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환경부 적색목록(관속식물)에 대한 IUCN 지역적색목록 평가적용
Applying IUCN Regional/National Red List Criteria to the Red List (Vascular Plant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4, 2020년, pp.371 - 381  

장진성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  권신영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  손성원 (국립수목원 식물자원연구과) ,  신현탁 (국립수목원 DMZ자생식물연구과) ,  김휘 (목포대학교 식의약자원개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환경부는 2020년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을 통해 멸종위기 야생생물 지정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제시한 지역적색 목록 지침을 준용하기로 정하였고, 적색목록 관속식물 377종을 지정하였다. 본 연구는 IUCN의 지역 적색 평가를 근간으로 평가불가(NA)를 제외한 103종을 선별하고, 국제적 수준의 적색목록 목록평가 가능한 고유종 10종을 제외한 이후 93종에 대한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분석에서 적용 불가 34종이 추가로 확인되어 59종에 대한 지역적색 평가를 적용하였다. 재평가 결과 취약이상의 분류군은 16종으로 CR(위급) 1종, EN(위기) 10종, VU(취약) 5종으로 평가되었고, NT(준위협) 4종과 LC(약관심) 30종, DD(정보부족) 9종을 판정하였다. 환경부 지역적색목록의 평가기준 B의 경우 정량적 분포자료나 지속적인 감속에 대한 자료없이 평가를 시도하여 데이터의 신뢰도가 없었으며 난과에 속한 멸종위기식물은 판정시 필요한 남획의 구체적인 증거나 자료확보가 미비하다. 현재 환경부의 적색목록에 대한 문제점은 객관적 기초 자료가 부재하고 중장기적인 개체군 크기의 증감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이 없어 과학적 평가를 어렵게 하고 있다. 환경부는 법적으로 범주 및 평가에 대한 것을 지정하고 그 기준을 스스로 따르지 못하는 전문성의 결여가 큰 문제로 인식되며, 또한 종의 분포 및 상태에 대한 지리적 및 분류학적 편향성은 자료의 질과 양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고 생물다양성 정책의 발전을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멸종위기종 생물 자료 관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E) is planning to adopt in 2020 the IUCN regional Red List for "Guidelines for listing and delisting rare & endangered species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System". The ME designated 377 species of vascular plants on the regional Red List. In a previous study it...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환경부가 강조하는 지역적색평가작업은 국제적인 적색목록 등재와 더불어 권역내 멸종위기종 보전을 종보전활동의 중심적 역할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한반도 자생 관속식물종에 대해 IUCN의 지역적색 평가기준을 정확히 적용하여 과학적이고 투명한 보전상 지위부여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부의지역적색목록 평가에 기반한 멸종위기종 목록 지정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종합적인 지역적색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확인된 환경부의 적색목록의 가장 심각한 문제점은 남한이라는 고립된 시각에서 경계지역인 북한을 배제하는 것은 물론이고 일본, 대만, 중국 동북부 및 내륙에 분포하는 동일 종에 대한 주변국의 평가나 분포에 대해 전혀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색목록의 평가를 시도한 것이다. 이런 이유로 종 분포에 대한 정보나 정·이명 관계에 대한 좁은 종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자료의 편중성 (즉 위협에 대한 평가 결과의 상승)이 과도하게 표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ckhouse, G. and Cameron, D. 2005. Application of IUCN 2001 Red List Categories in determining the conservation status of native orchids of Victoria, Australia. Selbyana 26: 58-74. 

  2. Bachman, S., Moat, J., Hill, A.W., De La Torre, J. and Scott, B. 2011. Supporting red List threat assessments with GeoCAT: geospatial conservation assessment tool. ZooKeys 150: 117. 

  3. Chang, C.-S. and Kim, H. 2019.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Version 1.16. TB Lee Herbarium. Occurrence dataset https://doi.org/10.15468/fyxnsd accessed via GBIF.org on 2020-07-30. 

  4. Chang, C.S., Kim, H. and Chang, K.S. 2014. Provisional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for the korea peninsula flora. Designpost. Paju, Korea. pp. 660. 

  5. Chang, C.S., Kim, H. and Kim, Y.S. 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1(2): 107-142. (in Korean). 

  6. Chang, C.S., Kim, H., Son, S. and Kim, Y.S. 2016. Red list of selected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n Plant Specialist Group, Pocheon, Korea. pp. 50. 

  7. Chang, C.S., Kim, H.W. and Kim, H. 2017. An assessment and review of IUCN Red List for vascular plants in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6(2): 111-120. 

  8. Chang, C.-S., Kwon, S.Y., Son, S. and Kim, H. 2018. A critical review about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level to Korean endangered vascular plants assess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7(4): 361-377. (in Korean). 

  9. Chang, C.S., Lee, H.S., Park, T.Y. and Kim, H. 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5): 305-320. (in Korean). 

  10. Eaton, M.A., Gregory, R.D., Noble, D.G., Robinson, J.A., Hughes, J., Procter, D., and Gibbons, D.W. 2005. Regional IUCN red listing: the process as applied to birds in the United Kingdom. Conservation Biology 19(5): 1557-1570. 

