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depress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ommunity dwelling frail elderl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742 - 751  

권상민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  권려원 (경운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란 (계명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D지역 재가 방문 서비스를 받는 대상자 중 65세 이상의 허약 노인 164명이었으며, 2020년 1월부터 2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분석,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분석, Scheffe test 사후 검정, 상관관계 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울은 10.6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6.71점, 건강증진행위는 2.59점으로 나타났고, 건강증진 하위영역별 점수는 영양이 2.83점으로 가장 높았고, 스트레스 관리가 2.06점으로 가장 낮았다.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우울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우울로 나타났고 이 변인들은 건강증진행위를 73.6%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울이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함으로써 허약 노인이 장애 노인으로 진행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우울 중재가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 통한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frail elderly. The subjects were 164 frail elders aged over 65 registered with the home visiting services of two welfare centers in D city. Data was collected using...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 및 건강증진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descriptive survey study)이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 건강증진행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 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우울은 10.
  • 셋째, 지역사회 거주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허약 노인의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알아보고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허약 노인의 건강증진행위를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Statistics Korea. 2019 Elderly people Statistics [Internet]. Retrieved August 30. 2020. from http://kostat.go.kr 

  2. S. J. Yu, C. Y. Kang, Y. R. Kim, Correlation of quality of life in the health condition of Korean elderly; Perceived, physical, mental health statu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 9, No. 2, pp.47-56, 2015. DOI:http://10.12811/kshsm.2015.9.2.047 

  3. Z. Zheng, S. Guan, H. Ding, Z. Wang, J. Zhang, J. Zhao, Prevalence and incidence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Beijing longitudinal study of agingII,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Vol.64, No.6, pp.1281-1286, 2016. DOI:http://dx.doi.org/10.1111/jgs.14135 

  4. J. S. Park, Y. J. Oh, Health promotion behavior, perceived health status, social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in frail elderly receiving home visiting servic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31, No.2, pp.244-256, 2017. DOI:http://dx.doi.org/10.5932/JKPHN.2017.31.2.244 

  5. C. Tannenbaum, How to treat the frail elderly: The challenge of multimorbidity and polypharmacy, CanUrol Assoc J, pp. 7(9-10 Suppl 4):S185-5, 2013. DOI: http://doi.org/10.5489/cuaj.1619 

  6. F. Lally, P. Crome, Understanding Frailty, Postgrad Med J, Vol.83, No.975, pp. 16-20, 2007. DOI: https://doi.org/10.1136/pgmj.2006.048587 

  7. J. H. Back, S. K. Hyun, He study of health-related behaviors on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 7, No. 2, pp. 13-24, 2005. 

  8. S. Kim, J. L. Park, H. S. Hwang, Y. P. Kim, Correlation between frailty and cognitive function in non-demented community dwelling older Koreans,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5, No.6, pp.309-320, 2014. DOI: 10.4082/kjfm.2014.35.6.309 

  9. H. Makizako, H. Shimada, T. Doi, D. Yoshida, Y. Anan, K. Tsutsumimoto et al, Physical frailty predicts incident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eople: prospective findings from the Obu Study of Health Promotion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Vol.16, No.3, pp.194-199, 2015. DOI:10.1016/j.jamda.2014.08.017 

  10. H. S. Yoon, S. R. Yeom,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2, No.1, pp.233-255, 2017. 

  11. A. T. Beekman, B. W. Penninx, D. J. Deeg, J. Ormel, A. W. Braam, W. van Tilburg,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in later lif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46, No.3, pp.219-231, 1997. DOI:https://doi.org/10.1016/S0165-0327(97)00145-6 

  12. Y. J. Park, G. J. Kim, The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focusing 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progra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5, pp.411-417, 2017. DOI:https://doi.org/10.14400/JDC.2017.15.5.411 

  13. M. I, Kim, S. J. Kim, J. P. Kim, A study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and depression of pre and old age group,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8, No.3, pp.285-307, 2017. DOI:http://dx.doi.org/10.16881/jss.2017.07.28.3.285 

  14. J. Liang, Self-reported physical health among aged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Vol.41, pp.248-260, 1986. 

