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 방안
Speaking Education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by Using the Method of Peer and Self Evaluation Feedback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573 - 580  

최윤희 (한남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본 연구는 대학의 말하기 교육 유형인 발표와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을 통해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 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 및 내용은 H대학교의 교양 필수인 <독서와 소통> 수업을 수강한 1학년 학생들로 '읽기, 말하기, 쓰기'의 통합 활동 중 말하기 활동과 그 효과에 한정하여 제시한 것이다. 말하기 교육에서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은 학생들 간에 상호 공감대를 형성하고 협력 하에 말하기에 필요한 역량 함양과 자기 발견 및 소통을 통한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한다. 연구결과, 다양한 말하기 실습을 통해 말하기 태도 및 심리적 측면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평가와 피드백 활동이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효과를 가져다 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만큼 현실적이며 유용한 말하기 교육 및 지도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개발되어야 한다고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students to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ies through peer assessment-feedback and self assessment-feedback based presentation and debate class. The objects and content of the study were the students...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Cole & Chan이 제시한 피드백 유형 3가지(외적 피드백 -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내적 피드백 - 자기 피드백) 모두를 말하기 교육에서 실시해 보고 객관적인 평가까지 병행해봄으로써 이러한 활동 들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방안 탐색 및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말하기 수업에서는 교수자 또한 평가 및 피드백에 참여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에 대한 연구 내용만을 제시한 것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의 방안으로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 활동을 통해 말하기 수업을 지도하고 상호 발전적인 학습을 하도록 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말하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언어 태도 조사를 통해 학생들의 공적 말하기 활동에 대한 심리적, 인지적, 행동적 요인들을 먼저 파악한 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론과 다양한 말하기 실습, 동영상 촬영, 동료 및 자기 평가와 피드백 방법을 접목하여 학생들끼리 상호간에 그리고 학습자 스스로 주체적으로 자신들의 말하기 능력을 점검하고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Cole & Chan이 제시한 피드백 유형 3가지(외적 피드백 - 교수자 피드백, 동료 피드백, 내적 피드백 - 자기 피드백) 모두를 말하기 교육에서 실시해 보고 객관적인 평가까지 병행해봄으로써 이러한 활동 들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방안 탐색 및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대학의 말하기 교육 유형인 발표와 토론 수업을 중심으로 동료 학생들의 평가 및 피드백과 자기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해 공적인 말하기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 방안을 찾아보고, 이 활동들에 대한 학생들의 말하기 교육의 효과에 대해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말하기 교육의 심화 교육적 접근이란 무엇인가? 대학에서의 말하기 교육은 크게 ‘심화 교육적 접근’과 ‘통합 교육적 접근’으로 나눌 수 있다. ‘심화 교육적 접근’은 의사소통과 관련된 심화된 지식, 기능과 더불어 발표, 면접, 토론 등 대학생에게 실제 필요한 담화 유형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을 통해 말하기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것이고, ‘통합 교육적 접근’은 특정 과목 수업 에서 학생들에게 토론, 토의, 발표 등의 구두 의사소통의 기회를 최대한 부여하여 그 과목의 교육과 화법 교육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식이다[10]. 전자의 방식은 교양교육에서 추구하는 의사소통 능력에 집중한 실용적 말하기 교육이라면 후자의 경우는 말하기 방법이 수업의 도구로 활용되며 말하기 교육과 다른 영역 과목의 연계를 도모하는 교육이다.
발표와 토론은 학생들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 담화유형인가? 공식적 담화 유형인 발표와 토론은 제한된 시간 내에 준비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이나 설득적 의사소통 행위를 해야 하므로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가장 부담이 되고 불안을 느끼게 하는 말하기 유형이다. 사전 준비에서는 다른 이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발표 및 토론 실행에 있어서는 철저히 당사자만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말하기 교육에서 자기 평가 및 피드백이 반성적 사고 형성 및 학습의욕과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말하기 교육에서 자기 평가 및 피드백은 반성적 사고 형성에 도움이 되며,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자기효능감을 높인다. 이는 학생이 자신의 말하기 실행을 녹화한 영상을 보면서 스스로 자기의 말하기 전반에 대한 사항들을 관찰하고 분석함으로 거기서 얻은 정보로 자신을 확인하며, 자신의 후속 학습과 행동을 개선하고 조정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상위인지평가 능력이 함양되기 때문이다[5-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장민정, "대학생 발표에서 동료 피드백의 가치에 대한 연구, - 동료 피드백과 자기성찰일지 분석," 한국언어문화, 제62집, pp.357-387, 2017. 

  2. 장소진, "발표 수업에서의 공감적 피드백의 의미와 전략," 문화와 융합, 제39권, 제5호, pp.367-392, 2017. 

  3. 오현진, "동료 피드백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들의 발표에 대한 사전 지식," 어문론집, 제69집, pp.309-335, 2017. 

  4. 정진희, 피드백 유형이 토론 수업의 태도 및 내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 유철우, "동료 피드백 및 자기 평가가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선청어문, 제45집, pp.169-195, 2018. 

  6. 윤관기, "동료피드백과 자기평가 활동이 초등예비교사의 음악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연구," 예술교육연구, 제13권, 제1호, pp.37-54, 2015. 

  7. 문광수, 차민정, 이계훈, 오세진, "개인피드백과 집단 피드백이 과업 수행의 양과 질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검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655-664, 2014. 

  8. 김애경, 김래완, "스마트폰 동영상을 활용한 자기성찰 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 간호술 수행자신감, 실습만족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665-678, 2018. 

  9. 김희정, 이제영, 장소영, "영작문 활동 중 동료 피드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11호, pp.513-523, 2019. 

  10. 전은주, "대학 교양 화법 교육의 발전 방안," 화법연구, 제24집, pp.9-39, 2014. 

  11. 전은진, "대학생 말하기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 인문과학연구, 제32집, pp.167-191, 2012. 

  12. 김현정, "대학 '말하기' 교과 운영 현황과 개선 방안," 교양교육연구, 제7집, 제3호, pp.597-625, 2013. 

  13. 고헤원,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과 과제," 어문론집, 제75집, pp.321-352, 2018. 

  14. 김남미, "대학 교양수업 발표의 피드백 방안," 한말연구, 제26집, pp.5-31, 2010. 

  15. 김윤희, " 수업에 적용해 본 '3분 스피치' 교육의 효용성과 피드백의 실제," 인문과학연구, 제40집, pp.529-549, 2014. 

  16. 오현진, "동료 피드백을 통해 살펴본 대학생들의 발표에 대한 사전 지식," 어문논집, 제69집, pp.309-335, 2017. 

  17. 윤철민, 대학생의 말하기 불안에 관한 연구 : 수업 중 발표 활동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