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체력 측정 결과와 보행 특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Gait Parameters and Senior Fitness Variables in Korean Elderly Peopl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208 - 215  

주지용 (전남대학교 체육학과) ,  황연희 (전남대학교 체육학과) ,  김영관 (전남대학교 체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5세에서 85세 사이의 남녀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노인 체력 측정과 보행 검사를 실시하여 노인의 체력 변인과 보행 특성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에서 85세 사이의 노인 200명으로 노인 체력 검사(Senior Fitness Test) 항목 6개와 추가 체력검사 3개(수직점프, 외발서기, 악력) 및 보행 측정을 수행하였다. 보행은 신발에 장착된 가속도계 기반 보행 측정 장비를 사용하였다. 이원분산분석, 주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연령에 따른 영향과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 나이에 따라 보행 능력(보장, 6분 걷기), 제지방량, 체력(아령 들기)의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p<.05). 33개의 체력 및 보행 변인을 대상으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의 주성분(보행 특성, 신체 특성, 보행 가변성, 체지방 요인, 체력 요인)이 나타났으며 전체 가변성의 64.7% 설명력을 나타냈다. 보행 시 편한 보속은 보폭, 외발지지 시간과는 정적 상관, 양발지지 시간, 보행 가변성 변인들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p<.05). 노인들의 삶의 질을 유지하려면 보행 능력이 매우 중요하며 이것은 근력운동을 통해 유지 또는 개선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gait variables and physical fitness variables for Korean elderly people. Two hundred elderly people aged 65 to 85, (100 men and 100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performed senior fitness test consisting of 6 tests, 3 additional physical tests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행 능력이 노인들의 건강 지표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성별과 나이에 따른 건강 체력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런 체력 변인들과 보행 특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보행 개선에 필요한 요인들이 있다면 찾고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보행 능력이 노인들의 건강 지표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는 성별과 나이에 따른 건강 체력 요인들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런 체력 변인들과 보행 특성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보행 개선에 필요한 요인들이 있다면 찾고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65세 이상 85세 이하 남녀 20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 체력 검사와 보행 특성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변화를 보니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보행 능력 일부(보장)과 심폐지구력 및 근체력(6분 걷기, 제지방량, 아령 들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을 전기 노인(75세 미만)과후기 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나이와 성별이 노인체력과 보행 변인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살펴보았다. 통계 결과 나이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 체력 검사란 무엇인가? 노인들의 일상생활 활동 능력을 신체적 기능 평가로 측정하는 것이 노인 체력 검사(senior fitness test,SFT)이다[10]. 의자에 앉아 앞으로 굽히기, 등 뒤로 손잡기, 의자 앉았다 일어나기, 아령 들기, 2.
건강 수명은 어떠한 신체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건강 수명은 다양한 신체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 각종성인병질환(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 영향을 주지만, 근력, 심폐지구력, 근지구력, 유연성 등 체력 요인도 큰 영향을 준다. 따라서, 운동을 통해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적정 수준의 체력을 유지하는 것이 노인들에게 필요하다[3,4,5].
적절한 보행 활동의 기능은 무엇인가? 적절한 보행 활동은 체력을 유지시켜 주고 질병을 예방해 주는 기능이 있다. 보행은 저·중강도 신체 움직임이지만 적절한 강도로 운동을 지속되면 근위축 현상을 막아주고, 관상 동맥 질환 및 제 2형 당뇨 등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도 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tatistics Korea, "Life table", 2019. 

