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 평가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Outpatient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3, 2020년, pp.259 - 270  

이미경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정정희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  이은아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  오경화 (삼성서울병원 간호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nursing competencies of outpatient nurses, to develop a tool to assess the same, and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tool. Method: Preliminary items of the scale were develope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nurses' interviews. The tool's content...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연구에서 아직 확인되지 않은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을 도출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도구는 전문화된 외래간호 인력을 양성하고외래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9개의 하부요인으로 구성된 도구이다.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에 대한 속성을 확인하고 도구를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간호역량 평가도구는 외래간호사들에게 요구되는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과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을 도출하여 이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함으로써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역량 증진 및 외래간호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의 간호역량을 평가할 수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외래간호에 대한 개념적 기틀은 미국외래간호학회(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AAACN) [14]에서 제시한 외래간호의 개념적 기틀을 바탕으로 외래간호의 영역을 임상실무 역할, 조직적·시스템적 역할, 전문적 역할로제시한 Mastal [15]의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각 영역별로 상급종합병원 외래간호사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KS, Kang HS, Kim JH, Son HM, Han HJ, Sung YH, et al. Job description of the nurses working in outpatient department by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8;14(2):31-45. 

  2. Park GW, Park KT. A study regarding service quality features of hospitalized patients and outpatients in general hospitals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 The Korea Service Management Society Symposium. 2007;5:45-77. 

  3. Rho MJ, Suh WS, Kwon J. Medical service factors associated with patient satisfaction: the difference between inpatient and outpatient of a medium sized hospit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3;11(2):331-33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2.331 

  4. Hwang HY, Park JH, Kim JS, Chen IS, Bae KO, Seo MS, et al. A study on the performance and the importance of ambulatory nursing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7;13(1): 109-117. 

  5. Song MR, Park KJ.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ambulatory care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4):451-461. 

  6. Spencer LM, Spencer SM.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 Sons; 1993. p. 349-358. 

  7. Green PC. Building robust competencies: Linking human resource system to organizational strategies. 1st ed. SanFrancisco, Calif.: Jossey-Bass; 1999. p. 199-204. 

  8. Jang KS.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2000. 201 p. 

  9. Kang YS, Lee SJ, Kim IJ, Ahn KH. A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of nursing competence for nurses working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8;14(3):219-228. 

  10. Lim CH. The effect of core competencies of hospital nurs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master's thesis]. Chunbuk: Chunbuk National University; 2012. 139 p. 

  11. Hass S, Swan BA, Haynes T. Developing ambulatory care registered nurse competencies for care coordination and transition management. Nursing Economics. 2013;31(1): 44-49. 

  12. Sung YH, Park JS. Analysis of nursing activities in ambulatory units of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3;9(1):5-18. 

  13. Min MG, Yu SY. Developing of a tool for ambulatory care nurse competenci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7;23(1):90-100.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1.90 

  14.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American academy of ambulatory care nursing position statement: the role of the registered nurse in ambulatory care. Nursing Economics. 2011;29(2):96, 66. 

  15. Mastal MF. Ambulatory care nursing: growth as a professional specialty. Nursing Economics. 2010;28(4):267-269. 

  16. Tak JK. Psychological testing: a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nd evaluation method. 2nd ed. Seoul: Hakjisa; 2007. p.187-188. 

  17. Park JE, Kim SS.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y scale according to a clinical ladder system for intensive car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3;19(4):501-512.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4.501 

  18. Park MR, Kim NC. Development of a nursing competence measurement scale according to nurse's clinical ladder in general ward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4;20(3):257-271.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3.257 

  19. Youk SY. Nursing competency and indicator development by emergency nurse's clinical ladd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03;9(3):481-494. 

  20. Choi JS, Eun YA. Study on the clinical competence according to clinical ladder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06;12(1):60-69. 

  21. Jeong KS. Improvement of medical service function and reinforcement of trust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medical delivery system. Research Institute for Healthcare Policy Korean Medica Association. 2020;17(4):16-17. 

  22. Allen JW. Transitioning the RN to ambulatory care: an investment in orientation.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2016;40(2):115-121. https://doi.org/10.1097/naq.0000000000000151 

  23. Carper BA. Fundamental patterns of knowing in nursing. Advanced in Nursing Science. 1978;1(1):13-23. 

  24. Hair JF, Anderson RE, Tatham RL, Black WC.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995. p. 708-74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