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디 공분산 플럭스 자료를 이용한 논, 밭, 과수원의 연간 탄소 흡수량 추정 및 비교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Carbon Uptake in Rice Paddy, Dry Cropland and Grove in South Korea using Eddy Covariance Flux Data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9 no.4, 2020년, pp.334 - 342  

허지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  심교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  이병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  김용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  조세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평가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o quantify carbon exchange at agricultural ecosystems in South Korea, net ecosystem exchange (NEE) at three croplands including a rice paddy, a bean field and an apple orchard was measured on the basis of the eddy covariance technique. METHODS AND RESULTS: NEE of CO2 during the grow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업생태계별 탄소 수지를 평가 하기 위해 전라북도 김제시 논(벼, 신동진) 생태계, 밭(콩, 대 찬) 생태계, 경상북도 의성군 과수(사과, 후지)에 대해 플럭스 관측시스템을 구축하고, 미기상학적 방식인 에디공분산 방법으로 2년(2018년~2019년)간 연속적으로 측정된 CO2 플럭스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미기상플럭스 평가를 위한 보조정 보로 농작물 생육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여러 가지 기상인자 (기온, 강수량, 일사량 등) 등 환경요인 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eds.) Pachauri RK, Meyer LA]. P. 151, IPCC, Geneva, Switzerland. 

  2. Smith P, Bustamante M, Ahammad H, Clark H, Dong H, Elsiddig EA, Haberl H, Harper R, House J et al. (2014) Agriculture, forestry and other land use (AFOLU). Climate change 2014: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eds. Edenhofer O et al.), pp. 811-922. Cambridge University Press, UK. 

  3. Gray JM, Frolking S, Kort EA, Ray DK, Kucharik CJ, Ramankutty N, and Friedl MA (2014) Direct human influence on atmospheric CO 2 seasonality from increased cropland productivity. Nature, 515, 398-401. https://doi.org/10.1038/nature13957. 

  4. Zeng N, Zhao F, Collatz GJ, Kalnay E, Salawitch RJ, West TO, and Guanter L (2014) Agricultural green revolution as a driver of increasing atmospheric CO 2 seasonal amplitude. Nature, 515, 394-397. https://doi.org/10.1038/nature13893. 

  5. Lee B, Kang W, Kim CK, Kim G, Lee CH (2017) Estimating carbon uptake in forest and agricultural ecosystem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using eddy covariance flux data. Journ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 26(2), 127-139. 

  6. Shim KM, Min SH, Kim YS, Jung MP, Choi IT, Kang KK (2016) Comparison of carbon budget between rice-barley double cropping and rice mono cropping field in Gimje,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8(4), 337-347. 

  7. Min SH, Shim KM, Kim YS, Jung MP (2013) Seasonal variation of carbon dioxide and energy fluxes during the rice cropping season at rice-barley double cropping paddy field of Gimj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4), 273-281. 

  8. Wilczak JM, Oncley ST, and Stage ST (2001) Sonic anemometer tilts correction algotithms. Boundary-Layer Meteorology, 99, 127-150. 

  9. Webb EK, Pearman GI, and Leuning R (1980) Correction of flux measurements for density effects due to heat and water vapor transfer. Quarterly Journal of the Royal Meteorology Society, 106, 85-100. 

  10. Isaac P, Cleverly J, McHugh I, Van Gorsel E, Ewenz C, Beringer J (2017) OzFlux Data: Network integration from collection to curation. Biogeosciences, 14(12), 2903-2928. https://doi.org/10.5194/bg-14-2903-2017. 

  11. Hong JH, Kwon J, Lim JH, Byun YH, Lee J, Kim J (2009) Standardization of koflux eddy-covariance data processi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1), 19-26. 

  12. Reichstein M, Falge E, Baldocchi D, Papale D, Aubinet M, Berbigier P, Bernhofer C, Buchmann N, Gilmanov T et al. (2005) On the separation of net ecosystem exchange into assimilation and ecosystem respiration: review and improved algorithm. Global Change Biology, 11(9), 1424-1439. https://doi.org/10.1111/j.1365-2486.2005.001002.x. 

  13. Kim GY, Lee JS, Lee SI, Jeong HC, Choi EJ, Na US (2017) Evaluation of carbon balance for carbon sink/emission with different treatments in paddy fiel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35(4), 715-725. https://doi.org/10.11626/KJEB.2017.35.4.7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