  2. Statistics Korea, "Prospective Population Estimates", 2019 

  3. J. O. Holloszy, J. A. Faulkner, S. V.Brooks, E. Zerba. "Muscle atrophy and weakness with aging: contraction-induced injury as an underlying mechanism",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50 pp.124-129, Nov, 1995. DOI: https://doi.org/10.1093/gerona/50A.Special_Issue.124 

  4. A. R. Luff, "Age­associated changes in the innervation of muscle fibers and changes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otor unit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854, No.1, pp.92-101, Feb, 1998. DOI: https://doi.org/10.1111/j.1749-6632.1998.tb09895.x 

  5. W. D. McArdle, F. I. Katch, V. L. Katch, Exercise physiology: nutrition, energy, and human performance, p.696,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6. T. M. Gill, C. S. Williams, M. E. Tinetti, "Assessing risk for the onset of functional dependence among older adults: the role of physical performanc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43, No.6, pp.603-609, Jun, 1995.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5.tb07192.x 

  7. J. Verghese, R. Holtzer, R. B. Lipton,C. Wang, "Quantitative gait markers and incident fall risk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Vol.64, No.8, pp.896-901, Aug, 2009. DOI: https://doi.org/10.1093/gerona/glp033 

  8. J. Schlicht, D. N. Camaione, S. V. Owen, "Effect of intense strength training on standing balance, walking speed, and sit-to-stand performance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Vol.56, No.5, pp.281-286, May, 2001. DOI: https://doi.org/10.1093/gerona/56.5.M281 

  9. R. L. Cromwell, R. A. Newton, J. A. Grisso, W. F. Edwards, "Relationship between select balance measures and a gait stability ratio in individuals who are known fallers", Control of Posture and Gait. Maastricht, The Netherlands, 2001. 

  10. M. A. Bhamani, M. M. Khan, M. S. Karim, M. U. Mir, "Depression and its association with functional status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elderly in Karachi", Pakistan. Asian Journal of Psychiatry, Vol.14, pp. 46-51, Apr, 2015 DOI: https://doi.org/10.1016/j.ajp.2014.12.004 

  11. R. E. Rikli, C. J. Jon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riterion-Referenced Clinically Relevant Fitness Standards for Maintaining Physical Independence in Later Years", The Gerontologist, Vol.53, No.2, pp.255-267, Apr, 2013. DOI: https://doi.org/10.1093/geront/gns071 

  12. K. Hesseberg, H. Bentzen, A. Bergland, "Reliability of the senior fitness test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Physiotherapy Research International, Vol.20, No.1, pp.37-44, Mar; 2015. DOI: https://doi.org/10.1002/pri.1594 

  13. F. Todde, F. Melis, R. Mura, M. Pau, F. Fois, S. Magnani, "A 12-week vigorous exercise protocol in a healthy group of persons over 65: study of physical function by means of the senior fitness test.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Vol.2016, pp.1-6, Apr, 2016. DOI: http://dx.doi.org/10.1155/2016/7639842 

  14. E. P. Washabaugh, T. Kalyanaraman, P. G. Adamczyk, E. S. Claflin, C. Krishnan, "Validity and repeatability of inertial measurement units for measuring gait parameters", Gait & posture, Vol.55, pp.87-93. Jun, 2017. DOI: https://doi.org/10.1016/j.gaitpost.2017.04.013 

  15. Y. K. Kim, J. Y. Joo, S. H. Jeong, J. H. Jeon, D. Y. Jung, "Effects of walking speed and age on the directional stride regularity and gait variability in treadmill walking",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0, No.6, pp.2899-2906, Jun, 2016. 

  16. B. L. Neugarten, J. W. Moore, J. C. Lowe, "Age norms, age constraints, and adult socializa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70, No.6, pp.710-717. May, 1965. 

  17. K. C. Lim, S. Kim,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in Older Koreans: Comparison of Young-old and Old-ol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1 No.1, pp.1-10, Mar, 2012. 

  18. E. Perissinotto, C. Pisent, G. Sergi, F. Grigoletto, G. Enzi, "Anthropometric measurements in the elderly: age and gender differences",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87, No.2, pp.177-186. Feb, 2002. DOI: https://doi.org/10.1079/BJN2001487 

  19. R. P. Wilder, J. A. Greene, K. L. Winters, W. B. Long III, K. D. Gubler, R. Edlich, "Physical fitness assessment: an update", Journal of Long-term Effects of Medical Implants, Vol.16, No.2, pp.193-203, 2006. DOI: https://doi.org/10.1615/JLongTermEffMedImplants.v1 6.i2.90 

  20. J. Y. Lee, Development of gait analysis algorithm for hemiplegic patients based on accelerometry,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seoul, Korea, pp.33-34, 2004. 

