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의 분절음 및 단어 길이
Segment and Word Duration Produced by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4, 2020년, pp.291 - 305  

강은영 (호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duration of speech segments reflects children's speech motor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segmental sound and word duration varies by age among preschool children. Methods : A total of 60 children aged 4~5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어두 초성에 위치한 18개 자음과 어말 종성에 위치한 7개 자음의 길이를 측정하여 연령,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삼원대립체계를 이루는 파열음의 발성개시시간(Voice onset time, 이하 VOT로 명명함)이 연령과 발성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어두 초성 자음에 후행하는 모음이 자음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 연령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는 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 어두 초성 자음에 후행하는 모음이 자음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 연령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는 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단어 수준에서 연령과 음절 수에 따른 단어 길이가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말소리 습득의 시기에서 정교화기에 해당하는 4세 아동과 안정기에 해당하는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단어와 분절음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말소리 발달과 말 운동 통제 능력의 연령별 차이를 규명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어두 초성과 어말 종성에서 자음의 길이, 초성 자음에 후행하는 모음의 길이를 측정하여 연령,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따른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 습득 시기 중 정교화기에 해당하는 4세 아동과 안정기에 해당하는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분절음과 단어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말소리 발달과 말 운동 통제 능력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어두 초성에 위치한 18개 자음과 어말 종성에 위치한 7개 자음의 길이를 측정하여 연령,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또한 삼원대립체계를 이루는 파열음의 발성개시시간(Voice onset time, 이하 VOT로 명명함)이 연령과 발성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어두 초성 자음에 후행하는 모음이 자음의 조음위치 및 조음방법, 연령에 따른 영향을 받고 있는 지도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단어 수준에서 연령과 음절 수에 따른 단어 길이가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말소리 습득 시기 중 정교화기에 해당하는 4세 아동과 안정기에 해당하는 5세 아동을 대상으로 분절음과 단어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말소리 발달과 말 운동 통제 능력의 차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어두 초성에 위치한 18개 자음과 어말 종성에 위치한 7개 자음의 길이를 측정하여 연령, 조음위치, 조음방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삼원대립체계를 이루는 파열음의 발성개시시간(Voice onset time, 이하 VOT로 명명함)이 연령과 발성유형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hn ML, Kim UM, Kim TK(2004). The acquisition process of vowel system in Korea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5(1), 1-11. 

  2. Gerosa M, Lee S, Giuliani D, et al(2006). Analyzing children's speech: an acoustic study of consonants and consonant-vowel transition. 2006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Proceedings, I-I. https://ieeexplore.ieee.org/document/1660040. 

  3. Ha JW, Kim SJ, Kim YT, et al(2019). Developmental analysis in Korean children's speech production using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whole-word measurements. Commun Sci Disord, 24(2), 469-477. https://doi.org/10.12963/csd.19622. 

  4. Jung HW, Choi SY, Hwang MN, et al(2014). Word frequency and length effects on the lexical decisions of adults with anomic aphasia. Commun Sci Disord, 19(1), 80-88. https://doi.org/10.12963/csd.13080. 

  5. Juste FS, Rondon S, Sassi FC, et al(2012). Acoustic analyses of diadochokinesis in fluent and stuttering children. Clinics, 67(5), 409-414. https://doi.org/10.6061/clinics/2012(05)01. 

  6. Kim HG(2011). Spectrum urimal test of pronunciation. 1st ed, Jeonju, Om Sound. 

  7. Kim M, Stoel-Gammon C(2010). Segmental timing of young children and adults. Int J Speech Lang Pathol. 12(3), 221-229. https://doi.org/10.3109/17549500903477363. 

  8. Kim MJ, Pae SY(2000). Phonological error patterns of Korean children with specific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ci, 7(2), 7-18. 

  9. Kim SJ, Shin JY(2015). Speech sound disorder. 2nd ed, Seoul, Sigmapress, pp.93-99. 

  10. Kim YT, Hong GH, Kim KH, et al(2009).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1st ed,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11. Kim YT, Shin MJ(2004). Urimal test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U-TAP). 1st ed, Seoul, Haksisa. 

  12. Kent RD, Read C(2002).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 Albany, New York, Thomson Learning, pp.204-207. 

  13. Kent RD, Weismer G, Kent JF, et al(1999). Acoustic studies of dysarthric speech: methods, progress, and potential. J Commun Disord, 32(3), 141-186. https://doi.org/10.1016/S0021-9924(99)00004-0. 

  14. Lee HW, Lim YK(2005). Word frequency effects in normal and visually-degraded conditions in Hangul word recognition. Korean J Educ Psychol, 19(3), 821-834. 

  15. Lee SH, Ko HJ(2004). Speech rate and the acoustic features of Korean segments. J Acoust Soc Korea, 23(2), 162-172. 

  16. Lee S, Potamianos A, Narayanan S(1999). Acoustics of children's speech: developmental changes of temporal and spectral parameters. J Acoust Soc Am, 105(3), 1455-1468. https://doi.org/10.1121/1.426686. 

  17. Lee S, Lee Y(2015). Effect of age on the voice onset time of Korean stops in VCV contexts. Phon Speech Sci, 7(3), 37-44. https://doi.org/10.13064/KSSS.2015.7.3.037. 

  18. Macrae T, Robb MP, Gillon GT(2010). Acoustic analysis of word and segment duration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 Asia Pacific J Speech Lang Hear, 13(2), 77-86. https://doi.org/10.1179/136132810805335100. 

  19. Munson B(2004). Variability in /s/ production in children and adults: evidence from dynamic measures of spectral mean. J Speech Lang Hear Res, 47(1), 58-69. https://doi.org/10.1044/1092-4388(2004/006). 

  20. Oh EH(2015). Children's acquisition of segmental duration in different consonantal contexts. Journal of British and America Studies, 34(1), 265-289. 

  21. Robb MP, Tyler AA(1995). Durations of young children's word and nonword vocalizations. J Acoust Soc Am. 98(3), 1348-1354. https://doi.org/10.1121/1.413470. 

  22. Rvachew S, Andrews E(2002). The influence of syllable position on children's production of consonants. Clin Linguist Phon, 16(3), 183-198. https://doi.org/10.1080/02699200110112222. 

  23. Smith BL, Kenney MK, Hussain S(1996).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duration and temporal variability in children's speech production. J Acoust Soc Am, 99(4), 2344-2349. https://doi.org/10.1121/1.415421. 

  24. Tremblay P, Deschamps I, Bedard P, et al(2018). Aging of speech production, from articulatory accuracy to motor timing. Psychol Aging, 33(7), 1022-1034. https://doi.org/10.1037/pag0000306. 

  25. Wertzner HF, Silva LM(2009). Speech rate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phonological disorder. Pro Fono R Atual Cient, 21(1), 19-24. https://doi.org/10.1590/S0104-56872009000100004. 

  26. Whiteside SP, Hodgson C(2000). Speech patterns of children and adults elicited via a picture-naming task: An acoustic study. Speech Communication, 32(4), 267-285. https://doi.org/10.1016/S0167-6393(00)00013-3. 

  27. Woo HK, Kim SJ(2013). Coda sounds acquisition at word medial position in three and four year old children's spontaneous speech. Phon Speech Sci, 5(3), 73-81. https://doi.org/10.13064/KSSS.2013.5.3.0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