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세, 5세, 6세 정상 아동의 한국어 단모음 발달
Korean Monophthong Development in Normal 4-, 5-, and 6-Years-Old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7 no.4, 2019년, pp.89 - 104  

강은영 (호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korean vowels by acoustically analyzing whether children produce Korean vowel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between ages 4 and 6. Methods : A total of 104 children aged 4~6 years (56 males and 48 females) part...

주제어

표/그림 (18)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아들은 어떻게 말소리를 습득하는가? 유아들은 모국어에 최적화된 말 운동 근육의 협응 및 통제 능력을 갖춤으로써 말소리를 습득하게 된다. 유아는 처음에는 자신이 쉽게 움직일 수 있는 근육을 이용하여 말소리를 산출하다가 점차적으로 자신의 모국어에 적합한 구어 패턴을 갖게 된다.
미성숙한 발화는 근골격의 성장뿐만 아니라 어떠한 운동발달과 밀접한 관령성이 있는가? 이러한 과정에서 미성숙한 발화를 산출하게 된다(Green 등, 2000). 미성숙한 발화는 근골격의 성장뿐만 아니라 신경운동발달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Vorperian 등, 2005). 언어 이전기 유아의 발성에서 성인의 구어에 도달하기까지 말의 하부체계인 호흡, 발성, 공명, 조음을 담당하는 해부학적 기관의 성장과 함께 신경운동발달이 진행된다.
Multi-Speech 37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음향학적 방법으로 분석중 무엇이 감소하였는가? 4세, 5세, 6세 연령에서 개구도의 차이, 혀의 전․후 위치, 구강 및 호흡운동조절 능력 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단모음을 발음할 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개구도가 감소하였고, 혀의 위치는 후방화 되었다. 또한 구강 및 호흡운동체계 간 신경 통합을 반영하는 지표인 강도는 4세, 5세, 6세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F1은 4~6세에 연령의 증가에 따라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연령과 성별 간에 상호작용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ML, Kim UM, Kim TK(2004). The acquisition process of vowel system in Korean.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15(1), 1-11. 

  2. Baker KK, Ramig LO, Sapir S, et al(2001). Control of vocal loudness in young and old adults. J Speech Lang Hear Res, 44(2), 297-305. 

  3. Bennett S(1981). Vowel formant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preadolescent males and females. J Acoust Soc Am, 69(1), 231-238. 

  4. Choi EA, Park HS, Seong CJ(2010). The phonatory characteristics of voice in profoundly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reference to Fo, intensity, and their perturbation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2(1), 135-145. 

  5. Green JR, Moore CA, Higashikawa M, et al(2000). The physiologic development of speech motor control: lip and jaw coordination. J Speech Lang Hear Res, 43(1), 239-255. 

  6. Hasek CS, Singh S, Murry T(1980). Acoustic attributes of preadolescent voices. J Acoust Soc Am, 68(5), 1262-1265. 

  7. Im KS(2014). Voic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preschool children. Graduate school of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8. Kent RD(1976). Anatomical and neuromuscular maturation of the speech mechanism: evidence from acoustic studies. J Speech Hear Res, 19(3), 421-447. 

  9. Kent RD, Read C(2002).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 New York, Thomson Learning, pp.195-207. 

  10. Kim CC, Choi JH(1994). A study of acoustic phonetics of korean vowel sounds in the primary denti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21(1), 143-152. 

  11. Kim HG(2009). Experimental phonetic study of Yanjin Sino-Korean dialect.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1), 47-52. 

  12. Kim SH(2008). Fundamental frequencies of korean according to age and gender. Graduate school of Hallym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3. Kim YT, Seong TJ, Lee YK(2003).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PRES). 1st ed, Seoul,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14. Lee S, Potamianos A, Narayanan S(1999). Acoustics of children's speech: developmental changes of temporal and spectral parameters. J Acoust Soc Am, 105(3), 1455-1468. 

  15. Lee S, Iversion GK(2008). The development of monophthongal vowels in Korean: age and sex differences. Clin Linguist Phon, 22(7), 523-536. 

  16. Lee SE(2010).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the speech of hearing-impaired adults: based on suprasegmental factors, speech intelligibility, and speech acceptabilit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Doctoral dissertation. 

  17. Linders B, Messa GG, Boersma B, et al(1995). Fundamental voice frequency and jitter in girls and boys measured with electroglottography: influence of age and height. Int J Pediatr Otorhinolaryngol, 33(1), 61-65. 

  18. McClean MD, Tasko SM(2002). Association of orofacial with laryngeal and respiratory motor output during speech. Exp Brain Res, 146(4), 481-489. 

  19. Oum JH(1994). Normal speech development II. In: Korean society of language pathology, eds, treatment of articulation disorders in children. Seoul, Kunja Publishing Inc, pp.54-66. 

  20. Perry TL, Ohde RN, Ashmead DH(2001). The acoustic bases for gender identification from children's voice. J Acoust Soc Am, 109(6), 2988-2998. 

  21. Reubold U, Harrington J, Kleber F(2010). Vocal aging effects on Fo and the first formant: A longitudinal analysis in adult speakers. Speech Communication, 52(7-8), 638-651. 

  22. Rhee KS, Lee PS, Ok JD(2001). The study about formant of korean vowels for children between 3 to 5 years old.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n), 24(1), 139-148. 

  23. Robb MP, Saxman JH, Grant AA(1989). Vocal fundamental frequency characteristic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life. J Acoust Soc Am, 85(4), 1708-1717. 

  24. Shin JY(2000). Understanding speech sounds. 1st ed, Seoul, Hankookmunhwasa, pp.95-105. 

  25. Song IM, Seong CJ(2018). Characteristics of 2 to 4 year old korean children's production of monophthong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0(1), 65-74. 

  26. Sussman HM, Hoemeke KA, McCaffrey HA(1992). Locus equations as an index of coarticulation for place of articulation distinctions in children. J Speech Hear Res, 35(4), 769-781. 

  27. Ting HN, Zourmand A, Chia SY, et al(2012). Formant frequencies of malay vowels produced by malay children aged between 7 and 12 years. J Voice, 26(5), Printed Online, Doi: 10.1016/j.jvoice.2011.08.008. 

  28. Vorperian HK, Kent RD, Lindstrom MJ, et al(2005). Development of vocal tract length during early childhoo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J Acoust Soc Am, 117(1), 338-350. 

  29. Viegas F, Viegas D, Baeck HE(2015). Frequency measurement of vowel formants produced by brazilian children aged between 4 and 8 years. J Voice, 29(3), 292-298. 

  30. Whiteside SP, Hodgson C(2000). Som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voices of 6-to 10-year-old children and adults: a comparative sex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Logoped Phoniatr Vocol, 25(3), 122-132. 

  31. Yun SY, Kwon DH(1998). Acoustic characteristics of normal children's voice between the age of 5 and 11 years old.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7(1), 67-7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