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숙성 조건에 따른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A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during the ag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2 no.6, 2020년, pp.573 - 579  

이수정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류지현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의생명융합연구원) ,  남수진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구옥경 (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흑생강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생강의 제조공정을 숙성 조건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교하였다. 흑생강의 갈색도와 적색도(a값)는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원료 생강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으로 감소된 경향이었다. 총당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나, 숙성 3단계 이후부터는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에서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gingerol 함량은 감소되었으나, 6-shogaol 함량은 17.7-34.1배 증가되었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숙성 2단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그 이후에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흑생강의 라디칼 소거활성과 환원력은 각각 숙성 2단계 및 3단계에서 가장 높았으며 그 이후에는 점차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숙성단계별 흑생강의 항산화 활성은 갈색도, 6-shogaol, 총당 및 총 페놀의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2-3단계 숙성이 항산화 활성 증대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ag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were investigated every four days during the twenty days of aging process and compared with fresh ginger. Browning intensity and redness valu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fresh ginger;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 용액을 각각 10:1:1(v/v/v)로 혼합하여 실험직전에 37 C로 조정한 것을 기질용액으로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시료액 40μL, FRAP 기질용액 100μL 및 증류수 40μL를 차례로 혼합하여 37 C의 항온기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환원력은 FeSO4·7H2O (Sigma-Aldrich Co.)를 표준물질로 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Benzie와 Strain, 1996).
  • 칼럼은 Ionpac ICE-AS6 (9250 mm, Dionex)를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19 C로 조정하였다. Suppressed conductivity 검출기를 이용하였으며, suppressor는 MMS-ICE II (4mm), 이동상은 5mM의 tet- rabutylammonium hydroxide (TBAH)를 함유한 0.4mM의 hep- tafluorobutyric acid를 1.0mL/min의 속도로 유지하였으며, 시료 주입량은 25μL로 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유기산의 표준물질을 시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여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동정하였으며, 검량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강을 이용하여 숙성 온도 및 시간의 변화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제조된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교하였다.
  • 라디칼 소거활성은 시료 무첨가구에 대한 시료 첨가구의 흡광도비(%)로 계산하였다. 환원력은 300mM의 acetate 완충용액(pH 3.
  • 마쇄된 시료 2g에 3차 증류수를 가하여 30분간 초음파 추출하였으며 추출액을 0.45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다음 IC (ion chromatography, ICS-2100, Dionex, USA)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Ionpac ICE-AS6 (9250 mm, Dionex)를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19 C로 조정하였다.
  • 오븐 온도는 30 C, 시료액은 20μL를 주입하였으며, diode array detection 검출기로 282 nm에서 측정하였다. 분석 표준물질로써 6-, 8-, 10- gingerol 및 6-shogaol (Sigma-Aldrich Co.)은 시료와 동일 조건에서 분석하여 검량선에 따라 계산하였다.
  • 갈색도는 마쇄한 시료에 80% 메탄올을 가하여 2% 추출액으로 제조한 후 시료 무첨가구를 대조로 하여 분광광도계(U-2900, Hitachi, Tokyo, Japan)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값으로 나타내었다. 색도는 마쇄한 시료를 원형의 dish (Φ60mm×15mm)에 편평하게 채운 후 색차계(CR 301, Minolta Co., Osaka, Japan)로 표면색을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색판의 L값은 98.
  • 생강 및 숙성 흑생강의 gingerol 및 shogaol 함량은 Lee 등 (2012)의 방법을 개량하여 마쇄된 시료 2g에 80% 메탄올을 가하여 20mL로 정용한 후 초음파 추출하였으며, 이를 0.45μm membrane filter로 여과시켜 HPLC (1100 series LC system, Agi- lent Technologies, Palo Alto, CA, USA)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ProntoSIL C18 SH (4.
  • 생강 및 숙성 흑생강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80% 메탄올 추출액을 200μg/mL로 조정하여 2, 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 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 활성과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FRAP)법에 의한 환원력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96 well plate에서 DPPH 용액(5mg/100mL methanol) 100μL와 동량의 시료 액을 혼합한 후 실온에서 10분 반응시켜 microplate reader로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Blois, 1958).
  • 흑생강의 숙성은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한 후 껍질째 5kg씩 2겹의 폴리에틸렌으로 밀봉하여 항온기(CEP-220N, Shinhung, Cheongju, Korea)에서 온도를 조정하여 20일동안 진행되었다. 숙성 흑생강 시료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채취되었으며, 각 숙성 단계는 1단계(80 C, 1-4일), 2단계(75 C, 5-8일), 3단계(70 C, 9-12일), 4단계(80 C, 13-16일) 및 5단계(65 C, 17-20일)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은 실온으로 냉각한 후 마쇄하여 40 C에 보관해 두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 초음파 추출하였다. 시료액 1mL에 Folin-Ciocalteu 시약 0.5 mL, 10% Na2CO3 용액 1mL를 차례로 넣고 5초간 혼합한 다음실온의 암실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시료 무첨가구를 대조로하여 760nm에서 microplate reader (UVM340, ASYS Histech Gmbh, Tokyo, Japan)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상기의 시료액 1mL에 10% aluminum nitrate 0.
  • 3mL를 차례로 혼합한 후 실온의 암실에서 40분간 반응시키고 415nm에서 흡광도를측정하였다(Moreno 등, 2000). 시료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함량은 표준물질로써 각각 gallic acid 및 quercetin (Sigma-Aldrich Co.)을 시료와 동일하게 분석하여 얻은 검량선으로부터 산출하였다.
  • 0mL/min의 속도로 유지하였으며, 시료 주입량은 25μL로 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유기산의 표준물질을 시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분석하여 머무름 시간을 비교하여 동정하였으며, 검량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 환원당은 DNS법(Miller, 1959)에 따라 상기의 시료액 1mL에 DNS시약 3mL를 가한 후 100 C의수욕상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glucose (Sigma-Aldrich Co., St. Louis, MO, USA)를 표준물질로 하여 작성한 검량선에 의해 계산하였다.
  • 흑생강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흑생강의 제조공정을 숙성 조건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제조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원료 생강과 비교하였다. 흑생강의 갈색도와 적색도(a값)는 숙성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원료 생강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이었으나, 명도(L값)와 황색도(b값)는 유의적으로 감소된 경향이었다.

