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용 공간의 접근성을 고려한 대학 기숙사 공실 배정에 관한 연구: A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Room Assignment Considering Accessibility in a University Dormitory: A Case Study for University A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148 - 154  

김나영 (해군사관학교 국방경영학과) ,  이진호 (해군사관학교 국방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대학 기숙사에서 이용 빈도가 높은 특정 공용 공간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공실 배정에 대해 고려한다.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학년에 따른 이용 빈도의 차이를 반영하여 학생들의 개인 공실에서 특정 공용 공간까지의 총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정수계획법 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각 공실의 최대 허용 인원을 제한하고 하나의 공실에는 같은 학년으로만 배정되도록 제약하였으며, 제시된 모델은 공급사슬관리에서 다루는 입지 선정 문제와 유사함을 보여준다. 사례 연구를 위하여 제시된 정수계획법 모델을 A대학교 기숙사에 적용하여, 소규모 그룹에 대한 공실 배정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특정 공용 격실을 이용하는 횟수가 많은 저학년 학생일수록 접근성을 고려하여 가까운 곳에 배정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고학년부터 공실 배정에 대한 우선순위를 부여할 경우, 저학년이 우선적으로 배정될 때 벌과비용을 목적함수에 추가함으로써 이를 방지하도록 하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공용 공간에 대한 학생들의 복합적인 요구들에 부합하도록 공실을 배정하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s room assignments to improve accessibility in a university dormitory depending on the student grade, taking into account frequency of using a certain common space.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is presented to minimize the total moving distance from the common space to th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대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보장하고 거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특정 공용 공간과의 거리를 최소화하도록 기숙사의 방을 배정하는 최적화 모델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기숙사에서 이용 빈도가 높은 특정 공용 공간을 고려하여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공실 배정 에 대하여 고려하였다. 접근성 향상을 수치화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개인 공실에서 특정 공용 공간까지의 총 이동거리를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채택하는 정수계획법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기숙사에서 대학생들 개개인이 만족하는 공용 공간의 위치와 개인의 거주형태가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 이유는 무엇인가? 공용 공간 이라 하면 학생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휴게실, 매점, 식당, 자습실, 세미나실, 창고, 체력단련실, 컴퓨터실 등을 말한다. 대학생들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그들이 선호하는 공용 공간과 그 횟수가 다르며, 공용 공간의 위치가 이용정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1]. 또한, 교육 측면에서 대학 기숙사의 전반적인 시설수준이 양호할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2], 대학생의 거주형태는 대학교육에서 의미 있는 교육환경 변인이다[3]. 따라서 대학기숙사에서 대학생들 개개인이 만족하는 공용 공간의 위치와 개인의 거주형태가 결국 학업성취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대학 기숙사란 무엇인가? 대학 기숙사란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숙식을 제공하는 공동주거체계를 말하며, 학생 개개인이 거주 하는 사적인 공간 이외에도 공용 공간이 있다. 공용 공간 이라 하면 학생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휴게실, 매점, 식당, 자습실, 세미나실, 창고, 체력단련실, 컴퓨터실 등을 말한다.
대학 기숙사에서 공용 공간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대학 기숙사란 대학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숙식을 제공하는 공동주거체계를 말하며, 학생 개개인이 거주 하는 사적인 공간 이외에도 공용 공간이 있다. 공용 공간 이라 하면 학생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공간으로 휴게실, 매점, 식당, 자습실, 세미나실, 창고, 체력단련실, 컴퓨터실 등을 말한다. 대학생들의 성별 및 전공에 따라 그들이 선호하는 공용 공간과 그 횟수가 다르며, 공용 공간의 위치가 이용정도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T. K. Lee, W. R. Choi, K. H. Lee, “A study on the public space usage pattern in university dormitories,”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6, No. 2, pp. 147-150, Oct. 1986. 

  2. M.-S. Baik, S.-S. Keum, "Research on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s on the spatial features of a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8, pp. 4901-4907, 2014.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4.15.8.4901 

  3. H. Jeon, “The impact of on-campus residence on early institutional commitment among college freshmen: a focus on faculty and peer interactions,” Korean Education Inquiry, Vol. 35, No. 4, pp. 37-63, 2017. DOI: https://dx.doi.org/10.22327/kei.2017.35.4.037 

  4. B.-H. Song, J.-W. Roh, “A study 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 a residence hal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 20, No. 1, pp. 59-67, 2004. 

  5. S.-H. Kim, M.-J. Jeon, N.-N. Song, M.-K. Kim, “Use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for the planning of shared space in college dormitory,”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ol. 20, No. 3, pp. 161-162, Oct. 2018. 

  6. D.-Y. Kim, Y.-W. Hwang, “A study on evaluation of the residential facilities satisfaction in the D-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n Hosuing Association, Vol. 19, No. 2, pp. 63-72, 2008. 

  7. M.-H. Kim, J.-Y. Oh, “University students’ housing satisfaction of the university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ol. 19, No. 6, pp. 145-155, 2008. 

  8. M. S. Kim, Y. Kim, J. H. Kim, “Suggestions on effeicient O&M plan for improving users’ satisfaction on the university dorm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Vol. 24, No. 5, pp. 11-18, 2017. DOI: https://dx.doi.org/10.7859/kief.2017.24.5.011 

  9. O.-S. Lee, M.-J. Hong, H.-J. Gu,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life stress, depression and college adjustment residing in the dormitor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9, pp. 483-492, 2016.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6.17.9.483 

  10. G. Moon, H. Jung, "Minimization of rack and board moving distance of PCB assembler using neighborhood positioned identical components", IE Interfaces, Vol.18, No.3, pp.297-307, 2005. 

  11. J. Lee, H. Im, S. Sohn, S. Ko, K. Hong, S. Choi, S. Seo, C. Lee, “Airport security process improving for advanced operation and smart airport framework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ol. 39, No. 2, pp. 129-134, 2013. DOI: https://dx.doi.org/10.7232/JKIIE.2013.39.2.129 

  12. S. Chopra, P. Meindl, "Supply Chain Management: Strategy, Planning and Operation," pp. 140, Pearson, 2013. 

  13. GAMS Development Corporation, The general algebraic modeling system (GAMS), Available From: http://www.gams.com (accessed Aug. 18,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