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서울시를 대상으로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travel mode choice of bicycle by trip purpose -a case study of Seoul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33 - 42  

이경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  고은정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행태를 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행정동별 자전거 통행비율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로 약 14.2%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나이, 성별, 소득, 직업, 주거유형 등 다양한 개인특성변수들이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통행 장소와 관련하여 공통적으로 주거지와 같은 행정동 내 시설을 이용할 경우 자전거 통행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린환경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들 중에서 근린의 토지이용혼합도가 높고 범죄발생률이 낮을수록 통근 및 통학 목적의 자전거 통행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주거, 업무, 상업시설의 용도 혼합과 함께 지역의 범죄안전성을 높이는 것이 통근 및 통학 목적의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자전거 도로밀도와 지역의 경사도는 공통적으로 통근 및 통학, 쇼핑, 운동 및 여가 목적의 자전거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전거 통행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자전거도로 공급을 통해 자전거도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지역의 경사도 등을 고려하여 자전거 기반시설의 입지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bicycle traffic patterns and identified the influence factors for each traffic purpose using the household traffic conditions survey for Seou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bicycle traffic ratios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d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행태를 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도시 계획적 함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또한 자전거 통행은 통행목적에 따라 통행행태와 영향요인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각각의 통행 목적에 맞는 세분화된 정책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지만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행태를 분석하고 그 영향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도시계획적 함의와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통행 거리, 통행시간과 같은 통행특성은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함께 통행거리, 통행 시간이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 연구는 이와 같이 자전거 이용에 있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정 부분 근린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의절편로짓모형을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2%까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구는 이와 같이 자전거 이용에 있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이 일정 부분 근린환경의 영향을 받는다는 가설에서 출발한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의절편로짓모형을 이용하여 통행목적별 자전거 통행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D. H. Won, K. H. Lee. 2012,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 on Residents Bicycle Us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8(12) : 323-329.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8.4019 

  2. K. E. Sa, S. G. Lee, 2018,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Usage of Public Bike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3(6) : 39-59.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8.11.53.6.39 

  3. S. H. Choo., Y. K. Chang, K. Y. Hwang. 2011, "Travel Behavior Analysis of Bicycle Users by Type of Trip Chain",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18(4) : 59-69. DOI: https://doi.org/10.34143/jtr.2011.18.4.59 

  4. K. H. Lee, S. N. Kim, K. H. Ahn, 2008, "Effects of Land Use and Urban Form on Bicycle Commuting in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3(5) : 49-61. 

  5. J. Dill, T. Carr, 2003, "Bicycle commuting and facilities in major U.S. cities : If you build them, commuters will use them",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28 : 116-123. DOI: http://dx.doi.org/10.3141/1828-14 

  6. K. Krizek, 2006, "Two approaches to valuing some of bicycle facilities' presumed benefit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3) : 309-319. DOI: https://doi.org/10.1080/01944360608976753 

  7. P. O. Plaut, 2005, "Non-motorized commuting in the U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0 : 347-356. DOI: http://dx.doi.org/10.1016/j.trd.2005.04.002 

  8. A. V. Moudon, C. Lee, A. D. Cheadle, C. W. Collier, D. Johnson, T. L. Schmid, R. D. Weather, 2005, "Cycling and the built environment, a US perspective",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0(3) : 245-261. DOI: http://dx.doi.org/10.1016/j.trd.2005.04.001 

  9. X. Cheng, Y. Ying, J. Sheng, Q. Zhaowei, H. Lei, 2016, "Potential risk and its influencing factors for separated bicycle path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87 : 59-67. DOI: https://doi.org/10.1016/j.aap.2015.11.014 

  10. M. Begona, M. Andres, L. Elena, 2016, "Transition to a cyclable city: Latent variables affecting bicycle commut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84 : 4-17. DOI: https://doi.org/10.1016/j.tra.2015.10.006 

  11. C. Rovert, D. Steve, J. Ying, 2019, "Network design, built and natural environments, and bicycle commuting: Evidence from British cities and towns", Transport Policy, 74 : 153-164. DOI: https://doi.org/10.1016/j.tranpol.2018.09.007 

  12. Y. J. Kim., K. H. Lee, K. H. Ahn, 2008, "A Study for Impact of Regional Variable on Bicycle Commuting",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9(1) : 19-34. 

  13. K. H. Lee, E. J. Ko, 2014, "Relationships between neighbourhood environments and residents' bicycle mode choice: a case study of Seoul",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18(3) : 383-395. DOI: http://dx.doi.org/10.1080/12265934.2014.957715 

  14. E. J. Ko, K. H. Lee, 2013, "Effects of Compact City Development on Residents' Shopping Trips : A Case study of Seoul",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8) : 4077-408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8.4077 

  15. K. H. Lee, K. H. Ahn, 2007, "The Correlation between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nd Walking of Resident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2(6) : 105-11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