대상 데이터

  • 숙성 흑생강 시료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 5단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채취되었으며, 각 숙성 단계는 1단계(80 C, 1-4일), 2단계(75 C, 5-8일), 3단계(70 C, 9-12일), 4단계(80 C, 13-16일) 및 5단계(65 C, 17-20일)로 구분하였다. 각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은 실온으로 냉각한 후 마쇄하여 40 C에 보관해 두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분 정량, 갈색도 및 색도 측정원료 생강 및 흑생강의 수분 함량은 105 C 상압 가열건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 경북 안동에서 재배한 생강을 (주)남해군흑마늘에서 흑 생강으로 제조한 것을 제공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흑생강의 숙성은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한 후 껍질째 5kg씩 2겹의 폴리에틸렌으로 밀봉하여 항온기(CEP-220N, Shinhung, Cheongju, Korea)에서 온도를 조정하여 20일동안 진행되었다.
  • 45μm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다음 IC (ion chromatography, ICS-2100, Dionex, USA)로 분석하였다. 칼럼은 Ionpac ICE-AS6 (9250 mm, Dionex)를 사용하였으며, 온도는 19 C로 조정하였다. Suppressed conductivity 검출기를 이용하였으며, suppressor는 MMS-ICE II (4mm), 이동상은 5mM의 tet- rabutylammonium hydroxide (TBAH)를 함유한 0.
  • 계산하였다. 환원력은 300mM의 acetate 완충용액(pH 3.6), 40mM HCl에 용해한 10mM 2, 4, 6-tris(2-pyridyl)-1, 3, 5-triaz- ine (TPTZ, Sigma-Aldrich Co.) 용액 및 20mM의 FeCl3·6H2O (Sigma-Aldrich Co.) 용액을 각각 10:1:1(v/v/v)로 혼합하여 실험직전에 37 C로 조정한 것을 기질용액으로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시료액 40μL, FRAP 기질용액 100μL 및 증류수 40μL를 차례로 혼합하여 37 C의 항온기에서 4분간 반응시킨 후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환원력은 FeSO4·7H2O (Sigma-Aldrich Co.