  15. Y. H. Ko,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hysical competence,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elderly participating in health activity progra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12, pp.571-581, 2016. DOI:https://doi.org/10.14400/JDC.2016.14.12.571 

  16. S. R. Suh, M. H. Kim,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4, No.4, pp.705-716, 2014. 

  17. Y. J. Lee, Influence of self-rat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on health behavior in urba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ve on Culture Technology, Vol.4, No.2, pp.81-87, 2018. DOI:http://dx.doi.org/10.17703/JCCT.2018.4.2.81 

  18. C. J. Chang, Structural reltionship of subjective health, ability to work, participation on economic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8, No.10, pp.305-310, 2017. DOI:https://doi.org/10.15207/JKCS.2107.8.10.305 

  19. K. H. Jung, 2014 National survey on elderl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20. K. M. Kim, H. K. Kim, H. S. Rhee, Mediating effects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3, No.4, pp.179-190, 2019. DOI:https://soi.org/10.12811/kshsm.2019.13.4.179 

  21. Y. M. Goo, J. H. Kang,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sports facilitie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5, No.1, pp.65-78, 2015. 

  22.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operating guild of health promotion for frail elderly in HUB Public Health Center, 2008. 

  23. M. P. Lawston, M. Moss, M. Fulcomer, M. H. Kleba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37, No.1, pp.91-99, 1982. DOI: https://doi.org/10.1093/geronj/37.1.91 

  24. S. N. Walker, K. R. Sechrist, N. J. Pender, HPLPII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II), Nebrasks: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987. 

  25. Y. A. Hong, Effect of health secreening on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3. 

  26. K. S. Kim,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iddle and older people: focusing on loneliness and laughter index,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1, No.3, pp.1585-1598, 2019. 

  27. Y. K. Oh, The effect of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Vol.36, No.2, pp.623-634, 2019. DOI:http://dx.doi.org/10.12925/jkocs.2019.36.2.623 

  28. H. J. Ju, H. K. Ko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7, No.2, pp.243-254. DOI:https://doi.org/10.14400/JDC.2019.17.2.243 

  29. K. O. Chang, Effects of elderly people's frail prevention program on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physical fitness and quality of life for in senior center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5, pp.47-58, 2017. DOI:https://doi.org/10.5762/KAIS.2017.18.5.47 

  30. M. S. Yang, The effect of suicide impulse with stress and depression of old people who living nursing 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Kyonggido, 2012. 

  31. S. M. Kwon, J. S. Park,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frail elderly resident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5, No.2, pp.194-206, 2013. DOI:http://dx.doi.org/10.7475/kjan.2013.25.1.194 

  32. E. L. Idler, Y. Benyamini, Self-rated health and mortality: a review of twenty-seven community studies, Journal of Health and Society Behavior, Vol.38, No.1, pp.21-37, 1997. DOI:http://dx.doi.org/10.2307/2955359 

  33. J. Y. Ha, Y. H. Park,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s of older adults using a senior center,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7, No.4, pp.428-437. DOI:http://dx.doi.org/10.7475/kjan.2015.27.4.428 

  34. H. Song, H. S. Kim, Convergence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health status,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nxiety of dementia development in the elderly participation in local expo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1, No.7, pp.41-49, 2020. DOI:https://doi.org/10.15207/JKCS.2020.11.7.041 

  35. Y. H. Pang, O. S. Kim, Powerlessn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elders using hone service under Korean long-term care insurance, J Korean Gerontol Nurs, Vol.19, No.3, pp.184-193, 2017. DOI:https://doi.org/10.17079/jkgn.2017.19.3.184 

  36. S. H. Le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net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 in elderl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5, No.9, pp.397-406, 2017. DOI:https://doi.org/10.14400/JDC.2017.15.9.397 

  37. M. S. Kim, J. W. Ko, The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activity on their health and th mediating role of family support,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60, pp.35-54, 2013 

  38. S. H. Cho,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f the low-income elderly living alone-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3, No.12, pp.423-431. DOI:https://doi.org/10.14400/JDC.2015.13.12.423 

  39. E. O. Park, M. Yu, Frailty and its related factors in vulnerable elderly population by age groups, J Korean Acad Nurs, Vol.46, No.6, pp.848-857, 2016. DOI:https://doi.org/10.4040/jkan.2016.46.6.84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