  11. Environment Agency of Japan. 2014. Threatened Wildlife of Japan-Red Data Book. Vascular Plants, volume 8. Gyosei Co., Tokyo. pp. 660. (in Japanese) 

  12.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498. 

  13. Garavito, N.T., Newton, A.C. and Oldfield, S. 2015. Regional Red List assessment of tree species in upper montane forests of the Tropical Andes. Oryx 49(3): 397-409. 

  14. Greve, M., Lykke, A.M., Fagg, C.W., Gereau, R.E., Lewis, G.P., Marchant, R. and Svenning, J.C. 2016. Realising the potential of herbarium records for conservation biology.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105: 317-323. 

  15. Harris, J.B.C., Reid, J.L., Scheffers, B.R., Wanger, T.C., Sodhi, N.S., Fordham, D.A. and Brook, B.W. 2012. Conserving imperiled species: A comparison of the IUCN Red List and U.S. Endangered Species Act. Conservation Letters 5(1): 64-72. 

  16. IUCN Standards and Petitions Committee. 2019. Guidelines for Using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14. Prepared by the Standards and Petitions Committee. http://www.iucnredlist.org/documents/RedListGuidelines.pdf 

  17.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1a. IUCN Red List criteria review provisional report. http://www.iucn.org/themes/ssc 

  18.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1b. IUCN Red List Categories: Version 3.1. Prepared by the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http://www.iucn.org/themes/ssc 

  19.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2.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sion 4.0. Gland, Switzerland and Cambridge, UK. pp. 44. 

  20.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20.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http://www.iucnredlist.org/ 

  21. Ju, I.Y., Choe, S.C., Kang, C.G., Pak, H.S., Ri, Y.J., Sin, M.H., Jo M.S. and Jang., S.J. 2016. Rare Plants in DPR Korea. Science & Encyclopedia Publishing House., DPR Korea. pp. 159. 

  22. Kim, H., Lee, B.C., Kim, Y.S. and Chang, C.S., 2012. Critiques of 'The endangered and protected wild species list in Korea' proposed by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listing process - Is this the best process for the current national management of endangered wildlife and pla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101(1): 7-19. (in Korean). 

  23. Kwak, M.H., Im, J.A., Lee, S.J., Hong, J.R., Sang, J.Y., Kim, G.G., Kim, T.W., Nam, E.J., Park, T.S., Kim, C.M., An, N.H., Yeom, J.H., Kim, J.S., Kim, J.H., Oh, S.H., Park, G.R., Jo, J.R. and Choi, S.S. 2016. Inventory and management of endemic species of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30. (in Korean). 

  24. Lee, B.C. 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oen-si, Korea. pp. 332. 

  25. Marcer, A., Uribe, F. and Wieczorek, J.R. 2020. Quality issues in georeferencing: from physical collections to digital data repositories for ecological research. Quality issues in georeferencing in Natural History Collections (University Of Warsaw, Poland, 10-13 Feb. 2020). 

  26. Maes, D., Vanreusel, W., Jacobs, I., Berwaerts, K. and Van Dyck, H. 2012. Applying IUCN Red List criteria at a small regional level: A test case with butterflies in Flanders (north Belgium). Biological Conservation 145(1): 258-266.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390.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Guidelines for listing and delisting rare & endangered species and management of endangered Species System. https://www.law.go.kr/admRulLsInfoP.do;jsessionidQ4JNc3DM6MBqsabRyzgH2lk0Pqk11MZtsjSjFTMwmAenuqB3M5vNVLM9b6Fn7SeN.de_kl_a5_servlet_LSW2?admRulSeq2100000055609. (Aug. 5, 2018.) (in Korean). 

  29.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8. A Brief Summary of Endangered Wild Plants and Animal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pp. 242. (in Korean). 

  30. Park, S.K., Kim, H. and Chang, C.S. 2013. Evaluating Red List categories to a Korean endangered species based on IUCN criteria - Hanabusaya asiatica (Nakai) Nakai-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3(2): 128-138 (in Korean). 

  31. Rossi, G., Montagnani, C., Abeli, T., Gargano, D., Peruzzi, L., Fenu, G. and Ravera, S. 2014. Are Red Lists really useful for plant conservation? The New Red List of the Italian Flora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 conservation policies. Plant Biosystems-An International Journal Dealing with all Aspects of Plant Biology, 148(2): 187-190. 

  32. Sharrock, S., Oldfield, S. and Wilson, O. 2014. Plant Conservation Report 2014: a review of progress towards the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 2011-2020. CBD Technical Series, (81). https://www.cbd.int/doc/publications/cbd-ts81-en.pdf 

  33. Sharrock, S., Hoft, R. and Dias, B.F.D.S. 2018. An overview of recent progres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Global Strategy for Plant Conservation-a global perspective. Rodriguesia 69(4), 1489-1511. 

  34. Son, K.N. (Chief editor). 2005. Red Data Book of DPR Korea (Plant). MAB National Committee of DPR Korea, Pyongyang, DPR Korea. pp. 71. 

  35. Yoon, J.W., Yi, M.H. and Kim. Y.S. 2014.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Native Habitats of 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8(3): 331-34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