데이터처리

  • All values are mean±SD (n=3). 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a-d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a-e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a-e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a-f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a-f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s.
  • 05의 유의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또 유효성분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 Pe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 실험결과는 SPSS 12.0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처리구별 유의성검정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을 하여 p<0.05의 유의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s로 사후검정을 하였다. 또 유효성분과 항산화 활성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위해 Person correl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 생강 및 숙성 흑생강의 총 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Gutfinger, 1981)에 따라 시료 5g을 80% 메탄올로 50mL가 되도록 정용한후 초음파 추출하였다. 시료액 1mL에 Folin-Ciocalteu 시약 0.
  • 각 단계에서 얻은 흑생강은 실온으로 냉각한 후 마쇄하여 40 C에 보관해 두고 실험에 사용하였다. 수분 정량, 갈색도 및 색도 측정원료 생강 및 흑생강의 수분 함량은 105 C 상압 가열건조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갈색도는 마쇄한 시료에 80% 메탄올을 가하여 2% 추출액으로 제조한 후 시료 무첨가구를 대조로 하여 분광광도계(U-2900, Hitachi, Tokyo, Japan)로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값으로 나타내었다.
  • 총당은 시료액 1mL에 5% 페놀 시약 1mL, 진한 황산 5mL를 차례로 혼합하여 30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4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Dubois 등, 1956). 환원당은 DNS법(Miller, 1959)에 따라 상기의 시료액 1mL에 DNS시약 3mL를 가한 후 100 C의수욕상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냉각하여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총당 및 환원당 함량은 glucose (Sigma-Aldrich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eschbach R, Loliger J, Scott BC, Murcia A, Butler J, Halliwell B, Aruoma OI. Antioxidant actions of thymol carbacrol 6-gingerol zingerone and hydroxytyrosol. Food Chem. Toxicol. 32: 31-36 (1994) 

  2. Babsky NE, Torobio JL, Lozano JRE. Influence of storage on the composition of clarified apple juice concentrate. J. Food Sci. 51: 564-567 (1986) 

  3. Bae SK, Kim MR. Effects of sodium metabisulfite and adipic acid on browning of garlic juice concentrate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18: 73-80 (2002) 

  4. Ban YJ, Baik MY, Hahm YT, Kim HK, Kim BY. Optimization of processing conditions for making a black ginger and design mixture for black ginger drinks. Food Eng. Progr. 14: 112-117 (2010) 

  5. Benzie IFF, Strain JJ. Th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 as a measure of "antioxidant power": the FRAP assay. Anal. Biochem. 239: 70-76 (1996) 

  6.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1200 (1958) 

  7. Chandra R, Bharagava RN, Rai V. Melanoidins as major colorant in sugarcane molasses based distillery effluent and its degradation. Bioresour. Technol. 99: 4648-4660 (2008) 

  8. Cheng XL, Liu Q, Peng YB, Qi LW, Li P. Steam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Changed chemical profile and increased anticancer potential. Food Chem. 129: 1785-1792 (2011) 

  9. Connell DW, Sutherla MD. A re-examination of gingerol shogaol and zingerone pungent principl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ustralian J. Chem. 22: 1033-1043 (1969) 

  10. Connell DW. The chemistry of the essential oil and oleoresin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lavour Lnd. 1: 677-693 (1970) 

  11.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t PA, Smith F.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 and related substance. Anal. Chem. 28: 350-356 (1956) 

  12. Dugasani S, Pichika MR, Nadarajah VD, Balijepalli MK, Tandra S, Korlakunta JN. Comparativ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6]-gingerol, [8]-gingerol, [10]-gingerol and [6]-shogaol. J. Ethnopharmacol. 127: 515-520 (2010) 

  13.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981) 

  14. Hong JY, Nam HS, Yoon KY, Shin SR.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fermented black jujube. Korean J. Food Preserv. 19: 901-908 (2012) 

  15. Jeon YH, Lee JW, Yang JS, Hwang IK. Characteristics and sensory optimization of taro (Colocasia esculenta) under different aging conditions for food application of black taro. Korean J. Food Sci. Technol. 48: 133-141 (2016) 