  21. U. G. Kyle, L. Genton, D. Hans, L. Karsegard, D. O. Slosman, "Age-related differences in fat-free mass, skeletal muscle, body cell mass and fat mass between 18 and 94 year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55, No.8, pp.663-72, Aug, 2001. DOI: https://doi.org/10.1038/sj.ejcn.1601198 

  22. J. Tichet, S. Vol, D. Goxe, A. Salle, G. Berrut, "Prevalence of sarcopenia in the French senior popula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Vol.12, No.3, pp.202-206, Mar, 2008. 

  23. Y. Rolland, V. Lauwers-Cances, M. Cournot, F. Nourhashemi, W. Reynish, D."Sarcopenia, calf circumference, and physical function of elderly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51, No.8, pp.1120-1124, Jul, 2003. DOI: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3.51362.x 

  24. R. N. Baumgartner, K. M. Koehler, D. Gallagher, L. Romero, S. B. Heymsfield,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47. No.8, pp.755-763, Apr, 1998. DOI: https://doi.org/10.1093/oxfordjournals.aje.a009520 

  25. S. U. Ko, S. Stenholm, E. J. Metter, L. Ferrucci, "Age-associated gait patterns and the role of lower extremity strength-results from the Baltimore Longitudinal Study of Aging"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Vol.55, No.2, pp.474-479, Oct, 2012. DOI: https://doi.org/10.1016/j.archger.2012.04.004 

  26. A. C. Rencher, W. F. Christensen, Methods of Multivariate Analysis 3rd Edition, p.800, Wiley, 2012, pp.800. 

  27. H. Sung, "Impacts of Walking Activity in Daily Life on Individual Health Improvement"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Vol.62, pp.43-63, Nov, 2003. 

  28. S. H. Shin, "Analysis of the effect of obesity on gait performance and variability in old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53, No.3, pp.759-767, May, 2014. 

  29. C. S. Chung, I. S. Shin, J. S. Seo, S. D. Eun, "The Analysis of a Gait Pattern and the Mechanical Efficiency on Ages and Speed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ol.10, No.2, pp.205-219, Jan, 2001. 

  30. A. P. Hills, E. M. Hennig, M. McDonald, O. Bar-Or,"Plantar pressure differences between obese and non-obese adults: a biomechanical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25, No.11, pp.1674-1979, Nov, 2001. 

  31. M. D. Tsiros, A. M. Coates, P. R. C. Howe, P. N. Grimshaw, J. D. Buckley, "Obesity: the new childhood disability?", Obesity Reviews, Vol.12, No.1, pp.26-36, Dec, 2010, DOI: https://doi.org/10.1111/j.1467-789X.2009.00706.x 

  32. S. A. Studenski, "Gait speed in hospitalized older people: comment on "assessing gait speed in acutely ill older patients admitted to an acute care for elders hospital unit",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Vol.172, No.4, pp.358-359, Feb, 2012. DOI: https://doi.org/10.1001/archinternmed.2011.1951 

  33. J. S. McPhee, D. P. French, D. Jackson, J. Nazroo, N. Pendleton, H. Degens, "Physical activity in older age: perspectives for healthy ageing and frailty", Biogerontology, Vol.17, No.3, pp.567-580, Jun, 2016. 

  34. M. H. Park, H. J. Park, D. W. Oh,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walking ability in elderly: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3, No.6, pp.2664-2671, Jun, 2012. DOI: https://doi.org/10.5762/KAIS.2012.13.6.2664 

  35. Y. S. Park, S. N. Lee, "An Analysis of Gait Variables by Muscle Strength Imbalance of Low Extremity and Descent-Stair Walking in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Vol.20, No.2, pp.127-132,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