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vapotranspiration i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evaporation from soil and the transpiration from the plant leaf. It is an essential factor for monitoring water balance, drought, crop growth, and climate change. Actual evapotranspiration (AET) corresponds to the consumption of water from the land s...

주제어

표/그림 (2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렇듯 다양한 격자형 증발산 자료가 존재하지만, 우리나라처럼 복합적이고 이질적인 지표면에서 국지적 규모의 수문 및 농업 분야에 활용하기 위해서 어떤 증발산 자료가 적합한지 살펴보는 비교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복잡지형에 적합한 공간해상도(500 m~1.5 km)와 수문 및 농업 분야에 적용가능한 시간해상도(1일~8일)를 기준으로 하여 MODIS, LDAPS, PKNU-NMSC 기준증발산 산출물을 비교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최근의 수치예보 모델은 FAO56-PM 방정식에 필요한 기상변수를 모두 격자형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우리나라 농지에 직접 FAO56-PM 방정식을 적용하여 도출한 기준증발산 격자형 자료도 비교대상에 포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llen, R. G., L. S. Pereira, D. Raes, and M. Smith, 1998. Crop evapotranspiration-Guidelines for computing crop water requirements,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56, FAO, Rome, ITA. 

  2. Allen, R. G., M. Tasumi, and R. Trezza, 2007. Satellite-based energy balance for mapping evapotranspiration with internalized calibration (METRIC)-Model,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133(4): 380-394. 

  3. Baik, J. and M. Choi, 2015. Evaluation of geostationary satellite (COMS) based Priestley-Taylor evapotranspiratio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59: 77-91. 

  4. Kendy, E., P. Gerard-Marchant, M. T. Walter, Y. Zhang, C. Liu, and T. S. Steenhuis, 2003. A soil-water-balance approach to quantify groundwater recharge from irrigated cropland in the North China Plain, Hydrological Processes, 17(10): 2011-2031. 

  5. Khan, M. S., U. W. Liaqat, J. Baik, and M. Choi, 2018. Stand-alone uncertainty characterization of GLEAM, GLDAS and MOD16 evapotranspiration products using an extended triple collocation approach,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52: 256-268. 

  6. Kim, N., K. Kim, S. Lee, J. Cho, and Y. Lee, 2020. Retrieval of daily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for croplands in South Korea using machine learning with satellite images and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data, Remote Sensing, 12(21): 3642. 

  7. Lee S., K. Kim, Y. Kim, J. Kim, S. Park, Y. Yun, N. Kim, and Y. Lee, 2018. Deep learning-based estimation and mapping of evapotranspiration in cropland using local weather prediction model and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18(3): 105-1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erlin, O., J. Chirouze, A. Olioso, L. Jarlan, G. Chehbouni, and G. Boulet, 2014. An image-based foursource surface energy balance model to estimate crop evapotranspiration from solar reflectance/thermal emission data (SEB-4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188-203. 

  9. Steduto P., T. C. Hsiao, E. Fereres, and D. Raes, 2012. Crop yield response to water,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66, FAO, Rome, ITA. 

  10. Sumner, D. M., 2001. Evapotranspiration from a Cypress and Pine Forest Subjected to Natural Fires, Volusia County, Florida, 1998-99. https://pubs.er.usgs.gov/publication/wri014245, Accessed on Dec. 22, 2020. 

  11. Thornthwaite, C. W., 1948. An approach toward a rational classification of climate, Geographical Review, 38(1): 55-94. 

  12. Zhuang, Q. and B. Wu, 2015. Estimating evapotranspiration from an improved two-source energy balance model using ASTER satellite imagery, Water, 7(12): 6673-66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