  16. Jo MH, Ham IK, Lee GH, Lee JK, Lee GS, Park SK, Kim TI, Lee EM. Composition of active ingredients between field grown and in vitro cultured rhizome of Korean native ginger (Zini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Plant Res. 24: 404-412 (2011) 

  17. Kang KH, No BS, Seo JH, Hu WD. Food Analysis. Sung Kyun Kwan University Academic Press, Seoul, Korea. pp. 387-394 (2002) 

  18. Kang MJ, Yoon HS, Jeong SH, Sung NJ, Shin J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ed garlic during processing. Korean J. Food Preserv. 18: 898-906 (2011) 

  19. Kim HH, Lee SJ, Chung YH, Kim SH, Sung NJ.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from hot-air and freeze dried aged black ginger (Zingiber officinale). J. Life Sci. 28: 153-161 (2018) 

  20. Kim HJ, Lee JY, You BR, Kim HR, Choi JE, Nam KY, Moon BD, Kim MR.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black ginseng prepared by steaming-drying cyc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6-162 (2011) 

  21. Lee MH, Kim KT, Lee KH. Quality characteristic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s the ripening periods. J. Food Hyg. Safety 27: 479-486 (2012) 

  22. Lee BS, Ko MS, Kim HJ, Kwak IS, Kim DH, Chung BW. Separation of 6-gingerol from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and antioxidative activ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84-488 (2006) 

  23. Lee HR, Lee JH, Park CS, Ra KR, Ha JS, Cha MH, Kim SN, Choi YM, Hwang JB, Nam J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different part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369-1379 (2014) 

  24. Lee GY, Son YJ, Jeon YH, Kang HJ, Hwang IK.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urdock (Arctium lappa) during repeated steaming and drying procedur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336-344 (2015) 

  25. Lee SJ, Shin SR, Yoon KY.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black doraji (Platycodon grandiflor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22-427 (2013a) 

  26. Lee SH, Song EM, Jang GY, Li M, Kim MY, Park HJ, Kang TS, Jeong H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of doragi (Platycodon grandiflorum) at different aging temperatures and for various durat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05-1411 (2013b) 

  27. Lim TS, Kwon OJ, Kwon JH, Kim HG. Monitoring of extraction yield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extract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8-354 (2007) 

  28. Miller GL. Use of dinitrosalicylic an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1959) 

  29.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s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000) 

  30. Park HY, Ha SK, Choi JW, Choi HD, Kim YS, Park YK. Optimization study for the production of 6-shogaol-rich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under conditions of mild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588-592 (2014) 

  31. Peleg H, Naim M, Rouseff RL, Zehavi U. Distribution of bound and free phenolic acids in oranges (Citrus sinensis) and grapefruit (Citrus paradisi). J. Sci. Food Agric. 57: 417-426 (1991) 

  32.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999) 

  33. Seo YH, Kim HY. Development of substitute teas using extracts of aged and fermented ginger. J Korean Tea Soc. 24: 63-69 (2018) 

  34. Shin JH, Choi DJ, Lee SJ, Cha JY, Kim JG, Sung NJ.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1131 (2008) 

  35. Song SB, Ko JY, Kim JI, Lee JS, Jung TW, Kim KY, Kwak DY, Oh IS, Woo KS.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dzuki bean and adzuki bean tea depending on the variety and roast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317-324 (2013) 

  36. Sung KC.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ginger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7: 266-272 (2010) 

  37. Wu H, Hsieh MC, Lo CY, Liu CB, Snag S, Ho CT, Pan MH. 6-Shogaol is more effective than 6-gingerol and curcumin in inhibiting 12-O-tetradecanoylphorbol 13-acetate induced tumor promotion in mice. Mol. Nutr. Food Res. 54: 1296-1306 (2010) 

  38. Yang BW, Park HS, Park JW, Baik MY, Kim BY, Kim HK, Hahm Y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petitive heat-treated ginger and its quantitative conversion of gingerol to shogaol. Food Eng. Prog. 21: 22-28 (2017) 

  39. Yang YR, Park YK. Black onions manufactured via the browning rea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ir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10-31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